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에서의 한국어 교육은 최근 대학에서 그 수요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는 외국어 교육이다. 그러나 한국어는 다른 언어에 비해 고급 수준(Advanced level)까지 소요되는 시간이 길지만 다른 외...
미국에서의 한국어 교육은 최근 대학에서 그 수요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는 외국어 교육이다. 그러나 한국어는 다른 언어에 비해 고급 수준(Advanced level)까지 소요되는 시간이 길지만 다른 외국어 수업과 비슷하게 취급되어 대학교의 교양강좌로 제공되고 있으며 한국에서 이루어지는 한국어 수업과는 달리 미국에서의 한국어 교육은 학습자들이 한국어를 사용하여 발화하는 기회가 매우 적다. 따라서 부족한 수업시간 내에 학습자 간에 의사소통이 극대화되기 위해서는 매우 효과적인 교수법이 필요한데, 과제(Tasks)를 활용하는 것이 학습자 간에 서로 유의미한 상호작용을 유도하고 의사소통하게 하는 효과적인 방법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영어권 한국어 학습자들의 의사소통 능력을 향상하기 위해 과제를 효과적으로 활용하는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그러기 위해, 초급 영어권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한 요구 조사(Need analysis)와 교재 분석 결과를 근거하였다.
학습자 요구 조사는 미국 텍사스주에 있는 대학교에서 한국어 수업을 외국어로 수강하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실시하였고, 내용은 한국어 과제의 주제 유형과 과제의 활동 유형, 그리고 과제의 상호작용 유형을 중심으로 조사하였다.
교재 분석 결과에 의하면, 요구 분석에서 학습자들이 수업시간에 배우기 원하는 과제의 주제 유형으로 ‘인사’ 다음으로 ‘일과 직업’ 그리고 ‘뉴스 및 시사 문제’였는데 이 부분을 다루고 있는 초급 교재는 매우 적었다. ‘일과 직업’은 S교재에서만 다루고 있었고, ‘뉴스 및 시사문제’는 A교재에서만 다루고 있는 실정이었다. 더욱이 ‘국제 통용 한국어 교육 표준 모형’에서 제시한 1급 수준의 학습 주제들이 영어권 교재 속에 잘 내포하고 있는지 분석한 바에 의하면 교재의 약 61%(A교재)에서 73%(I교재) 정도가 1급 수준의 주제를 다루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과제의 활동 유형에 있어서 학습자들이 제일 선호하는 유형은 ‘게임하기’였으나 교재들에 나타난 ‘게임하기’과제는 8.8%에 불과했고, ‘역할극하기’, ‘그림을 활용한 말하기’, ‘복잡 문제 해결하기’ 등의 과제 유형의 빈도도 매우 낮았다. 뿐만 아니라 과제들은 해당 학습 주제와도 맞아야 하는데, 몇 교재의 과제는 학습 주제와 상관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제와 과제의 불일치는 제시 및 연습 단계에 습득된 지식 내용이 과제를 통해 활성화되기 어려울 수 있으며, 학습자들의 흥미를 떨어뜨릴 수 있으므로 한국어 교사는 주의해야 한다.
상호작용 유형에서 학습자들이 제일 선호하는 활동은 3~6명의 소그룹 활동이었으나 교재들 속에 제시된 과제를 분석한 결과에 의하면 짝 활동의 빈도가 제일 높았고, 개별 활동, 소그룹 활동, 교실전체 활동 순으로 빈도를 보였다.
따라서 미국 대학교 초급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요구조사와 영어권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교재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과제를 활용한 수업 방안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미국의 대학교 한국어 교육은 수업 시간의 부족으로 인해 수업 전체를 과제 중심으로 이끌어가기는 어려움이 있으므로, 과제를 수업 단계에 있어서 활용 단계에서 구성하고 실행하도록 한다.
둘째, 미국의 대학교 학습자들의 특성과 학습자들이 요구하는 과제의 주제 유형을 반영한다.
셋째, 학습자들이 흥미를 갖고 적극적으로 과제를 수행하도록 다양한 과제 유형을 제시하거나 그들이 요구하는 과제 유형을 반영한다.
넷째, 학습자들이 요구하는 과제의 상호작용 유형을 반영한다.
다섯째, 과제의 활동들은 수행 절차가 구체적이고 실현 가능해야 한다.
지금까지 제시한 과제의 활용 방안은 미국 대학교 초급 학습자들의 특성 및 요구 분석과 교재분석에 근거하였으므로 미국 대학교의 한국어 수업이 실제적이고 효과적인 의사 소통의 수업이 되도록 충분히 기여할 것이다. 그러나 본 연구는 초급 학습자들을 중심으로 다루었다는 점과 요구도 조사에서 참여자의 수가 적은 것이 어느 정도 한계점을 가질 수 있으므로, 후속 연구에서는 초, 중, 고급의 모든 단계를 다룰 수 있는 보편성을 갖는 연구가 이루어질 것과 더 많은 참여자들을 대상으로 요구 분석이 이루어져야 할 것을 제언하는 바이다. 그리고 학습자의 특성에 맞고 다양하고 체계적인 과제를 포함한 영어권 학습자를 위한 교재가 개발되어야 할 것과 그 교재가 과연 학습자들에게 의사소통의 향상을 유도하는지 그 효과에 대한 연구도 이루어져야 할 것을 제언한다.
,韩语论文网站,韩语论文网站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