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 담화표지 {그래}의 관용표현 기능 연구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7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연구에서는 한국담화표지 {그래}의 관용표현 기능을 분석한다. 언어 사용자는 의사소통 상황을 구성하면서 자신의 의도, 태도, 판단 및 자연스러운 표현을 위해 담화표지를 사용한다. ...

연구에서는 한국어 담화표지 {그래}의 관용표현 기능을 분석한다. 언어 사용자는 의사소통 상황을 구성하면서 자신의 의도, 태도, 판단 및 자연스러운 표현을 위해 담화표지를 사용한다. 언어 사용자는 선행요소와 후행요소의 연결 관계를 인지하며, 연결 과정 속에서 담화표지를 사용한다. 담화표지 {그래}는 의사소통의 흐름과 관련 있는 어휘소와 결합하여 하나의 굳어진 표현으로 나타난다. 인지언어학적인 관점에서 관용표현은 두 어휘소가 일정한 관계 속에서 이루어지는 의미 확장이다. 관용표현은 어휘소의 의미 확장을 통해 생성되며, 그 속성을 바탕으로 관용표현의 의미를 찾을 수 있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담화표지 {그래}의 결합 형태에 대해 관용성을 획득하여 습관적으로 굳어진 표현이라고 제시한다. 이는 화용적 관용표현이다. 이 연구에서는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 연구 방법 및 대상을 제시한 후, 담화표지 {그래}의 선행연구와 관용표현과 관련한 내용을 정리한다. 기존 선행연구의 대부분은 담화표지의 의미와 기능을 분석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담화표지와 인접 요소간의 굳어진 표현에 대해 분석한다. 3장에서는 담화표지 {그래}가 가지는 어휘 정보를 구축한다. 이는 {그래}가 가지는 속성과 인접하는 어휘소가 밀접한 관련이 있기 때문이다. <21세기 세종계획 구어 전사 말뭉치(2011.12.수정판)>를 바탕으로 {그래}의 용례를 분석하여, 결합 형태에 따라 제 1 유형에서 제 5 유형으로 나눈다.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그래}의 통사·의미 정보를 구축한다. 4장에서는 담화표지 {그래}의 관용표현 기능에 대해 논의한다. 관용표현 기능에 대한 검토는 관용표현의 정의를 바탕으로 세 가지 측면에서 분석한다. 구어 말뭉치 자료에 나타난 {그래 가지고}, {그래 놓고}, {그래 봤자}의 쓰임, 의미 관계, 결합 관계에 대해 살피며 이를 바탕으로 관용표현의 타당성을 검증하고 마지막으로 분석 결과를 제시한다. 이 연구에서는 {그래}의 실현 환경을 바탕으로 관용표현의 기능을 획득하는 것에 대한 원인과 결과를 밝히고자 한다. 이 연구는 한국어 학습자의 의사소통 능력을 위한 담화 정보로서 활용할 수 있다. 담화표지 {그래}의 어휘 정보는 한국어 정보 구축, 교수 학습 등에 활용할 수 있으며, {그래}의 관용표현 기능에 대한 교수 학습은 한국어 학습자의 의사소통 능력 신장에 도움을 줄 수 있다.

This study analyzed the function of idiomatic expressions for the Korean discourse marker {그래kulay}. Language speakers use discourse markers while organizing communication situations to express their intention, attitude, judgment, and express thes...

This study analyzed the function of idiomatic expressions for the Korean discourse marker {그래kulay}. Language speakers use discourse markers while organizing communication situations to express their intention, attitude, judgment, and express these naturally. Language users perceive the connecting relationship between leading and lagging elements and use discourse markers in the connection process. The discourse marker {그래kulay} is exhibited as a fixed expression by combining themselves with lexical elements related to the flow of communic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cognitive linguistics, idiomatic expressions are the semantic expansion of two lexical items, which are formed in certain relationships between the two elements. Idiomatic expressions are produced through the semantic expansion of lexical elements, and based on their attributes, the meanings of such idiomatic expressions can be found. Accordingly,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discourse marker {그래 kulay} is a habitually fixed expression by acquiring idiomatic attributes for its combined forms. These forms may be pragmatic idiomatic expressions. This study first introduced its purpose, necessity, subjects, and method, and then organized the contents of previous studies and idiomatic expressions regarding the discourse marker {그래kulay}. Most of the previous studies analyzed the meanings and functions of the discourse marker. In contrast, the present study analyzed fixed expressions between the discourse marker and its adjacent elements. Chapter 3 established lexical information on the discourse marker {그래 kulay}. This was because there is a close relationship between the attribute of {그래kulay} and its adjacent elements. Based on the usage of {그래kulay} was analyzed and divided into types 1 to 5, depending on its combined form.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the syntactic and semantic information of {그래kulay} was established. In addition, based on the earlier outcome, a cognitive model of {그래} and the combination forms of {그래kulay} were proposed. Chapter 4 discussed the functions of the idiomatic expression of the discourse marker {그래kulay}. These functions were reviewed from three aspects based on the definition of idiomatic expression. This chapter discussed semantic relation, combination relation, and usage regarding the meaning of the forms {그래 가지고kulay Gajigo}, {그래 놓고kulay Notgo}, and {그래 봤자kulay Bwatja}. Based on these results, the validity of idiomatic expressions was verified. Finally, the analysis results were suggested. This study intended to identify the causes and results of acquiring the mechanism of idiomatic expressions based on the attributes of {그래 kulay}. In addition, this study can be utilized in terms of enhancing the communication ability of Korean language learners in educating them. The lexical information of the discourse marker {그래kulay} can be utilized to establish information and teaching methods for the Korean language. In addition, the combining relationships of {그래kulay} can help Korean learners to use the discourse marker after understanding its meaning as an element inserted by Korean speakers to progress conversations. Eventually, this can help Korean language learners enhance their communication ability.

韩语论文题目韩语毕业论文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