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준 구어 자료를 통해 살펴 본 한국어 상대 경어법 실현 양상 연구 김 정 수 본고는 한국 영화의 성장과 다문화의 합류 체계에 의한 언어생활 양식의 변화와 흐름을 반영하여 준... 〈초록〉 준 구어 자료를 통해 살펴 본 한국어 상대 경어법 실현 양상 연구 김 정 수 본고는 한국 영화의 성장과 다문화의 합류 체계에 의한 언어생활 양식의 변화와 흐름을 반영하여 준 구어 자료인 한국 영화의 시나리오 대사 부분에서 실현된 한국어 상대 경어법 실현 체계를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의 시작은 울산광역시 도서관 상영작 중 한국 영화 56편을 자료로 삼은 것으로 상대 경어법이 실현된 한국어는 공통어를 기준으로 삼았다. 또한 시나리오 대사의 상관적인 장면에서 오간 한국어 상대 경어법 실현 양상을 분석하는 것으로 하였다. 아울러 상대 경어법의 실현 양상을 통계하고 그 현황을 분석하여 체계적으로 나타내었다. 더불어 한국어 상대 경어법의 실현에 있어서 예외적 현상 및 원인을 분석하여 구명하고자 하였다. 이는 바야흐로 다국적 인류 국가인 한국의 상대 경어법 실현 양상 체계의 고찰로 한국어 사용에 대한 모색에도 기여한다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연구 자료 분석과 자료에 나타난 한국어 상대 경어법의 실현 양상을 살피는 것으로 구성하였다. 먼저 1장에서는 연구 목적을 밝히고 연구 대상 및 방법론에 대하여 제시하였다. 연구 대상 자료인 한국 영화 56편을 AVI 파일로 다운로드 후 Mp3 파일로 재생하여 화자와 청자가 상관적 장면에서 주고받은 대화의 음성만을 추출하여 정리하고 분석하여 실현된 한국어 상대 경어법 체계를 체계적이고 규범적으로 해석하였다. 이를 위해서는 자료를 장르별, 등급별(관람 가능 연령), 연대별(영화의 배경, 개봉)로 세분하였다. 2장에서는 선행 연구자들의 성과를 검토하여 한국어 상대 경어법 체계를 개관하고 기초 연구를 정리한 후 몇 가지 문제점을 제기하였다. 첫째, 나이와 친소 관계가 요소로 작용한 횡적 관계에서의 경어법 실현 연구가 많은 부분을 차지함을 들었다. 둘째, 상대 경어법 실현에 있어서 ‘하게체, 하오체’에 대한 논의가 계속 되고 있지만 이 두 화계의 사용은 크게 위축되어가고 있음을 들었다. 셋째, 상대 경어법 실현이 격식체와 비격식체로 양분 체계로 나뉘어져 문법적인 한계를 벗어나지 못한 점 등에 대해서는 향후 논의가 계속되어져야 할 것이라고 보았다. 3장에서는 연구 자료를 분석하고 이를 통계하여 한국어 상대 경어법의 실현 양상을 ‘하십시오체, 하오체, 하게체, 해라체, 해요체, 해체’로 자료에서 가져온 예문으로 제시하여 나타내었다. 4장에서는 3장에서 논의한 분석 자료를 통한 체계적인 제시에 이어 체계적이고 규범적이지 않은 한국어 상대 경어법의 실현 양상 및 원인을 분석하고 이를 구명하는 것으로 논의를 맺고자 하였다. 중심어: 준 구어 자료, 한국어 상대 경어법, 상대 경어법 실현 양상, 체계적, 격식체, 비격식체, 규범적. ,韩语论文,韩语论文范文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