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선 추적 장치를 활용한 문법성 판단 과정 분석 연구 : 문장 성분의 호응 오류를 중심으로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7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연구는 정규 교육과정을 이수하는 한국어 모어 학습자의 문법성 판단하는 과정분석하고 그 자료를 학습자 중심 문법 교수·학습에 활용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연구자는 시선 ...

본 연구는 정규 교육과정을 이수하는 한국어 모어 학습자의 문법성 판단하는 과정을 분석하고 그 자료를 학습자 중심 문법 교수·학습에 활용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연구자는 시선 추적 장치를 활용하여 우리의 인식 속에만 존재했던 ‘문법성 판단 과정’이라는 추상적인 요소를 구체적이고 객관적인 자료로 도출해 내어 이를 교육 자료로 활용하는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1장에서는 교육과정이 제시하고 있는 교실 수업의 모습과는 이질적인 현재 교육 현장의 교수·학습 실태에 대해 진단하고, ‘학습자 중심의 문법 교육’의 일환으로 진행될 본 연구의 타당성을 검토하였다. 연구의 범위는 ‘문장 성분의 호응을 판단하는 과정에 대한 분석’으로 한정하였다. ‘문법성 판단 능력’의 넓은 범위 가운데서도, 문장 성분의 호응을 판단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 학습자는 말을 할 때뿐만 아니라 글을 쓸 때 문장 구성상의 오류를 범하기가 쉽기 때문이다. 교육 현장에서는 이와 같은 문장 성분 호응 오류를 수정하는 방안에 대해 다루고 있으나 매우 짧은 시간 내에 지식적인 측면에서만 가르치고 넘어가는 양상을 보이고 있으며, 대입 시험만을 대비하기 위해 이를 가르치는 모습은 평생에 걸쳐 교수·학습되어야 하는 ‘말을 제대로 부려 쓸 줄 아는 능력’의 함양이 충실히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현실을 보여주고 있다. 이와 같은 문제의 대안을 논의하기 위해 2장에서는 문장 성분의 호응의 개념과 그 사례를 다룬 연구 및 학습자 중심의 탐구 학습에 관한 연구사를 검토함으로써 본 연구의 이론적 배경을 다지고자 하였다. 또한 이 연구의 큰 방법론인 시선 추적 이론이 여러 학문 분야에서 어떤 방식으로 적용되고 있는지 검토하고 나아가 국어 문법 교육에서 정착할 수 있는 가능성을 모색하였다. 이와 함께 본 실험에 들어가기에 앞서 세 차례의 예비 실험을 통해 정립하게 된 문법 교육에서의 시선 추적 방법론에 대해 서술하였다. 3장에서는 세 차례의 예비 실험을 바탕으로 다시 설계된 본 실험을 실제 교수·학습 활동으로 구현한 과정을 서술하였다. 일련의 실험 과정을 통해 본고는 다음과 같은 교육적 의미를 도출해 내고자 하였다. 첫째, 그동안 교수자와 학습자에게 감(感)의 영역이었던 ‘문법성 판단 과정’이라는 보이지 않는 실체를 객관적인 자료로 드러내 보이고자 하였다. 둘째, 이와 같은 과정을 바탕으로 기존의 학교 문법, 특히 교과서에서 제시하고 있는 ‘~해야 한다’와 같은 규범적인 기술의 한계를 벗어나고자 하였다. 셋째, 학습자가 문장의 오류를 판단하는 과정을 시선 추적의 결과물이라는 생체 신호로 치환함으로써 향후의 문법 교수·학습 방법에서부터 문법 교육 평가 방법까지의 확장 가능성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본고는 문법성 판단 과정이라는 비가시적인 요소를 ‘시선 추적의 결과물’이라는 구체적인 형태로 제시하고 이를 교수·학습의 자료로 활용하는 실험적인 교실 수업의 모습과 향후 그것의 발전 가능성을 제시하였다는 측면에서 의미를 지닌다.

This study has its purpose in analyzing a grammatical comprehension process of the students attending the regular curriculum, & in utilizing the data(material) from the process onto the learner-centered grammar teaching & learning afterwards. ...

This study has its purpose in analyzing a grammatical comprehension process of the students attending the regular curriculum, & in utilizing the data(material) from the process onto the learner-centered grammar teaching & learning afterwards. The intends to suggest a method of utilizing an educational material using an Eye Tracker drawing a concrete, and objective data of ‘grammatical comprehension process’, which remained as an abstract notion in our perceptions. The 1st chapter diagnoses the current situations of the field of teaching and learning in its inconsistency with its curriculum and examines the validity of the very study that is demonstrated as one of the series of ‘learner-centered grammar education.’ The range of this study is limited to ‘an analysis on the process of grammatical comprehension on the error of the correspondence between the sentence elements.’ Among the wide range of ‘grammatical comprehensive competence,’ learners who have difficulty in comprehending the correspondence between sentence elements are prone to make an syntactic errors so it is needed to have an empirical discussion to prevent learners from such difficulties in their grammatical performances. To discuss the alternatives of these problems, the 2nd chapter looks through history of the research in the relation of the correspondence between sentence elements and learner-centered inquiry learning to solidify a theoretical background of this study. Moreover, as a major methodology of this study, the 2nd chapter examines how the Eye Tracking theory is applied on the other fields of studies, and furthermore sought its potential in taking a root in the field of Korean grammar Education. The 2nd chapter also gives a general description about Eye Tracking methodology in Korean grammar education. The 3rd chapter deals with the entire process of teaching and learning that is designed through the previous 3 pilot tests. Through the series of experiment processes, this study meant to draw educational points as follows-First of all, this study meant to uncover an invisible realm: ‘grammatical comprehensive process’ through a concrete and objective data. Secondly, this study means to depart from the shortcomings of normative description about ‘grammar in school education,’ particularly the way that is presented in textbook. Thirdly, by substituting ‘error-correcting process’ of learner's upon the materials of eye tracking, this study seeks a possibility of an extension in range from the methods of grammar teachings in further days to the means of the evaluations on grammar education. This study has its point in suggesting a concrete output of grammatical comprehension process which was an invisible realm & in offering its potential with an experimental classroom in the utilizations of the theory presented in this study in teaching and learning.

참고문헌 (Reference)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