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고는 일본어 모어 학습자의 관점에서 다음과 같은 두 가지 가설을 설정하였다. 첫째, 학습자는 자신의 모국어에 일대일로 대응되지 않는 한국어 연어 유형의 경우 연어 사용에 어려움을 ... 본고는 일본어 모어 학습자의 관점에서 다음과 같은 두 가지 가설을 설정하였다. 첫째, 학습자는 자신의 모국어에 일대일로 대응되지 않는 한국어 연어 유형의 경우 연어 사용에 어려움을 느낄 것이다. 둘째, 학습자의 모국어와 목표어 간에 어휘 공백이 발생하는 경우 특히 이러한 연어 유형 사용에 어려움을 겪을 것이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일한 병렬 준구어(드라마) 말뭉치를 기반으로 일한 연어의 대응 유형을 분류하고 그 대응 양상을 언어 간 어휘 공백 현상을 통해 설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서론에서는 연구 자료 및 방법을 밝히고 연어 연구에 관련된 국어학과 한국어 교육학에서의 선행 연구들을 간략히 살펴보았다. 2장에서는 본고에서 사용하는 연어의 개념과 범위를 설정하고 어휘 공백의 개념과 발생 원인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본고에서는 외국어 교육의 입장에서 어휘 공백을 넓은 의미에서 살펴보았으며, 한국어와 일본어에서 나타나는 어휘 공백 현상을 어휘 공백이 발생하는 원인에 따라 ‘어휘 부재’, ‘범주적 공백’, ‘통사적 공백’, ‘화용적 공백’으로 나누어서 살펴보았다. 3장에서는 기존에 이루어진 한일 연어 유형 대조 연구를 검토하고 고급 단계 일본인 학습자 말뭉치에서 나타난 연어 사용 오류 분석을 통해 한일 연어의 대응 유형을 새롭게 분류한 분석틀을 마련하고 그 분류 기준을 설정하였다. 한국어와 일본어 연어의 대응 유형을 크게 일치형과 불일치형으로 나누고 의미적, 형태?통사적 차원에서 살펴보기 위해 다시 1유형(일치), 2유형(의미상 불일치), 3유형(조사 불일치), 4유형(연어 구성 불일치)의 네 유형으로 분류하였다. 그리고 다시 하위 유형을 세부 유형으로 분류하였다. 4장에서는 새롭게 마련한 한일 연어 유형 분석틀을 바탕으로 하여 일한 병렬 말뭉치를 대상으로 한국어와 일본어 연어의 대응 유형을 크게 네 유형으로 분류하고 각각 하위 유형으로 분류하였다. 그리고 하위 유형 안에서 다시 세부 유형으로 분류하고 각 유형의 빈도와 비율을 살펴 한국어와 일본어 연어의 대응 유형에서 어떠한 유형이 많이 나타나며 어떠한 양상으로 대응되는지를 해당되는 유형의 용례 분석을 통해 면밀하게 살펴보았다. 그 결과, 학습자 말뭉치에서 연어 사용 오류율이 가장 높았던 2유형 의미상 불일치보다도 4유형 연어 구성 불일치가 높은 비율을 차지하여 실제로 한국어와 일본어 연어의 대응 유형에는 4유형의 비중이 높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연어 구성 불일치는 통사적 공백이 발생하게 되는 원인이 되는데, 고급 단계 학습자 말뭉치에서 나타난 일본어 모어 학습자의 연어 사용 오류 분석 결과와의 비교를 통해 일본어 모어 학습자가 이러한 연어 유형의 사용을 회피하고 있을 가능성이 있다고 보았다. 5장에서는 한국어 모어 화자와 일본어 모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일한 번역 테스트를 실시하여 한국어 모어 화자 다수가 일치하는 번역을 모범답안으로 설정하고 이를 기준으로 일본어 모어 학습자의 번역 테스트를 평가하였다. 이를 통해 학습자 말뭉치에서는 나타나지 않았던 학습자의 회피 오류까지도 살펴, 실제로 학습자가 어떠한 연어 유형을 어려워하는지를 밝힐 수 있었다. 그 결과, 4유형에서 오류율이 가장 높게 나타나, 실제로 일본어 모어 학습자가 4유형의 연어 사용을 가장 어려워하고 있으며 그 사용을 회피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한편 한국어 모어 화자를 대상으로 한 번역 테스트에서도 제 2 언어인 일본어 영향으로 보이는 간섭오류가 나타나, 통사적 공백이 발생하는 4유형 연어의 경우, 일본어 모어 학습자뿐만 아니라 한국어 모어 화자조차도 이러한 유형에 대응되는 한국어 연어를 찾는 데 어려움을 느끼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결론에서는 연구 결과를 요약하고 본 연구의 의의와 한계점을 밝혔다. 본 연구 결과가 일본어 모어 학습자의 부정적 전이로 인한 연어 오류를 줄이고 학습자의 의사소통 능력을 향상시키는 데 도움을 줄 것을 기대한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어휘 공백 현상 중 통사적 공백뿐만 아니라 ‘어휘 부재’와 ‘화용적 공백’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을 제언하였다. ,韩语论文题目,韩语论文题目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