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 쓰기의 오류 분석 및 교육 방안 연구 : 문장 성분의 호응 관계를 중심으로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7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Abstract) This research aims to propose an appropriate sentence writing education plan by analyzing and identifying Korean sentence writing errors of students focusing on the agreement relation between sentence constituents. Chapter 2 examines the ...

Abstract)
This research aims to propose an appropriate sentence writing education plan by analyzing and identifying Korean sentence writing errors of students focusing on the agreement relation between sentence constituents.
Chapter 2 examines the status of writing education in Korean educational environments, identifies problems, examines the correlation between writing education and sentence structure and discusses sentence structure forms and agreement relations.
In chapter 3, we discuss surveys that were done to understand sentence writing abilities of beginner level to ‘phase 2’ students of Korean at a university. Results show that there are many errors that do not meet agreement relations with predicate words due to errors in case marker of each sentence constituents and that students’ knowledge of subjective postposition, objective proposition and adverbial case markers were not concrete. Also, of the agreement relation between subject-predicate, objective proposition-predicate, object-predicate, and adverbial phrase-predicate, there were many errors in adverbial phrase-predicate agreement relation and there were most errors related to adverbial case markers-restriction case markers and predicate. Based on this, in chapter 4, we attempt to provide direction on the agreement relation of adverbial phrase and predicate which had the most errors. We first examined restriction case markers which have agreement relation with predicate in a sentence with adverbial case markers as shown in beginners’ textbooks. On this we proposed a plan focusing on input strengthening method of sentence structure awareness, rearrangement of sentences from use and change of dictogloss and context based vocabulary professor plan, a study method through sentences.
Currently, for precise and proper sentence writing in Korean education classes on structure and constituents and their agreement relation must be enhanced and alternated and along with appropriate reflection on weakness in sentence writing education in Korean education, we anticipate further research with various points of view.

쓰기는 단순히 말을 글자로 옮기는 과정이 아니라 문자 기호를 사용하여 자신의 생각을 독자에게 전달하는 의사소통 과정 중의 하나이다. 다른 의사소통 상황에서처럼 글을 쓰는 경우에도 ...

