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마음"과 중국어 "心"의 개념 은유적 대조 연구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7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本論文選取韓國語和中文的心族詞語及其表現爲素材,以認知語言學下的概念隱喻爲主要理論背景,將兩國的心族詞語及表現中體現出的隱喻現象加以比較略论,從而考察兩國心族詞語以及...

本論文選取韓國語和中文的心族詞語及其表現爲素材,以認知語言學下的概念隱喻爲主要理論背景,將兩國的心族詞語及表現中體現出的隱喻現象加以比較略论,從而考察兩國心族詞語以及表
現的使用情況的共同點與差異。並以此爲基礎,爲學習韓國語的中國學習者模擬設計關於心族詞語概念隱喻學習的具體方案,希望不僅在外語學習的提高上對中國學習者有所幫助,也希望使更
多的學習者了解韓中兩國的文化以及思維方式的差異。
人類對於隱喻的認識起源於2000年前,20世紀80年代由於萊考夫和約翰遜等認知語言學學者作品的誕生,對隱喻的探讨更進了一步,使我們得知隱喻源於人類的身體經驗以及社會經驗所產生的
認知,並非只是詩歌中才出現的修辭手段。在我們的日常生活中隱喻無處不在,尤其是概念隱喻,更是對我們的語言學習以及日常交流有巨大影響。因此我們有必要將概念隱喻進行探讨對比,
使它有效地幫助我們的外國語學習。
本論文首先考察了韓中兩國對於心族詞語及表現的先行探讨,又對大量的對照語言學的先行探讨進行了考察。隨後從韓中兩國權威大辭典以及語料庫中選取具有代表性的語料以概念隱喻爲理論
背景加以對比和略论,韩语论文题目,從而闡述韓中兩國心族詞語及表現的共同點與差異。探讨發現,韓中兩國‘心’的概念隱喻表現雖然有很多共同點,但由於文化背景,曆史背景,社會背景,語言習慣等
原因而產生的不同的思維方式的影響,使得隱喻表現也存在著一定的差異。例如,在概念隱喻下的空間隱喻中,‘心’在中國語中體現了更多的表達方式;韓國語的‘心’通常被認爲抽象的事
物,而中文中的‘心’不僅表示抽象的事物還表示著人類的心髒這一實體,因此在隱喻表達中,也出現了更加廣泛的表達方式。正是因爲這樣,韩语论文题目,中國學習者在學習韓國語的時候可能會產生一些
理解上的誤差以及誤會。因此,論文爲中國學習者模擬設計了以概念隱喻爲主題的韓國語課程方案,並同時提出了教授-學習中需要注意的問題,從而希望能對中國學習者在韓國語學習以及日
常交流中有一定的幫助。

국문 초록 본고에서는 인지언어학 관점에서 한국어의 ‘마음’과 중국어의 ‘心’에 관련된 표현의 개념은유 특성을 살펴보고, 한중 마음 은유 표현을 구체적으로 비교하여 양국 언...

국문 초록

본고에서는 인지언어학 관점에서 한국어의 ‘마음’과 중국어의 ‘心’에 관련된 표현의 개념적 은유 특성을 살펴보고, 한중 마음 은유 표현을 구체적으로 비교하여 양국 언어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밝히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바탕으로 한중 '마음' 은유 표현이 일상 언어에서 어떻게 이루어져 있는지를 살펴보고 언어별 차이와 문화배경 차이 등 요소를 고려하여 중국인 학습자에게 개념은유 교육을 실시해야 할 필요성을 검증하고 실제 수업에서의 교육 방안을 설계하도록 한다.
Ⅰ장에서는 연구 목적과 연구 방법을 제시한다. 한국어 ‘마음’에 관련된 연구와 중국어의 ‘’과 관련 연구를 우선적으로 검토하고, 다양한 대조 언어학적 연구 또한 살펴보도록 한다. 이를 통하여 본 연구의 범주를 설정하고 문제를 제기한다.
Ⅱ장에서는 본 연구의 이론 배경이 된 개념적 은유 이론을 살펴본다. 먼저 은유의 개념을 살펴보고 인지언어학 대표적인 학자 Lakoff & Johnson 제기한 개념적 은유 이론의 유형 별로 구체적으로 제시하고 설명하도록 한다.
Ⅲ장에서는 한국어 교육에서 개념적 은유 교육을 실시할 필요성과 교육의 방향을 살펴보도록 한다. 일상 언어 중에서 은유 표현의 빈번한 쓰임에 따라 한국어교육 과정에서도 은유 교육을 실시하기 시작하였다.
Ⅳ장에서는 한국어 ‘마음(심)’과 중국어 ‘心’의 사전적 의미를 비교 분석한 뒤 다양한 확장의미를 대조 분석한다. 조현용(2000:100)에 따라 교육용 어휘 범주를 파생어와 합성어, 관용어, 음성 상징어로 분류하였다. 본고에서 확장의미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어휘의 파생 형식과 복합 형식, 그리고 관용구절 형식으로 나누어 한·중 양국의 은유 표현 구성 형식의 차이를 대조한다. Lakoff & Johnson(1980)에서는 개념적 은유를 인지적인 기능에 따라 지향적 은유(orientational metaphors), 존재론적 은유(ontological metaphors), 구조적 은유(structural metaphors)로 은유의 양상을 구분하였다. 이 장에서는 개념적 은유 이론을 배경으로 하여 '마음'의 특성에 따라 존재론적 은유와 지향적 은유 두 가지 면으로 나누어 대조 분석을 실시한다. 어휘의 은유 양상을 살펴볼 뿐만 아니라 구체적인 예문 중에서 은유 표현이 어떻게 이루어져 있는지에 대해서도 함께 대조 분석한다. 대조 분석을 통해서 한중 '마음' 은유 표현의 차이점을 밝히고자 한다.
마지막 Ⅴ장에서는 앞장에 검토한 내용을 바탕으로 한중 ‘마음’ 은유 표현이 일상생활에서 어떠한 활용적인 측면으로 쓰이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또한, 한국어교육에서 중국인 학습자가 '마음'은유에 대한 습득을 이루기 위해 은유 표현 하나를 선택해서 교육을 위한 활용 방안 설계를 시도한다. 이에 따라 개념적 은유 표현이 현재 한국어교육에서 어떻게 이루어져 있는지, 또한 앞으로 한국어교육에서 개념적 은유 교수-학습을 실시할 때 유의해야 할 점을 검토하겠다.
이 연구에서 한국어 '마음(심)'과 중국어 '心'의 은유 표현을 살펴보면, 두 언어에서 '마음'을 언어화하는 과정에 많은 부분이 서로 대응하거나 비슷한 점이 많이 있다는 것을 검증하였다. 한국어 교육면에서 보면, 한국어를 배우는 중국인 학습자에게 이런 대조 분석이 의의가 크다. '마음(심)' 은유 표현을 나타내는 일상 언어 중에서 중국어의 영향을 받지 않고 헷갈리지 않게 사용할 수 있도록 도움이 되기 위해 은유 표현 활용 방안의 설계가 매우 중요하다.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