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교육에서의 고전문학 활용과 교육 : 학문 목적 학습자를 대상으로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7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ABSTRACT The study on the utilization and education of korean classical literature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 Focusing on the foreign students who pursue korean academic purposes - Jiang Zhong-Hua Advisor : Prof. Lee Sang-Won. Maj...

ABSTRACT

The study on the utilization and education of korean classical literature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 Focusing on the foreign students who pursue
korean academic purposes -


Jiang Zhong-Hua
Advisor : Prof. Lee Sang-Won.
Major in Korean Literature and Linguistics
Graduate School of Chosun University


This dissertation deals with presenting a methodology of classical literature education for the students who pursue academic purposes.
Korean education has been grown up to a significant level in quantitative terms. However, there is a doubt if the Korean education has been performed on the basis of educational contents sufficient enough to cover the quantitative expansion. Particularly, there has been very few previous systematic studies in literature education including the classical literature. Therefore, this study mainly attempts to suggest a methodology of educating the classical literature as a part of Korean education.
Chapter I illustrates that the primary purpose of this dissertation is to study the methodology of educating classical literature for the students whose study purpose is academic career development. This chapter also includes the previous academic studies concerned, and points out the problems and directions.
Chapter II sets a relationship between Korean education and classical literature education, and also summarizes the names, concepts, and categories of Korean education. As a next step, this chapter explains that the culture education remains as a part of the literature education by studying the contents and categories of literature education.
Chapter III deals with the analyses and contents of questionnaire performed for this study. The contents of detailed questionnaire focuses on the students' satisfaction and response to the existing Korean education. In these results of questionnaire, the students showed a satisfaction to the Korean education generally but expressed a need of classical literature education in the future.
Chapter IV describes the cases of using classical Korean literature and their problems. The five present textbooks for Korean education were selected and analyzed to figure out their problems and to develop the more desirable textbooks for teaching the students. In general, the existing textbooks for Korean education contain very few Korean classical literature works and show a great variation from one institute to another.
In Chapter V, some constructive solutions for the better Korean education are suggested on the basis of the results of the previous questionnaire and of the textbooks for the Korean education used by the 5 Universities. This chapter also sets the goal and purpose of the classical literature education and presents the proper bases for selecting the korean education textbooks gearing to these goal and purpose. Finally, a model case of teaching-learning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is suggested by designing the multiple syllabuses classified into entry, intermediate, and advanced levels.

국문초록 이 논문은 학문목적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고전문학교육 방안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한국어교육은 그 동안 발전을 거듭하여 상당한 양적 팽창을 이룬 것으로 보인다. 하...

국문초록

이 논문은 학문목적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고전문학교육 방안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한국어교육은 그 동안 발전을 거듭하여 상당한 양적 팽창을 이룬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이런 양적 성장만큼 교수-학습의 내용이 충실하게 갖추어진 상태에서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는가에 대해서는 의문의 여지가 있다. 특히 문학교육, 그 중에서도 고전문학교육에 대해서는 체계적인 연구가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에 본고에서는 한국어교육의 한 부분으로서 고전문학교육이 어떻게 이루어져야 하는지 그 방안에 대해 고찰하고자 하였다.
Ⅰ장에서는 고전문학교육 방안을 연구하는 것이 핵심 목적이며, 그 대상은 학문목적 학습자라는 것을 밝혔다. 그리고 이와 관련된 연구사를 검토하고 그 문제점을 찾아 본고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했다.
Ⅱ장에서는 한국어교육과 고전문학교육의 관계에 대해 정리하였다. 우선 한국어교육의 명칭, 개념, 범주 등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를 바탕으로 그 다음에는 문화교육의 구체적인 내용과 범주에 대해 고찰함으로써 문학교육이 문화교육이 한 부분으로 존재한다는 것을 밝혔다. 그리고 고전문학교육은 다시 문학교육의 한 부분으로 존재하는 것임도 밝혔다.
Ⅲ장에서는 사전에 조사한 설문조사의 내용을 정리하고 분석하였다. 조사의 내용은 학문목적 학습자들이 한국어교육에 대해 얼마나 만족하고 있는지, 한국어교육에서 고전문학을 활용한 교육에 대해 어떤 인식을 갖고 있는지를 핵심으로 삼았다. 그 결과 한국어교육에 대해 대체로 만족하고 있으나 문학교육의 부족, 특히 고전문학교육의 부족에 대해 아쉬움을 나타냈으며 향후 고전문학교육이 필요하다는 인식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Ⅳ장에서는 한국어 교재에 나타난 고전문학 활용 양상을 살펴보고 그 문제점을 지적해 보았다. 이를 위해 현재 사용되고 있는 한국어 교재 중 대표적인 다섯 가지를 선정하고 이를 분석하여 그 문제점을 찾고 나아가 바람직한 교재 개선의 방향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 고전문학 작품의 수록 비중이 전반적으로 아주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기관별 편차도 매우 심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체계적인 연구를 통해 학습자 수준에 맞는 고전문학 작품을 선정하고 이를 어떻게 교육할 것인지에 대한 표준화된 방안이 나와야 할 것으로 보인다.
Ⅴ장에서는 앞부분에서의 학습자들의 요구 조사 및 5개 대학의 주요 한국어 교재 분석 결과를 토대로 고전문학교육의 방안을 제시해 보았다. 우선 고전문학교육의 목적 및 목표를 설정하였으며, 다음으로 이 목표에 부합하는 고전문학 작품 선정 기준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학습자 수준을 초급, 중급, 고급으로 나누어 단계별로 교수요목을 설계하고 구체적인 교수-학습 모형을 제시해 보았다.

韩语论文范文韩语毕业论文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