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어민 영어 교사를 위한 한국어 교재 개발 방안 : 교육 내용의 선정을 중심으로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7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본 연구는 원어민 교사를 위한 교재 개발을 위하여 학습자의 요구 분석을 토대로 교육 내용선정하고 이를 배열하고자 하였다. 먼저 기존의 모든 양적・질적 연구 결과를 종합하여 학습...

본 연구는 원어민 교사를 위한 교재 개발을 위하여 학습자의 요구 분석을 토대로 교육 내용선정하고 이를 배열하고자 하였다.
먼저 기존의 모든 양적・질적 연구 결과를 종합하여 학습자의 특징을 정리하였다. 원어민 교사는 한국어 학습 경험이 부족하고 한국에서 일하면서 의사소통과 문화적응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따라서 이들을 위한 한국어 교육이 시급하지만 실제 원어민 교사가 한국어 학습을 받는 기회가 아주 적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원어민 교사를 위한 교재 개발에 고려해야 할 다섯 가지 사항을 제시하였다. 첫째, 체류 기간 및 업무 상황을 고려한 교재의 양을 결정해야 하며 둘째, 학습자의 의사소통에 대한 요구를 반영해야 하고 셋째, 학교생활 및 일상생활에서 한국의 문화 적응 문제를 다뤄야 한다. 넷째, 서양어권 학습자의 특성을 고려해야 하며 다섯째, 자습 가능성을 고려해야 한다는 것이다.
다음은 앞서 이루어진 정리 사항을 토대로 특수 목적 교재로써 원어민 교사를 위한 교재가 이루어야할 두 가지 교재 목표에 대하여 제시하였다. 원어민 교사를 위한 한국어 교재의 목표는 첫째, 필요한 한국어 의사소통을 학습하여 원활한 직무 생활 및 일상생활이 가능하게 하며 둘째, 적절한 문화 교육으로 원어민 교사의 문화 부적응 문제를 해소함으로써 원만한 한국 생활 안착을 유도한다는 것이다. 또한 교재 목표를 달성하는데 필요한 교수요목을 함께 고려해 보았다. 의사소통을 위하여 ‘개념-기능’ 중심 교수요목, 특수 상황을 위하여 ‘주제-상황’ 중심 교수요목, 그리고 실질적 활용을 위하여 ‘과제’ 중심 교수요목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교재의 필요성과 교육 내용을 선정하기 위하여 학습자의 요구 분석을 실시하였다. 요구 분석을 하기 전 여러 문헌을 분석 및 5종의 일반 목적 교재의 분석도 같이 이루어졌다. 요구 분석은 광주, 전남에 근무하고 있는 EPIK 교사를 중심으로 이루어졌으며 직접 설문조사를 통하여 이루어졌으며 총 61명의 원어민 교사가 답변해 주었다. 설문 조사는 ‘의사소통’영역과 ‘문화’영역으로 나누었다. ‘주제-상황’ 항목과 ‘개념-기능’항목으로 나누어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를 제시하였다.
요구 분석의 결과 모두를 한 데에 모아 전체 항목을 등급화 하였다. 그리고 등급화 한 항목을 주제에 맞게 재배열하여 교육 내용을 선정하였다. 이렇게 선정된 항목에 한국어 기초 학습 단계를 추가하여 원어민 교사를 위한 한국어 교재의 단원 배열을 제시하였다. 본고에서는 한 달 분량의 교재를 생각하여 30개의 항목을 선정하였다. 결과는 기초 1과: 한국의 개관, 기초 2과: 한글 자모, 기초 3과: 수, 기초 4과: 시제, 1과: 수업 내 지시, 2과: 수업 내 벌, 3과: 수업 내 격려, 4과: 수업 내 질문, 5과: 인사, 6과: 소개, 7과: 요청과 부탁, 8과: 격려, 9과: 수락과 거절, 10과: 경험, 11과: 허락, 12과: 칭찬, 13과: 조언, 14과: 감정표현, 15과: 사과, 16과: 축하, 17과: 묘사, 18과: 의견, 19과: 전화, 20과: 고민, 21과: 흥미와 취미, 22과: 존댓말, 23과: 한국의 예절, 24과: 호칭과 지칭, 25과: 서열 문화, 26과: 공동체 문화, 27과: 청소년의 언어문화, 28과: 한국 교육 제도, 29과: 한국식 일처리방법, 30과: 비언어적 요소이다.
본 논문은 광주․ 전남에서 근무하는 원어민 교사만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기 때문에 일반화하기에 어려움이 있다. 그러나 교육 항목을 선정하고 단원 구성을 제시하였기에 실질적인 원어민 교사를 위한 교재 개발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앞으로도 다양한 원어민 교사용 교재 개발 방안이 연구되어 원어민 교사의 원만한 한국 생활 안착을 도울 수 있기를 바란다.

The aim of this thesis is to help develop Korean language books for native English teachers. The focus was about the function and need of the book. To achieve my aim analysized the learners’ needs through surveys. I found four features. The first ...

The aim of this thesis is to help develop Korean language books for native English teachers. The focus was about the function and need of the book.
To achieve my aim analysized the learners’ needs through surveys. I found four features. The first is that they had very little experience of learning Korean. Second, they have a lot of issues with communication. Third, they had issues with the Korean culture. Fourth, they have no time in their work lives to study Korean. Due to these reasons it is advised that a book is created.
We need to consider five things before creating a book. Native teachers stay in Korea for a short time, usually around two years. They are also working and not students so that they have limited time to study, this would lead to a need for a thin book. Secondly, we need to consider their communication needs. Thirdly, we need to help native teachers to understand Korean culture and life. Forth, all the native teachers are working in the English language field, They are more active learners and are used to western education systems without the grammar focus. Lastly, many students try to study alone, as they are busy.
The first purpose of the book would focus on communication, so that the native teachers can smoothly interact within their work environment.
The second purpose of the book would focus on learning about Korean culture, so that they will have an understanding of Korean culture and life.
The book will focus on the notion-function syllabus for communication. We can consider another two syllabi Topic-Situation syllabus and task syllabus.
Before the study was completed, a surveyed was compiled and completed. The survey looked at the basic needs of the students and the content of the Korean language book required.
The book would be divided into two main topics, ‘School Life’ and ‘General Life’. The topics were subdivided into culture and communication for both areas. It is felt that a focus was needed on ‘School Life’. This would be achieved through dividing the communication topic into, ‘In class’ and ‘Outside of class’. Finally, three topics were decided upon.
There were ten areas that were surveyed for life inside the classroom. These are decided upon through a great deal of research. There were twenty-six areas were surveyed about life outside of the classroom. There were an additional ten areas surveyed about Korean culture. Both of these topic areas were decided upon after through researching current Korean language books.
The survey results were ranked one through to forty-six. The results were reduced to thirty topics. These were then reorganized into three main topics, ‘In Classroom’, ‘Out of Classroom’, and ‘Culture’.
The chapters were organized into four basic chapters, thirty main chapters.
The aim of this thesis is to find the exact requirements and specifications desired by native teachers within a Korean language book. The thesis also has a syllabus created to reflect the results and research that was found.

韩语论文韩语毕业论文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