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중「한국어 교육과정」의 실제를 밝히고, 심층 면담을 통해 탈북 중학생들의 특징을 분석한 후 이들을 중심으로 한「한국어 교육과정」구현 방안...
본 연구의 목적은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중「한국어 교육과정」의 실제를 밝히고, 심층 면담을 통해 탈북 중학생들의 특징을 분석한 후 이들을 중심으로 한「한국어 교육과정」구현 방안을 모색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한국어 교육과정」의 전반적인 내용을 검토하되, 성취 기준과 언어 재료는 중학교에 해당하는 내용만을 다루었다. 또한 일상적인 의사소통에는 큰 어려움이 없으나 학업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탈북 중학생을 연구 대상으로 삼았다.
「한국어 교육과정」의 목표는 다문화적 배경을 가진 학생이 한국어로 의사소통할 수 있는 생활 한국어 능력과 교과 학습을 수행할 수 있는 학습 한국어 능력을 기르는 것이다. 또한 이들이 한국 사회의 일원이 될 수 있도록 문화 의식과 태도도 함께 기르고자 하였고, 이에 따라 내용 체계와 성취 기준이 구성되었다.
탈북 중학생의 특징을 밝히기 위한 심층 면접은 필자가 근무하고 있는 광주광역시 Y 중학교에 재학 중인 5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들을 북한과 제3국에서의 교육 경험을 바탕으로 세 가지 유형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공통으로 일상적인 의사소통에는 큰 어려움을 느끼지 않으나 어휘력 부족으로 학업에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또한 입국 전에 배우지 않은 사회, 역사 과목을 어려워했고, 모둠이나 학생 활동 위주의 남한 수업 방식에 잘 적응하지 못했다.
탈북 중학생을 위한「한국어 교육과정」구현 방안은 생활 한국어와 학습 한국어로 나누어 제시하였다. 생활 한국어에서는 소설을 활용해 어휘력을 신장할 수 있는 수업 모형을 제안하고 학습 한국어에서는 사회 과목에서 배운 주요 어휘와 관련된 신문 기사를 활용하는 수업 모형을 제안하였다. 수업의 실제에서는 각각의 수업 모형을 활용한 실제 수업 지도안과 수업에 활용할 수 있는 학습지를 함께 제시하였다.
심층 면담을 통해 탈북 중학생들의 특징을 분석하고 이를「한국어 교육과정」에 적용하여 학교에서 활용할 수 있는 구체적인 수업 방안을 제안했다는 점에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소설을 활용한 생활 한국어 수업과 신문을 활용한 학습 한국어 수업이 탈북 중학생들은 물론 고급 단계 한국어 학습자들의 수업에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practice of「KSL Curriculum」among the school curriculum and to find ways to realize「KSL Curriculum」, based on analysing features of middle school students from North Korea by interviewing. Though the gen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practice of「KSL Curriculum」among the school curriculum and to find ways to realize「KSL Curriculum」, based on analysing features of middle school students from North Korea by interviewing. Though the general part of「KSL Curriculum」is examined, the achievement criteria and language cover especially the middle school level. Also, the middle school students from North Korea who do not have difficulties of communication but in trouble with their academic studies are the focus of this experiment.
The aim of「KSL Curriculum」is to have the students of multi-cultural family improve both the communication skills for daily purpose and the ability of Korean for academic purpose. The cultural awareness and receptive attitudes towards Korean society are also included for the goal. Contents system and criteria are made to fulfill these aims.
Five students from Y Middle school in Gwangju in which the writer works are interviewed for analysing the characteristics of middle school students from North Korea. Based on the education experiences in North Korea and the third country, students are classified into three categories. Difficulties in academic studies due to lack of vocabulary remains common in all interviewers. Social studies and history are hard subjects that are never leaned before, and the teaching process in South Korea which is focused on the group study and student-centered activities gives difficulties in adaptation.
The「KSL Curriculum」implementation plan for North Korean students is suggested in the Korean for both daily purpose and academic purpose. While in the Korean for daily purpose the class model which can help increase vocabulary skills is proposed, the model which use the news articles related to the vocabulary in social studies class is suggested in the Korean for academic purpose. The real practice for the class presents the teaching plan for each class model and worksheets for the class.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o analyse North Korean students through interview and suggest the specific teaching plan for students in「KSL Curriculum」. The teaching methods of Korean class for daily purpose through novels and for academic purpose using newss are expected to be shown in class for not only North Korean students but also the advanced-level Korean learners.
,韩语论文,韩语论文范文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