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is study focuses on the mistakes made by students from China who learning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particularly those who have communicational difficulty when pronouncing the final consonant. which is one of the difficulties Chinese beginner le...
This study focuses on the mistakes made by students from China who learning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particularly those who have communicational difficulty when pronouncing the final consonant. which is one of the difficulties Chinese beginner leaners of Korean language have due to the differences in phonological systems between their mother tongue and Korean language. On the grounds that Korean language pronunciation education is considered important in educating Korean language as a second language for Chinese leaners.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existing study trends on Korean language pronunciation education for Chinese leaners were reviewed in chapter 1. In chapter 2, a contrastive analytical approach was taken to find out the difficulties Chinese leaners are faced with and errors they make in pronouncing final consonants in Korean language due to the differences in consonant phonemes and syllable between Korean language and Chinese language. In chapter 3, based on what is aforesaid, examines the facts ana aspects of Korean final consonant pronunciation among Chinese beginner learners,
introduces a recording experiment to verify the problems raised by previous studies ang analyzes from the experiment. through pronunciation experiments, the causes of each error type made by Chinese learners were analyzed in detail to actively seek solutions for those problems. there are so many defects in pronouncing the final consonant. So Korean language pronunciation education is considered important in educating Korean language as a second language for Chinese leaners.
In chapter 4, based on the statistical results gained in chapter 3, presents desirable orders of teaching pronunciation of Korean final consonants and of presenting vocabularies. Also, this chapter suggests multi-classoriented teaching plans in addition to education on Korean language culture by putting the solutions for the errors analyzed in chapter 3 into practice at each stage of pronunciation class. These efforts made in this study are possibly helpful in the sense that the study results provided reference data for determining the orders ofpresenting pronunciation education and for teaching the methods of pronouncing Korean final consonants in practical Korean language pronunciation education.
한국은 중국과 지리적으로 밀접하여 역사적으로 정치, 경제, 문화적으로 많은 교류를 해왔다. 특히 1992년 한국과 중국의 수교가 이루어지면서 한국의 문화가 중국 내로 많이 유입되었고, 영...
