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한국에서 거주하고 있는 외국인들이 일상생활에서 수많은 한국어 자료를 접하고 필요한 정보를 취득하고 있음을 보면 한국어 읽기 교육의 중요성이 자명하다. 읽기 교육은 교재 안에 ... 현재 한국에서 거주하고 있는 외국인들이 일상생활에서 수많은 한국어 자료를 접하고 필요한 정보를 취득하고 있음을 보면 한국어 읽기 교육의 중요성이 자명하다. 읽기 교육은 교재 안에 있는 텍스트를 중심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교재 중에 수록된 텍스트는 학습자의 읽기 능력 향상에 도움이 되도록 적합한 내용을 반영하고 균형이 있고 다양한 유형으로 구성되어 있는지를 연구를 통해 파악할 필요가 있다. 본 논문의 목적은 한국어 읽기 텍스트가 가지고 있는 특징을 파악하는 데에 있다. 3개 대학교 한국어교육기관에서 현재 사용하고 있는 1급~6급 교재를 선정하여 교재 중 총 299편 읽기 텍스트를 분석 대상으로 삼아 읽기 텍스트의 유형 분석을 위해 텍스트의 기능, 구조, 주제를 나누어서 분석하고 그 유형들이 한국어 초급, 중급, 고급 교재에 각각 어떻게 나타나고 전체적인 한국어 교재 안에 어떻게 분포되어 있는가를 살펴보았다. 본 논문은 연구 목적을 이루기 위해 우선 선행 연구 검토를 통해 한국어 교육 읽기 텍스트 유형에 대한 연구의 현황 및 한계점을 살펴보았다. 대부분의 선행 연구에서 기능에 따라 텍스트 유형을 분류하였고 한국어 교재의 기능, 구조, 주제의 전체적인 구성을 동시에 분석한 연구는 많지 않았다. 다음에 읽기의 정의, 텍스트 개념, 텍스트 유형 개념을 선행 연구를 바탕으로 정리하여 이러한 개념 정리를 토대로 텍스트 기능, 구조, 주제 유형 분류의 선행 연구를 정리 비교하여 한국어 교재 텍스트 실제 상황을 고려하고 본 논문의 목적에 맞추어서 텍스트 기능을 표현, 서술, 정보전달, 설득, 사회적 상호작용 5가지 기능 유형으로 분류하고 텍스트 구조를 인과, 문제해결, 비교와 대조, 열거, 순서, 포괄-분류, 정의와 예시, 논증 8가지 구조 유형으로 나누었으며 텍스트 주제를 일상생활, 학교생활, 직장생활, 교육, 사회현상, 정치, 문화, 역사, 과학, 경제/경영, 인물 11가지 대주제 유형으로 구분하면서 기능, 구조, 주제에 따른 텍스트 유형 분류 기준 틀을 마련하였다. 이러한 틀에 맞춰 기능 유형화 방법, 구조 유형화 방법, 주제 유형화 방법 3부분으로 나눠 5가지 기능 유형, 8가지 구조 유형, 11가지 대주제 유형에 따라 각 유형의 텍스트 예시를 제시하여 교재 읽기 텍스트의 기능, 구조, 주제 유형을 어떻게 판단하는지를 설명하였다. 텍스트 유형 분류 기준과 텍스트 유형화 방식으로 먼저 교재별 텍스트 유형 분석을 하였다. 초급, 중급, 고급에 따라 각 기관의 한국어 교재 읽기 텍스트 유형을 비교한 결과 같은 급의 각 기관의 한국어 교재 텍스트 기능, 구조, 주제 유형 구성은 비슷한데 초급에는 정보전달 기능 유형, 열거 구조 유형, 생활 주제 유형은 가장 많이 나타났고 중급에는 정보전달 기능 유형, 열거와 순서 구조 유형, 생활 주제 유형이 집중적으로 반영되어 있으며 고급에는 정보전달 기능 유형, 열거 구조 유형, 전문 영역 주제 유형이 가장 많이 수록되어 있다. 다음에 각 유형의 교재 분포 상황을 파악하기 위해 각 기능 유형, 구조 유형, 주제 유형의 1~6급 교재의 분포를 조사하였다. 조사 결과 표현, 정보전달, 설득 기능 유형, 인과, 문제해결, 정의와 예시, 논증 구조 유형, 사회, 전문 영역 주제 유형은 급이 올라감에 따라 전체적으로 교재 안의 출현 빈도가 높아지는 반면에 서술과 사회적 상호작용 기능 유형, 열거와 순서 구조 유형, 생활 주제 유형은 급이 올라감에 따라 출현 빈도가 낮아진다. 비교와 대조, 포괄-분류 구조 유형은 중급에 집중적으로 가장 많이 나타났고 초급, 고급에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텍스트 기능, 구조, 주제 유형 간의 관계를 살펴보기 위해 기능 유형과 구조 유형, 기능 유형과 주제 유형, 주제 유형과 구조 유형을 비교한 결과 표현과 설득 기능 유형에 주로 나타난 구조 유형은 논증, 서술 기능 유형에 주로 나타난 구조 유형은 순서, 정보전달과 사회적 상호작용 기능 유형에 주로 나타난 구조 유형은 열거 구조 유형이고 정보전달 기능 유형에 주로 나타난 주제 유형은 전문 영역 주제 유형이고 나머지 기능 유형에 주로 나타난 주제 유형은 모두 생활 주제 유형이며 모든 주제 유형에 주로 나타난 기능 유형은 정보전달 기능 유형이고 주로 나타난 구조 유형은 열거 구조 유형이다. 이러한 분석 결과들을 정리 종합하여 한국어 교재 읽기 텍스트 유형 구성의 전체적인 특성을 귀납하여 제시하였다. 각 기관의 한국어 교재 텍스트 유형 구성은 크게 다르지 않고 초급, 중급, 고급의 교재에 나타난 텍스트 기능, 구조, 주제 유형 구성은 거의 같은 텍스트 유형에 집중하여 각 급 간의 텍스트 유형 구성에는 큰 차이가 없으며 전체 한국어 교재 읽기 텍스트 기능, 구조, 주제 유형은 다양하게 나타나지만 교재의 출현 빈도를 고려하면 정보전달 기능 유형, 열거 구조 유형, 생활 주제 유형은 많이 나타나는데 이 유형들에 비해 사회적 상호작용 기능 유형, 비교와 대조 구조 유형, 사회 주제 유형 등 다른 유형은 상대적으로 부족하다. 마지막으로 본 논문의 문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 분석 결과 및 분석 결과에 대한 논의들, 논문의 문제점을 정리하였다.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한국어 교재 텍스트 기능, 구조, 주제 유형 구성의 문제점을 제시하여 이에 대한 개선 방향을 간단히 논의하였다. 이처럼 본 논문은 3개 대학교 한국어 교재 읽기 텍스트 기능, 구조, 주제를 유형화하여 분석하였다. 3개 대학교 한국어 교재 1급~6급의 읽기 텍스트 기능, 구조, 주제 유형을 전반적으로 살펴보고 교재 텍스트 유형의 전체적인 구성을 파악하는 데에 의미가 있다. 향후 한국어 읽기 교재 개발에는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기를 기대해 본다. ,韩语论文网站,韩语论文范文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