본 연구는 절대 의문문에 대한 응답이라는 주제를 다룬다. 이와 함께 여러 언어의 사례를 관찰함으로써 언어 유형론적인 관점에서 응답에 대한 보편적인 정보를 추출하였다. 제2장에서 이 ... 본 연구는 절대 의문문에 대한 응답이라는 주제를 다룬다. 이와 함께 여러 언어의 사례를 관찰함으로써 언어 유형론적인 관점에서 응답에 대한 보편적인 정보를 추출하였다. 제2장에서 이 주제를 다루는 선행 연구를 살펴보았다. 또한 언어 유형론의 연구 대상이 무엇인지, 응답이나 절대 의문문에 관련된 연구의 동향이 어떤지 살펴보았다. 제3장에서는 응답의 유형화에 대한 한 모델을 제안하였다. 유형을 분류하는 과정에서 이용한 기준은 각 언어에 존재하는 독립된 단어의 수(數)였다. 이를 위하여 2항 체계를 가진 영어와 한국어, 3항 체계를 가진 프랑스어, 그리고 4항 체계를 가진 루마니아어의 응답하는 방식을 살펴보았다. 제4장에서 질문·대답으로 이루어져 있는 발화 상황을 관찰하여 응답 방식을 분석하였고, 관찰을 통하여 드러낸 정보를 정리하여 응답에 관한 보편적인 패턴을 찾아보았다. 지정된 응답 단어가 존재하는 한국어, 영어, 프랑스어와 루마니아어를 연구했다. 각 언어에서 일반 절대 의문문, 절대 의문문과 부가의문의 결합, 수사 의문문, 선택 절대 의문문, 그리고 의견 절대 의문문으로 다섯 가지 사례를 조사하였다. 각 경우마다 가능한 최소응답을 종합적으로 살펴보면서 질문의 명제와 함의, 그리고 예상 대답과 실제 대답과 같은 것을 철저하게 관찰하였다. 함의·예상 대답, 함의·실제 대담, 예상 대답·실제 대답 관계를 살펴보고 언어 간에서 드러나는 패턴을 제시하였다. ,韩语论文范文,韩语论文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