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purpose of this study forms an integrated representation of grammatical functions within Korean language teaching contexts by selecting target grammatical expressions and classifying them as grammatical functions and semantic features. Basic in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forms an integrated representation of grammatical functions within Korean language teaching contexts by selecting target grammatical expressions and classifying them as grammatical functions and semantic features. Basic information is provided on how these semantic structures are graded based on progression of language learning. The frequency of the structures in research and textbooks, the frequency of the structures within a corpus, and the recommendations from experts on when new expressions should be introduced to students are presented. Practical examples are provided using meta-quantitative methods based on the given information.
The subjects of the study are the grammatical function words that generate new meanings by integrated representation when two or more grammatical elements or lexemes such as ‘ending/particle’, ‘particle/ending’, ‘ending/ending’, ‘particle/predicate’, or ‘ending/noun/particle’ are combined in Korean grammar education.
This is organized as follows. First, this study defines the grammatical function words as ‘grammatical expressions.’
Second, criteria is provided and the selection of the grammatical expressions are presented based on the criteria. From 1,376 target materials extracted from dictionaries, 324 grammatical expressions were selected based on seven selection criteria as presented in this .
Third, the grammatical expressions are analyzed and graded. The frequency of grammatical expressions in standard Korean language textbooks and in the internationally recognized standards , Teaching Korean, Step 2, are analyzed. An examination of the frequency of the grammatical expressions within the Sejong Morpheme Analysis Corpus is presented. Korean education professionals were consulted to classify the grammatical expressions into the grading structure. Last, from the results of the analyses, practical examples are presented using meta-quantitative scoring.
The integrated representation of grammatical function words do not receive much attention when teaching grammar to native Korean speakers. However, in contexts where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is taught, there is general acceptance of teaching grammatical expressions in an integrated way. Therefore, selecting grammatical expressions and grading processes described in this are meaningful.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increase the effectiveness of training Korean language instructors as it clearly captures the reality of grammatical function words in an integrated form selected from actual Korean language education samples. Furthermore, the methods proposed and evidence presented in this study can be used as a foundation for reexamining the classification and presentation of grammatical expressions in Korean dictionaries as well as selecting and reordering these expressions in Korean grammar textbooks.
이 연구에서는 한국어교육을 위한 통합 형태의 문법적 기능어인 문법표현을 선정하고 그것을 문법 기능과 의미 기능으로 분류하였다. 그리고 기존 연구결과물과 교재에서의 제시 현황을 보...
이 연구에서는 한국어교육을 위한 통합 형태의 문법적 기능어인 문법표현을 선정하고 그것을 문법 기능과 의미 기능으로 분류하였다. 그리고 기존 연구결과물과 교재에서의 제시 현황을 보이고 말뭉치를 활용한 빈도 조사, 전문가 평정과 같은 등급화를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였다. 이러한 자료를 바탕으로 메타 계량적 방법으로 실제 등급화의 예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 연구의 대상은 한국어 문법 교육에서 어미/조사, 조사/어미, 어미/어미, 조사/용언, 어미/명사/조사 등과 같이 2개 이상의 문법 요소 혹은 어휘 요소가 결합한 통합 형태로 쓰여 새로운 의미를 생성하는 문법적인 기능어이다.
본고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의 대상인 2개 이상의 문법 요소 혹은 어휘 요소의 통합 형태로 새로운 의미를 생성하는 문법적인 기능어에 대한 용어를 ‘문법표현’이라고 명명한다.
둘째, 문법표현의 선정 기준을 제시하고 선정한다. 문법표현 선정을 위하여 기존의 사전을 바탕으로 1,376개의 선정 대상 자료들을 추출하여 본고에서 제시한 7가지 선정 기준에 따라 324개 항목의 문법표현을 선정하였다.
셋째, 문법표현을 등급화한다. 본고에서 선정한 문법표현들을 대상으로 기존의 한국어 교재와 국제통용 한국어교육 표준모형 개발 2단계에서의 등급 제시 현황을 살펴보았다. 또한, 세종계획 형태소 분석 말뭉치를 기반으로 문법표현의 사용 빈도를 조사하여 제시하였다. 뿐만 아니라 한국어 교육 현장 전문가의 검증 과정을 거쳐 본고에서 선정한 문법표현 전체를 대상으로 등급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교재와 표준모형, 빈도, 전문가 평정의 결과를 메타 계량적 방식으로 점수화하여 최종 등급화를 사례를 제시해 보았다.
이러한 통합 형태로 쓰이는 문법적인 기능어들은 모어 화자를 대상으로 하는 문법 연구의 영역에서는 그다지 주목 받지 못하고 있었으나,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 현장에서는 통합 구성의 내부를 분석하지 않고 덩어리로 교수하는 것이 일반화되어 있다. 그러므로 본고의 문법표현 선정과 등급화의 과정은 의의가 있을 것이다.
이 연구의 결과물은 실제 한국어교육에서 일반적으로 선택되는 통합 형태의 문법적 기능어들의 실체를 교수자들이 쉽게 파악하여 교육의 효과를 높일 수 있을 것이다. 나아가 한국어 사전에서의 제시 방안과 한국어 교재 편찬 시에 문법 항목의 선정과 배열의 근거 자료가 될 것이다.
,韩语论文范文,韩语论文题目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