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인도네시아인 한국어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한 한국어 관용구 교육과 교재 및 사전 개발에 활용될 수 있는 기초 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신체어휘를 중심으로 한국어와 인도네시... 본 연구는 인도네시아인 한국어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한 한국어 관용구 교육과 교재 및 사전 개발에 활용될 수 있는 기초 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신체어휘를 중심으로 한국어와 인도네시아어의 관용구를 대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어기초사전』의 고빈도 신체어휘 관용구 324개를 대상으로 이에 대응되는 인도네시아어 신체어휘 관용구를 형태적, 통사적, 의미적 측면에서 대조하였다. 또한 한국어 교육적 관점에 초점을 두어 인도네시아인 한국어 학습자들이 일으킬 수 있는 부정적 전이를 예측하였고 특히 유의해야 할 유형들을 제시하였으며 대조 분석 결과와 『한국어기초사전』의 정보를 바탕으로 대조 자료를 구성하였다. 1장에서는 관용구의 중요성 및 학습의 어려움을 지적하고 인도네시아인 한국어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한 대조 연구의 필요성과 본 연구의 목적을 제시하였다. 또한 연구 대상과 절차 및 방법에 대해서 소개하고 신체어휘 관용구 대조 관련 선행 연구들을 검토하여 기존 논의의 핵심과 문제점을 정리하였다. 2장에서는 본 연구의 배경이 된 대조 분석 이론의 개념과 중요성 등을 살펴보고 관용구의 개념에 대한 양국의 기존 선행 연구들을 비교 및 검토하여 본 연구에서 살펴볼 관용구의 개념과 범위를 분명히 하였으며 형식적 측면, 의미적 측면, 품사 결합 측면을 중심으로 양국 관용구의 유형을 고찰하였다. 3장에서는 연구 대상 한국어 신체어휘 관용구 324개를 대상으로 이에 대응되는 인도네시아어 신체어휘 관용구를 형태적, 통사적, 의미적 측면에서 대조하였다. 먼저 양국의 사전을 통해 해당 신체어휘의 사전적 의미를 대조한 후 ‘표현과 의미가 같은 경우’, ‘표현은 같지만 의미가 다른 경우’, ‘의미는 같지만 표현이 다른 경우’, ‘상이한 신체어휘로 대응되는 경우’, ‘대응 표현이 없는 경우’ 이렇게 다섯 가지 대응 유형에 따라 분석하였다. 4장에서는 3장에서 대조 분석한 내용을 바탕으로 형태·통사적 측면, 의미적 측면, 한국어 교육적 측면으로 나누어 대조 분석 결과를 정리하였다. 먼저 형태·통사적 측면에서는 귀납적 분석을 통해 양국 관용구의 형태·통사 구조를 밝히고 형태·통사 구조에 있어서 두드러진 차이를 보였던 조사와 어미, 어순과 수식구조, 연속동사, 부사를 중심으로 관용구의 예와 함께 차이점과 공통점을 살펴보았다. 또한 의미적 측면에서는 대조 유형별 신체어휘 빈도와 의미 대응률을 알아보고 신체어휘 각각의 의미적 대응 결과를 통해 대응률에 대한 원인을 고찰하였다. 마지막으로 한국어 교육적 측면에서는 대조 유형별 빈도와 전이 형태별 비율을 알아보고 가능한 전이 형태에 따라 인도네시아인 한국어 학습자들의 오류를 예측하였으며 특히 유의해야 할 유형들을 제시하고 설명하였다. 5장은 본 연구의 결론으로 전체 내용을 요약 ․ 정리하고 의의와 한계점을 제시하여 논의를 마무리하였다.
This study compares and contrasts Korean and Indonesian idioms focused on human body parts to provide basic data that can be used in Korean idiom education and textbook and dictionary development for Indonesian learners in the future. 324 most frequen... This study compares and contrasts Korean and Indonesian idioms focused on human body parts to provide basic data that can be used in Korean idiom education and textbook and dictionary development for Indonesian learners in the future. 324 most frequently used idioms of human body parts selected from 『Korean Basic Dictionary』 were compared and contrasted with Indonesian idioms in morphological, syntactic, semantic aspects. From a pedagogical point of view, Indonesian Korean language learners' negative transfer was predicted and the types that require extra attention when teaching Korean idioms were suggested through the result of this study. Contrasting data is composed based on the result of comparative analysis and『Korean Basic Dictionary』. Chapter 1 prese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through the importance and difficulty of learning idioms and the necessity of contrastive study for Indonesian Korean language learners. This chapter also introduces the research procedures and methods including research subjects and summarizes the key issues of the existing discussion by reviewing previous research related to idioms of human body parts. Chapter 2 examines the concept and importance of contrastive analysis and review the previous studies on the concept of idioms in order to clear the concept and scope of the idioms for this study. Types of idioms in Korean and Indonesian were investigated focused on morphological aspect, semantic aspect, combination of parts of speech aspect. Chapter 3 compare and contrasts the selected 324 Korean idioms of body parts with the corresponding Indonesian idioms in morphological, syntactic, semantic aspects. First, the meanings of the selected idioms were compare and contrasted through Korean and Indonesian dictionaries. Then, it was analyzed in accordance with the five corresponding types: ‘the same expression and the same meaning’, ‘the same expression but the different meaning’, ‘the same meaning but the different expression’, ‘correspond to different idioms’, ‘no corresponding expression’. Chapter 4 summarizes the result of contrastive analysis based on morphological, syntactic, semantic and Korean language pedagogical aspects. First, syntactic structure of the idioms in Korean and Indonesian were revealed through inductive analysis and the differences and similarities were investigated focused on particles and endings, word order, modification structure, continuous verbs and adverbs. In semantic aspect, the frequency for each contrastive type and response rate of meaning were identified and the reason for the response rate were examined through the corresponding result of each body part vocabulary. Finally, in Korean pedagogical aspect, the frequency of the five corresponding types and ratio of transfer types were identified, Indonesian Korean learners’ possible errors were predicted, and types that requires extra attention were given and described. Chapter 5 summarizes the study and concludes the discussion by presenting the significance and the limitations of the study. concludes this study. 참고문헌 (Referenc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