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 인과관계 연결어미와 접속부사 습득양상에 대한 연구 : 중급단계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7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This aims to analyze the syntactic-semantic properties and the function of discourse which causal connective endings and causal conjunctive adverbs of Korean have, and at the same time to research how Chinese learners of the intermediate Korean ...

This aims to analyze the syntactic-semantic properties and the function of discourse which causal connective endings and causal conjunctive adverbs of Korean have, and at the same time to research how Chinese learners of the intermediate Korean acquire the causal connective endings and causal conjunctive adverbs in Korean. The major research method of this thesis is to collect the translation data and the free writings of the learners and to analyze them.The research motivation and purpose of this thesis are as follows: First, Korean and Chinese are languages of two different types in that Korean is an agglutinative language while Chinese is an independent language. Therefore, the Chinese learners who study a distinctive language from their mother tongue will inevitably make mistakes when they use the causal connective endings and causal conjunctive adverbs of Korean. I am curious about what kinds of mistakes they will make in this respect. Through the research of this question, we may catch a glimpse of how the type of native language affects the acquisition of the second language. Second, the conjunctive endings and adverbs of Korean are the discourse markers connecting clauses or sentences. Whether one can correctly use the conjunctive endings and adverbs reflects the learner’s command of Korean. This thesis is composed as follows: The second chapter, based on the previous researches, discusses about the differences of causal connective expressions in Chinese and Korean, the former being the native language of the Chinese learners and the latter being the target language for study. In addition, this chapter also deals with the influence of the native language on the acquisition of second language from the perspective of second-language acquisition. It also touches upon the theory of interlanguage. This chapter paves the way for the analysis of how well Chinese learners use the causal connective endings and causal conjunctive adverbs of Korean and what mistakes they make. The third chapter elaborates the research object, process, results and discussion of this research. The research method is as follows: first, take the students of the level-3 and level-4 classes in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Center of Silla University as the objects and send out translation task. The translation task involves the Chinese-Korean translation of sentences with causal relationship. In order to avoid the influence of locality and environment during the survey, free writings of intermediate learners of Korean in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Center are also collected. The results of the analysis can be divided into “how well they use the conjunctive endings and adverbs” and “what mistakes they make.” First, analysis will be made in terms of the translation and free writings. A contrastive analysis is followed. Finally, the conclusion will be drawn from the analysis. The fourth chapter, as the conclusion, summarizes the research results of the and points out some drawbacks of the in view of the research object and research method. I hope that this will contribute to Korean language teaching by letting more people understand how Chinese learners of intermediate Korean master causal connective endings and causal conjunctive adverbs and applying it to the formulation of advanced teaching plan.

본고는 한국어에서 인과 관계 연결 어미와 인과 관계 접속 부사의 통사·의미적 특징과 담화 표지로서의 역할을 살피는 동시에 이에 대한 중국중급 한국학습자의 습득 양상에 대하여 ...

본고는 한국어에서 인과 관계 연결 어미와 인과 관계 접속 부사의 통사·의미적 특징과 담화 표지로서의 역할을 살피는 동시에 이에 대한 중국중급 한국어 학습자의 습득 양상에 대하여 연구하고자 한다. 이 연구의 주요 연구 방법은 자유 작문 과제와 번역 과제 등을 수행하게 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 연구의 동기와 목표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착어인 한국어와 고립어인 중국어는 서로 다른 유형에 속하는 언어이므로 모어(L1)와 다른 유형의 언어를 목표어(L2)로 학습하는 중국인 학습자들이 인과 관계 연결 어미와 인과 관계 접속 부사를 사용하는 데 특별한 경향성과 오류의 양상이 나타날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둘째, 한국어의 연결 어미와 접속 부사는 담화 구조의 결속을 유지시키는 담화 표지이다. 이러한 표지의 적절한 사용은 한국어 학습자의 숙달도를 판단할 수 있는 근거가 된다. 특히, 중급 화자를 대상으로 이 연구를 진행하는 것은 고급 단계로의 발전 가능성을 가늠할 수 있는 기준이 될 수도 있다.
이 연구는 다음과 같은 순서로 진행될 것이다. 제2장에서는 기존의 연구를 토대로 중국인 학습자의 모어인 중국어와 목표 언어인 한국어 사이에 존재하는 언어 유형론적 차이와 외국어 습득의 관점에서 나타나는 L1이 L2의 습득에 미친 영향, 중간 언어 이론 등을 살펴보았다. 이것은 중국인 학습자가 인과 관계 연결 어미와 인과 관계 접속 부사의 습득 양상을 분석하기 위한 기초 작업이라고 할 수 있다. 이어서 제3장에서는 본 연구의 연구 대상, 연구 방법과 절차, 연구 결과를 제시하고 토론을 통해 연구의 의의를 논의하였다. 구체적인 연구 방법은 우선, 신라대학교 한국어 교육 센터 3급반, 4급반에 공부하고 있는 중국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중국어 인과 관계 연사가 포함된 중국어 문장을 한국어로 번역하라는 과제를 주어 자료를 수집하였다. 그리고 번역 과제에서 나타나는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신라대학교 한국어 교육 센터 중급 단계 학습자들의 자유 작문을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그리고 연구 결과를 인과 관계 접속 표현의 사용 경향성과 오류 양상으로 나누어 논의하였다. 마지막 4장은 본고의 결론으로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고 연구 대상과 연구 방법 등에 나타난 한계를 검토하고 평가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한국어 교육 현장에서 중급 중국인 학습자의 한국어 인과 관계 연결 어미와 인과 관계 접속 부사의 습득 양상을 이해하고 고급 단계로 발전할 수 있는 교육 방안을 발전시키는 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韩语论文范文韩语论文题目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