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 쓰기 교육을 위한 텍스트 분석 연구 : 한국인 모어 화자의 감상문과 한국어 교재의 감상문 텍스트 비교 분석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7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연구한국어 학습자들의 감상문 쓰기 교육을 위한 감상텍스분석 연구이다. 텍스분석의 대상으로 한국인 모어 화자의 감상문 텍스트와 한국어 교재의 감상문 텍스트를 분석, ...

본 연구는 한국어 학습자들의 감상문 쓰기 교육을 위한 감상문 텍스트 분석 연구이다. 텍스트 분석의 대상으로 한국인 모어 화자의 감상문 텍스트와 한국어 교재의 감상문 텍스트를 분석, 비교하여 제언하는 것에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한국인 모어 화자들이 생산해 낸 감상문 텍스트 80부를 분석하였다. 분석 방법은 Omanson(1982)의 텍스트 분석 방법을 분석도구로 사용하여 주로 일반적인 감상문의 특징을 추출했다. 감상문 특징으로 일반적인 구조 배치의 순서, 정형화된 표현의 측면에서 분석했다.
그 결과 한국인 모어 화자들이 감상문을 쓸 때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구조가 있음을 발견하였다. 높은 출현 비율 순으로 살펴보자면 ‘제목(97%), 감상(93%), 이해(72%), 해석(65%), 평가(53%)’으로 나타났다. 특히‘제목, 감상’구조는 한국인 모어 화자들의 대다수가 채택하고 있는 구조로 감상문의 필수 구조였다. 이어서 나타난 ‘이해, 해석, 평가’ 역시 감상문이 가지는 특징적인 구조이다. 그러나 높은 출현 비율 순으로 구조가 나타난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제목, 이해, 해석, 평가, 감상’의 순서로 배치하고 있다. 구조 내의 정형화된 표현 역시 발견할 수 있었는데 정형화된 표현은 구조의 특징을 반영한다. 이를 바탕으로 한국인 모어 화자는 다양한 정형화된 표현을 전략적으로 사용하여 감상문 텍스트를 구성하고 있다.
한국인 모어 화자 감상문 텍스트의 분석 후 그 내용을 토대로 한국어 교재와의 비교 분석을 시도하였다. 확인한 결과 ‘해석’ 구조가 결여되어 있는 등 일반적인 구조가 부족하다. 정형화된 표현 역시 한국인 모어 화자의 텍스트에 비해 단편적인 표현만 사용한다. 한국인 모어 화자가 사용하는 일반적인 구조와 정형화된 표현이 충분히 반영되어 있지 않기에 교육에 대한 제언을 통해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와 같은 분석의 결과는 다음과 같은 의의를 가진다. 감상문 텍스트의 일반적인 구조와 정형화된 표현은 감상문 쓰기의 교육 자료로 제시하려 한다. 교육 자료로 제공되는 구조와 정형화된 표현을 고려한다면 담화공동체가 요구하는 감상문 쓰기가 가능하다. 또한 학습자들의 감상문 쓰기에 대한 부담을 줄일 수 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몇 가지 한계를 가지고 있음을 밝힌다. 감상문 쓰기의 교육 자료로서 일반적인 구조와 정형화된 표현을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그러나 교육 자료를 활용한 수업의 구성은 미처 제안하지 못했다. 또한 실험 연구를 통한 검증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감상문의 일반적인 구조와 정형화된 표현을 교육 자료로 사용한 수업 모형의 제시와 효과성 검증에 대한 후속 연구를 기대해 본다.

This is a review text analysis study for Korean language learners' review instruc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suggestions for the Korean language learners' review writing by analyzing and comparing the review t...

This is a review text analysis study for Korean language learners' review instruc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suggestions for the Korean language learners' review writing by analyzing and comparing the review texts of native Korean speakers and Korean textbooks. First, 80 review s of native Korean speakers were analyzed. The texts were analyzed mainly with the Omanson's(1982) analysis tool. The analysis was carried out from the aspects of the general structure arrangement order and formulaic expressions as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view .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is a common structure while native Korean speakers writing review s. Use rates of each part of the structure is as follows, title(97%), appreciation(93%), understanding(72%), explanation(65%), appraisal(53%). Especially the structure of "title, appreciation" was an indispensible structure which most native Korean speakers chose for their s. The following 'understanding, explanation, appraisal' was also a distinctive structure for review s. But the structure was not a fixed one with the order of the above use rate. It was generally in the order of "title, understanding, explanation, appraisal, appreciation'. Formulaic expressions were also found, and they were showing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
Based on the results of native Korean speakers' review text analysis, the study intended to carry out comparative analysis with Korean textbooks. And as a result, the review s of the Korean textbooks lack general structure such as "explanation" part. As for the formulaic expression, the review s of the Korean textbooks were using fragmentary expressions mostly, different from the review s of native Korean speakers. Since the characteristics of review s of native Korean speakers were not sufficiently reflected in the textbooks, so the solution was given by presenting suggestions about the review instruction.
The analysis results have the following significances. This study is significant because it gave out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review s as lecturing materials. Paying attention to the structure provided in the lecturing materials and formulaic expression, Korean language learners could write review s which native Korean conversational community asks for. And also the load of writing review s on the Korean language learners could be lightened.
Lastly, this study has some limits. It didn't suggest the Korean lesson design using lecturing materials, and verification through experimental research was not carried out. Follow-up studies on effectiveness verification and instruction model suggestion using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review s as the lecturing material are expected.

韩语论文韩语论文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