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는 중국인 학습자들이 한국어 간접 인용표현을 학습할 때 발생하는 모국어의 영향으로 인한 오류를 감소시키기 위해 한·중 간접 인용표현을 대조해 보았다. 특히 한국어 간접 ...
본 연구에서는 중국인 학습자들이 한국어 간접 인용표현을 학습할 때 발생하는 모국어의 영향으로 인한 오류를 감소시키기 위해 한·중 간접 인용표현을 대조해 보았다. 특히 한국어 간접 인용표현의 축약 형식을 자세하게 분석하고 축약 형식에서 발전된 복합 형식을 학습자들에게 어떻게 지도할 것인가에 대해서도 간략히 살펴보았다.
따라서 제1장에서는 연구 목적에 대하여 기술하고, 기존 선행 연구를 검토한 다음에 구체적인 연구내용 및 방법을 제시했다.
제2장에서는 한·중 간접 인용표현의 기본 개념을 살펴보고 문형별로 간접 인용표현의 사용 양상을 예를 들어 설명하고 특징을 밝혔다. 간접 인용표현에서 문장부호의 사용, 피인용문의 종류, 장소대명사, 관형사, 동사 ‘주다’, 그리고 간접 인용표현의 축약 현상 등을 기준으로 해서 한·중 인용표현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밝혔다.
제3장에서는 복합 형식으로 쓰이는 인용표현을 중심으로 인용문의 축약 형식과 종결어미, 상위문 동사, 연결어미, 관형형 어미, 명사형 어미간의 결합을 통해 생기는 복합 형식, 그리고 ‘-(ㄴ/는)단 말이다’와 같은 인용표현을 이용한 확인과 강조표현에 대해 중점을 두고 논의를 했다. 인용표현의 복합 형식은 일반적으로 기본 형식 ‘-다고 하다’에서 인용 조사 ‘-고’와 ‘ㅎ’가 탈락해 만들어진 축약형에 다양한 어미가 결합하여 생기는 것이다. 이때 새롭게 형성된 인용표현은 기존의 의미를 유지하거나 기존의 의미를 강조·확인하는 경우도 있으며 의미가 완전히 바뀌는 경우도 있다. 그러나 이렇게 확장된 의미는 기본적으로 본래의 의미와 관련이 있다. 이러한 이유에서 4장에서는 중국인 학습자들의 어려움을 줄이기 위한 방안으로 각각 어미들을 분리하여 분석하는 지도 방안을 제시했다.
복합 형식의 지도 방안은 인용표현이 기존의 기능을 그대로 가지고 있는 경우와 완전히 사라지는 경우를 고려하여 각각 예시 한 개씩 선택해서 설명했다. 형태 제시, 형태적 분리하여 설명, 의미 제시, 의미적으로 분리하여 설명, 담화 상황 제시, 연습 문제를 기준으로 지도 방안을 제시했다.
마지막 5장은 본 연구의 결론 부분이다. 결론과 본 연구의 기대효과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어와 중국어 인용 표현의 특징과 사용 양상의 분석을 통해 한·중 인용표현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밝혔다. 특히 한국어 간접 인용표현의 특수한 축약 형식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고, 이 축약 형식에서 발전된 인용 표현에 관한 복합 형식에 중점을 두고 지도 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중국인 학습자들이 한·중 인용 표현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보다 확실하게 인식하여, 인용표현 사용에 있어서의 오류를 줄일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
This study is based on Chinese students; it reveals the sameness and differences of quotations in both Korean and Chinese languages through the comparison and analysis of the constructions, forms and meanings, especially the unique abbreviation form o...
This study is based on Chinese students; it reveals the sameness and differences of quotations in both Korean and Chinese languages through the comparison and analysis of the constructions, forms and meanings, especially the unique abbreviation form of indirect speech in Korean, which we will give detail analysis. And we will make a detailed discussion on the compounding form that derived from the abbreviation.
This study consists of five chapters. The first chapter will g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and will give the specific contents and methods after the analysis of pre-research.
The second chapter focuses on analysis of the direct and indirect quotations in both Korean and Chinese languages. From the basic definition to the various uses, we reveal the features of quotations by taking lots of examples.
The third chapter is based on chapter two; it elaborates the sameness and differences of the quotations in Korean and Chinese languages from six perspectives, including the use of sentence symbol, the kinds of quoted passages, the pronouns of places, the articles, the verb give, and the abbreviation of indirect speech.
The fourth chapter is centered by the compounding form of quotations. Discussing the compounding form which comprises the abbreviation of quotation, final ending, connective ending, article ending, and nominal ending, in addition to the confirmation and emphasis on the use of ’-(ㄴ/는)단 말이다’. The compounding form of quotations are generally comprised by different endings and the abbreviations from the basic form ‘-다고 하다’ without ’-고’ and ‘ㅎ’. It could remain the function of the conveyance of the original quotations and the function of the quoting voice. Meanwhile, it could also make the original meaning disappeared completely, and turn it into confirmations, emphasis, or intentions. Due to the changes of the forms and meanings, the abbreviations of quotation are more complex, and the meanings are also multiple. Some of them could remain the original meanings, and the others could have outspread meanings. However, the outspread meanings are usually related to the basic meaning. In order to reduce the burden of learners, we come up with a guideline which conducted by the analysis of separated endings.
The fifth chapter comes to the conclusion. It presents the conclusion and the expected effects of this study.
,韩语毕业论文,韩语论文网站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