쓰기는 단순히 말을 글자로 옮기는 과정이 아니라 문자 기호를 사용하여 자신의 생각을 독자에게 전달하는 의사소통 과정 중의 하나이다. 다른 의사소통 상황에서처럼 글을 쓰는 경우에도 목적이 있고 글을 읽는 대상이 존재한다. 보통 말을 할 때에는 상대방의 표정, 억양, 몸짓과 함께 상대방의 생각을 전달 받을 수 있고 제대로 이해했는지 확인이 가능하다. 하지만 쓰기의 경우 독자가 함께 있지 않은 경우가 대부분이므로 독자가 이해하는 데 어려움이 없도록 완전한 구조의 문장으로 의사를 전달해야 한다. 완전하고 바른 문장을 쓰기 위해서는 문장 쓰기부터 올바르게 써야 한다고 주장하는 바이며 바른 문장 쓰기 능력 향상을 위해 문장 구조 중심 교육의 필요성을 느끼는 바이다.
이에 따라 이 연구에서는 현재 한국어 교육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실제적인 문제점을 점검해 보고 글과 단락 구성 중심의 쓰기 교육을 위해서는 글의 기본 단위인 문장부터 바르게 써야 한다는 것에 중심을 두고 바른 문장을 쓰기 위해서는 문장을 이루고 있는 성분들 간의 구조와 호응 관계를 학습자 스스로 인지하고 활용할 수 있어야 한다고 본다. 따라서 한국어를 학습하는 초급 과정부터 문장 구조 중심의 교육에서 문장 성분 간의 호응 관계에 대한 지도가 필요하다고 주장하는 바이며 이 논문에서는 문장의 호응 관계를 주어와 서술어 호응 관계, 목적어와 서술어 호응 관계, 부사어와 서술어 호응 관계를 중심으로 연구하였다. 이를 위해 현재 대학 기관에서 한국어 초급 과정 2단계의 학습자 82명을 대상으로 문장 쓰기 능력 파악을 위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는데 설문조사는 주어진 문장에 알맞은 주어, 목적어, 부사어의 격조사와 서술어와 함께 호응 관계를 맺는 부사어를 쓰는 빈칸 채우기, 어휘를 제시하고 이를 사용하여 문장을 만드는 문장 완성하기였다. 그 결과 빈칸 채우기의 평균 정답 개수는 10개 중 5.6개 정도였으며 정답률은 57.9%였다. 10문제의 문장 완성하기의 평균 정답 개수는 3.6개로 34.6%에 달하는 저조한 정답률을 보였다. 문장 완성하기에서는 각 문항의 어절을 설문 조사 대상 수만큼 통계를 낸 결과 문장 완성하기의 전체 어절은 3,772어절로 이 중에서 전체 오류 어절 수는 655어절이었다. 이를 다시 전체 오류 어절에서 각 성분의 오류 어절을 분석하고 조사하였다. 각 문장 성분의 격조사에 대한 오류로 인해 서술어와의 호응 관계가 이루어지 않아 학습자들이 주격 조사와 목적격 조사, 그리고 부사격 조사에 대한 오류가 상당 부분 나타났는데 특히 주격 조사 ‘이/가’와 목적격 조사 ‘을/를’의 사용에 대해 혼돈하여 잘못 사용하는 경우를 볼 수 있었고 그와 더불어 부사격 조사에서 장소를 나타내는 ‘~에’와 ‘~에서’의 쓰임에 대한 오류를 많이 볼 수 있었다. 이를 통해서 학습자들이 문장 성분의 격조사에 대한 정확한 지식 정보가 아직 확립되지 않았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주어와 서술어, 목적어와 서술어, 부사어와 서술어의 호응 관계 중에서 부사어와 서술어의 호응 관계에서 많은 오류를 발견할 수 있었으며 특히 빈칸 채우기 영역과 문장 완성하기 영역에서 부사격 조사 ‘~에’, ‘~에서’, ‘로’ 등과 ‘아마~ (으)ㄹ 것이다’와 같은 제약 부사어와 서술어의 호응 관계에 대한 오류가 가장 많이 나타났다. 이는 학습자들이 문장 성분이 무엇과 호응 관계를 이루고 있는지에 대한 지식 부족으로 인한 것이라 보며 이에 대한 교육 방법을 고려해 봐야 한다고 본다. 따라서 이를 기반으로 가장 많은 오류를 보였던 부사어와 서술어의 호응 관계에 대한 교수 방안을 마련하였는데 먼저 초급 교재에 나타나는 부사격 조사와 문장 내에서 서술어와 호응 관계를 맺고 있는 제약 부사어에 대해 살펴보았다. 또한 나아가 부사격 조사 그리고 부사어와 서술어가 호응 관계를 맺고 있는 부사어에 대해, 입력 강화 기법을 활용하여 수업 진행 시에 문장의 구조를 이루는 격조사나 문장의 성분을 굵은 글씨체나 이탤릭체 등을 활용하여 학습자들로 하여금 문장의 구조화를 암시하고 입력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교육 방안을 제시하였다. 두 번째 교육 방안으로 딕토글로스를 활용· 변형한 문장의 재구성을 통해 문장의 호응 관계를 인지시키도록 하였는데 이는 듣기나 읽기 등의 다른 영역과 함께 학습하면서 활용하는 있는 방안으로 요즘 통합교육을 지향하는 한국어 교육 현장에서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는 교육 방안이라고 본다. 듣기만을 위한 수업이 아니라 듣기 수업을 진행하면서 문장 쓰기를 활용하여 듣기의 내용을 재구성하고 평가할 수 있어 다양한 효과를 기대해 볼만한 교육 방안이라고 생각한다. 문맥 중심의 어휘 지도를 통해서 하나하나의 어휘보다는 문장 구조를 통해서 어휘를 익히고 그를 재생산할 수 있는 교수 방안을 제안하였다.
하지만 이 연구는 초급만을 대상으로 하여 연구를 하였기에 학습 단계별 분석이 함께 이루어졌다면 교육에 보다 효과적인 연구 결과를 기대할 수 있었을 텐데 그러지 못했다는 아쉬움이 남는다.
현재 한국어 교육은 의사소통에 중점을 두고 있으

참고문헌 (Reference)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