한국은 중국과 지리적으로 밀접하여 역사적으로 정치, 경제, 문화적으로 많은 교류를 해왔다. 특히 1992년 한국과 중국의 수교가 이루어지면서 한국의 문화가 중국 내로 많이 유입되었고, 영화, 드라마, 패션 등 문화콘텐츠가 인기를 끌어 한류열풍이 불었다. 자연스럽게 한국어를 배우고자 하는 중국인들이 늘어났고, 한국으로 유학을 오는 중국인들의 숫자가 날로 늘어나고 있다. 따라서 한국어를 배우는 중국어 학습자들에게 한국어를 효과적으로 가르치는 방안이 중요한 연구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언어를 배울 때 가장 기본이 되는 것은 발음인데, 우리가 외국어 학습자의 언어수준을 평가할 때 발음은 매우 큰 비중을 차지한다. 발음을 잘하지 못하면 다른 언어적 요소에서 갖추고 있는 능력보다 낮은 평가를 내릴 수 있다. 잘못된 발음을 하는 외국인 화자는 언어소통에 장애를 갖게 되고, 자신감 위축으로 한국어사용을 점점 꺼리게 되는 결과를 갖게 된다. 따라서 발음교육은 한국어교육의 첫 걸음에서부터 마지막까지 지속되어야 한다. 현재 한국어를 학습하는 중국인은 대부분 20~30대 성인들로, 이미 자신 안에 내재화된 모국어의 간섭으로 인해 중간언의 형태로 굳어져버리기 쉽다. 특히 중국인들은 한국어와 중국어의 음운상 차이로 인하여 한국어 발음을 정확하게 하는데 어려움을 겪는다. 한국어는 CVC음절구조에 속하지만, 중국어는 CV음절구조에 속한다. 중국인들은 한국어의 일곱가지 종성을 모두 제대로 발음하기 어렵고, 한국어의 ‘각’, ‘닫’, ‘랄’, ‘맘’, ‘밥’ 등을 ‘가’, ‘다’, ‘라’, ‘마’, ‘바’ 등으로 종성을 탈락시고 발음하는 경향을 보인다. 요컨대 중국인 한국어 초급단계 학습자들에게 한국어 발음교육은 중심적인 문제중 하나인 종성발음에 무게를 두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피시험자들에게 한국어 음운이론을 강화교육하기 전과 후로 2차례 실험하여 음운이론 교육의 효과여부를 알아보았다. 중국의 보통화나 보통화에 가장 가까운 북방방언을 사용하는 중국인 초급한국어 학습자 중 5개월간 한국어를 배운 16명과 10개월 간 한국어를 배운 20명을 대상으로 실험하였으며, 중국인 학습자가 한국어를 배울 때 가장 많은 오류를 범하는 한국어 종성발음의 실태를 단음절에서의 종성발음 실태와 다음절에서의 종성발음 실태로 나누어 실험분석한 후 중국인 초급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종성발음 교육 예시안을 모색하였다. 첫째로, 음운 이론교육을 실시하기 전과 후 두 차례로 나누어 피실험자들에게 음절 7종성, 중화가 되는 단음절, 음절경계에서 음운변동이 일어나는 필수적 경음화, 유음화, 비음화 등 다음절 단어들을 선정하여 중국인 초급 한국어 학습자들의 발음 실태를 조사하였다. 실험결과를 정리하면 단음절 7종성, 중화되는 단음절 7종성, 필수적 경음화 다음절 단어의 오류율은 음운이론 교육을 강화한 전후 차이가 적고, 음운변동이 일어나는 비음화와 유음화 다음절 단어들의 오류율은 교육을 강화한 전과 후의 차이가 현저했다. 비음화, 유음화 규칙을 교육 받은 학습자들의 발음은 많이 향상된 결과를 보였다. 그러나 비음화와 유음화의 규칙을 교육하지 않으면 중국인 초급 한국어 학습자들 대부분이 한국어 표기대로 발음해버렸다. 즉 한국어 발음에 대해 직관이 없는 중국인 초급 한국어 학습자들에게 음운 변동이론을 교육시키는 것이 필요하다는 결론을 얻을 수 있다. 두 번째로, 위의 실험결과와 분석을 토대로 중국인 초급 한국어 학습자들에게 한국어 종성발음 교육 예시안 5개를 제시하였다. 7종성 단음절과 중화되는 종성발음 교육 예시안 2가지, 음운변동이 일어나는 다음절 교육 예시안 3가지를 만들었다. 중국인들이 자주 오류를 범하는 폐쇄종성발음의 경우, 중국인들이 폐쇄음을 탈락시키는 오류를 범하지 않게 하기 위해 ‘불파’ 개념을 정확하게 인식시키도록 했다. 한국어의 비음종성과 중국어 비음의 차이를 분명하게 밝혀주었다. 한국어의 유음을 중국인 학습자들이 모국어의 얼화음으로 잘못 발음하는 오류의 경우, 두 언어의 조음 위치와 조음 방법의 차이를 자세히 설명함으로써 두 음소의 차이를 인식시키도록 하였다. 또한 거울을 이용하여 발음하는 입모양을 관찰하거나 젓가락으로 혀를 누르는 시정연습을 많이 하도록 제안하고, 동료와 함께하는 종성발음 교육 예시안도 중점적으로 다루었다. 또한 중국어는 음절경계가 뚜렷하고 음절 간에 음운변동이 거의 일어나지 않기 때문에 중국인 초급 한국어 학습자들은 음운변동이 나타나는 한국어 다음절 종성을 표기되어 있는 그대로 발음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중국인 초급 한국어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음운변동 규칙을 강화하여 교육하는 것이 매우 필요하다는 점을 확인하였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다음절 교육 예시안을 다양하게 만들었다. 필수적 경음화, 비음화, 유음화 등 3가지 음운 변화규칙에 대한 원리, 원리 소개표, 원리를 적용시킨 단어 등을 중국인 초급 한국어 학습자에게 효과적으로 가르칠 수 있는 방법을 소개하였다.
이와 같은 작업들은 한국어를 중국인들에게 학습시키는 교육현장에서 중국인 한국어 교사들과 중국어를 구사할지 모르는 한국인 교사들에게 종성발음의 교수방법과 발음교육에 참조할 만한 자료를 제공했다는 데 의미가 있다고 하겠다.
,韩语论文范文,韩语论文网站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