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is study aimed to construct education information of korean address forms for elementary chinese speaking learners, in order to complement the lack of study on address term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Chapter 1 discussed the necessity of this st...
This study aimed to construct education information of korean address forms for elementary chinese speaking learners, in order to complement the lack of study on address term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Chapter 1 discussed the necessity of this study, then the research objective and the subject of the study briefly.
Chapter 2 looked into the precedent studies home and abroad from 4 aspects: study on concept of address forms in Korean and Chinese, study on system of sino-Korean address forms, analysis study on address forms vocabulary lists in primary Korean language textbooks, study on structure of primary education contents of address forms.
Chapter 3 proposed new concept and system of Korean address forms to make elementary Chinese-speaking learners easily understand, using the common denominator between Korean and Chinese forms of address in the analysis precedent study. Next, chapter 3 analyzed the address forms vocabularies in the primary Korean language textbooks. This chapter examined integrated textbooks for beginners developed by 7 representative Korean language institutes, which are Seoul National University, Yonsei University, Korea University, Sungkyunkwan University, Ewha Womans University, Kyung Hee University, Konkuk University. Also it pointed out whether there was problem in general about the type of address form vocabularies, frequency by type and etc. Next, it reviewed the accuracy, appropriacy, practicality and so on, when use the address forms in the practical situation approved in the textbook.
Chapter 4 constructed educational information of Korean forms of address for elementary Chinese-speaking learners. This chapter proposed 3 types educational information for elementary Chinese-speaking learners, which were the theoretical knowledge of Korean forms of address, use strategy of Korean forms of address, vocabularies of Korean forms of address.
최근 들어 경제적, 정치적인 면에서 한국의 국제적 위상이 상승함뿐만 아니라 한류의 영향 때문에 전 세계에서 한국어에 대한 교육적 수요가 증가하면서 한국어교육이 국내와 국외에서 활...
최근 들어 경제적, 정치적인 면에서 한국의 국제적 위상이 상승함뿐만 아니라 한류의 영향 때문에 전 세계에서 한국어에 대한 교육적 수요가 증가하면서 한국어교육이 국내와 국외에서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이런 한국어 교육의 양적 팽창을 맞으면서 한국어 교육을 효과적으로 진행하기 위해서 질적인 변화도 필요하다. 한국어 교육의 질적인 변화를 하기 위해서 교육내용의 작은 영역이라도 소홀하면 안 된다. 그런데 한국어 교육 현장에서 호칭어의 교육은 교재 구성뿐만 아니라 교사의 중요시하는 정도 모두 부족하다. 따라서 외국어로서 한국어를 배우는 외국인 학습자들은 역시 한국어의 호칭어에 대해서 소홀할 수밖에 없다. 대화의 상황에 알맞은 호칭어 사용을 모르기 때문에 호칭어를 생략해서 말하는 경우가 많다. 원만한 의사소통을 하 기 위해서 호칭어의 사용이 빼놓을 수 없는 역할을 하고 있기 때문에 한국어 호칭어를 상황이나 대상에 따라서 잘 사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 연구에서 이런 한국어 교육에서의 호칭어에 대한 교육내용의 부족을 보완하기 위해서 중국어권 초급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의 호칭어 교육정보를 구축하고자 한다.
제1장에서는 이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을 논의한 다음에 연구 대상 및 방법을 간략하게 설명할 것이다.
제2장에서는 한-중 호칭어의 개념, 한-중 호칭어의 체계, 한국어 교재에 나타난 호칭어 분석, 호칭어 교육정보 구축 등 네 가지 측면에서 호칭어에 관한 이론적 배경을 살펴볼 것이다.
제3장에서는 먼저 한국어 호칭어의 개념과 체계를 제안하고자 한다. 그 다음으로 초급 한국어교재에 나타난 호칭어 어휘목록을 분석하고자 한다. 서울대학교, 연세대학교, 고려대학교, 성균관대학교, 이화여자대학교, 경희대학교, 건국대학교 가장 대표적인 7개 대학 한국어교육기관에서 초급 학습자를 위해서 개발된 통합교재를 분석대상으로 삼고자 한다. 7개 한국어교육기관의 교재에서 나타나는 호칭어의 어휘목록의 종류, 유형별 빈도수 등이 전체적으로 어떤 문제점이 있는지를 지적하고자 한다. 그 다음으로 교재에서 나타난 실제저인 상황을 통해서 구체적인 호칭어 사용상의 정확성, 적절성, 실제성 등 문제를 검토하고자 한다.
제4장에서는 중국어권 초급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호칭어 교육정보를 구축하고자 한다. 이 장에서 한국어 호칭어의 이론지식, 호칭어의 사용전략, 한국어 호칭어의 어휘목록 세 가지 측면에서 중국어권 초급 학습자를 위해서 호칭어 교육정보를 제안하고자 한다.
제5장에서는 이 논문에서 다루던 내용에 대해서 요약하고 정리하는 결론 부분이다. 이 연구의 연구결과에 대한 정리하고 부족한 점을 검토하고 앞으로의 연구 방향에 대해서 전망하고자 한다.
,韩语论文范文,韩语毕业论文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