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어와 타지크어의 조사를 비교하고, 타지키스탄 학습자의 작문에 나타난 조사 오류를 분석하여 한국어 조사 교육의 기초 자료를 구축하는 것에 있다.
이를 위해 타지...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어와 타지크어의 조사를 비교하고, 타지키스탄 학습자의 작문에 나타난 조사 오류를 분석하여 한국어 조사 교육의 기초 자료를 구축하는 것에 있다.
이를 위해 타지키스탄 한국어 학습자의 쓰기 과제에 나타난 한국어 조사 사용 오류의 양상을 분석하여 학습자가 어떠한 한국어 조사를 학습하는 데에서 어려움을 느끼는지, 이러한 어려움은 두 언어의 조사가 가지는 어떠한 차이에 의해서 발생하는 것인지, 또한 쓰기에서는 어떠한 형태로 조사 사용의 오류가 발생하는지에 대해 정리하였다.
1장에서는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조사 교육에 관한 선행 연구들을 살펴보면서 이를 바탕으로 하여 본 연구의 대상 및 연구 방법을 제시하였다.
2장에서는 한국어와 타지크어를 문법적으로 대조하여 살펴본 후, 한국어와 타지크어 간 문법적 대응 체계 및 특징을 연구하였다. 한국어와 타지크어의 문장구조는 기본적으로 ‘주어/목적어/서술어’의 순으로 같은 형태를 가지며, 한국어 목적격조사 ‘을/를’에 대응하는 타지크어의 목적격조사 ‘-po[-ro]’가 한국어와 같이 목적어 뒤에 온다는 점도 같다. 그러나 타지크어에는 한국어와는 다르게 주격조사와 보조사가 없으며, 한국어의 조사에 대응하는 표현 중에는 후치사뿐만 아니라 한국어에는 없는 전치사가 존재한다는 것도 큰 특징이다.
3장에서는 한국어 조사에 대응하는 타지크어 표현을 살펴보았다. 한국어의 조사를 격조사와 보조사, 접속조사로 구분하고 이에 대응하는 타지크어 표현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4장에서는 2장과 3장에서 살펴 본 내용을 바탕으로 타지키스탄 학습자들이 한국어 조사를 학습하고 사용하는 데에서 겪게 되는 어려움에 대해 분석하였다.
그리고 5장은 결론으로 4장까지의 연구 결과를 정리하고, 타지키스탄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한 효과적인 한국어 조사 교육에서 어떠한 점을 주의해야 하는지에 대하여 제시하고자 하였다.
조사가 없는 타지크어의 문장 구조와 조사를 포함하는 한국어의 문장 구조를 대조하여 그 결과를 바탕으로 타지키스탄 학습자들의 한국어 조사 오류 양상을 정리하는 것은 효과적인 한국어 조사 교육을 위한 기초 자료 구축으로서의 의미가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trast the particles of the Korean and Tajik languages, analyze errors in the use of case markers in writings of Tajik Korean language learners, and build a database for the teaching of Korean case markers.
For th...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trast the particles of the Korean and Tajik languages, analyze errors in the use of case markers in writings of Tajik Korean language learners, and build a database for the teaching of Korean case markers.
For this, errors in the use of Korean case markers in the writing exercises of Tajik Korean language learners have been analyzed to discover what Korean case markers the learners have difficulties with, what distinctions between the case markers of the two languages have made those difficulties, and how the errors in the case markers have appeared in the writings.
Chapter one conducts a review of the literature on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and the teaching of Korean case, and based on that, describes the objectives and methodology of this study.
Chapter two compares the Korean and Tajik languages from the perspective of grammar and investigates grammatically corresponding systems and it's characteristics between the two languages. The Korean and Tajik languages have fundamentally the same sentence structure, which is ordered as ‘Subject/Object/Predicate.’ In addition, they also have the same system for the positioning of object case markers, in which ‘-po[-ro]’, the Tajik object case marker, correspondsing to ‘eul(을)/reul(를)’, the Korean object case marker, is positioned after the object, just like in Korean. However, unlike Korean, the Tajik language does not have a subject case marker or auxiliary particles, but has post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case markers of Korean and prepositions which Korean does not have.
Chapter three describes the Tajik language expressions that, correspond to the case markers of Korean. For this, Korean particles are classified into case markers, auxiliary particles and connective particles, and the corresponding Tajik expressions are investigated.
Chapter four, based on the descriptions in the second and third, analyzes errors produced by Tajik Korean language learners when using Korean particles.
Lastly, chapter five concludes this study and suggests the direction the education of Korean particles should follow to increase its effectiveness for Tajik Korean language learners.
This study, which has contrasted the construction of the Korean language with particles and the Tajik language without them, and has analyzed the errors in the use of Korean particles by Tajik Korean language learners, may be meaningful to build a database for the effective education for Korean particles.
,韩语毕业论文,韩语论文范文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