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태국인 한국어 학습자가 한국어 토론 활동에 참여하는 토론 발화 양상을 중간언어적 관점에서 분석하여, 태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한국어 말하기 능력을 신장시키기 위한 토론 교...
본 연구는 태국인 한국어 학습자가 한국어 토론 활동에 참여하는 토론 발화 양상을 중간언어적 관점에서 분석하여, 태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한국어 말하기 능력을 신장시키기 위한 토론 교육 방안을 구안하고자 하였다.
외국인이 한국인들과 한국어로 의사소통을 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듣기와 말하기 능력이 필요하다. 그런데 실제 한국어 의사소통 상황을 살펴보면 한국어를 학습하는 태국인 학습자들은 말하기에 어려움을 느끼고 있다. 그 이유는 한국과 태국 간에 언어적 차이 및 사회적 차이가 있고, 태국 현지에서 한국어를 학습하는 상황에서 한국어 수업 시간 외에는 한국어를 연습할 수 있는 기회가 적기 때문이다. 그리고 태국 내 한국어 말하기 교육은 교사 중심의 문법 수업 위주로 이루어지고 있다. 이에 따라 학습자들은 맥락 및 상황이 반영되어 있는 대화가 아닌, 독립적인 짧은 문장의 반복과 모방에 익숙해져 있기 때문에 상황에 맞는 실제적인 대화에는 많은 어려움을 느끼고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실제적인 의사소통 상황인 토론 활동을 통하여 말하기 능력을 신장시키는 방안을 연구하고자 한다. 왜냐하면 토론에는 다양한 발화 유형이 포함되며, 화자는 이러한 발화 유형을 활용하여 자신이 설명하고자 하는 바를 명확하게 이해시킬 수 있는 방법을 찾아야 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집단 담화인 토론에서는 다양한 상호작용을 경험할 수 있다. 그러나 토론을 실시한다고 해서 학습자의 말하기 능력을 무조건 신장시킬 수 있는 것은 아니다. 태국인 한국어 학습자가 한국어로 발화할 때에는 다양한 오류가 나타나는데, 이때의 오류는 학습자의 중간언어라고 할 수 있다. 토론 중에 나타나는 중간언어에 대해 교사가 그것의 발생 원인을 찾고 오류를 분석하여 학습자를 가르친다면 학습자의 말하기 능력을 더욱 신장시킬 수 있을 것이다.
2장에서는 한국어를 제2 언어로 활용하고자 하는 학습자에게 교육해야 하는 토론은 말하기 장르로서의 토론으로, 지금까지 한국어 교육에서 유창성 향상을 위해 집단 활동의 연습이나 활동 수단으로서 수행해 온 토의와는 다른 개념임을 밝히며 토론의 개념을 분명히 설정하였다. 다음으로는 태국식 교육 토론의 형식 및 절차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태국식 교육 토론을 활용한 한국어 말하기 교육의 의의에 대해서도 살펴보았다. 이는 중간언어, 토론과 말하기 교육 및 태국에서의 한국어 토론 교육 현황 등을 살펴보았다.
3장에서는 태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태국어로 토론 발화 양상과 한국어로 토론 발화 양상을 살펴보았다. 한국어로 토론 발화 양상에 어떠한 문제점이 있는지를 파악하였다. 태국인 한국어 학습자가 팀별로 토론에 참여한 실제 토론 발화 구성 양상을 설정한 토론 발화 기준에 따라 분석하였다. 내용 측면에서는 풍부성, 적절성, 타당성을 형식 측면에서는 논리성을 표현 측면에서는 유창성, 정확성을, 마지막으로 태도 측면에서는 토론 규칙 준수 및 상대방에 대한 태도로 세분하여 토론 발화 양상을 살펴보았다.
다음 4장에서는 3장에서의 분석 결과에서 파악한 태국인 학습자의 한국어 토론 발화 구성 능력을 통해서 말하기 능력을 신장하기 위한 교육 내용을 설계해보고자 하였다. 태국인 학습자가 실제 한국어 토론에서 보인 중간언어 양상을 오류로서 파악하고, 그 오류가 발생하게 된 원인에 따라 한국어 토론 발화를 구성하기 위한 실질적인 교육 내용을 마련하는 것이 본 연구가 목표한 바이기 때문이다. 교육 내용의 설계는 토론 교육의 목표, 토론 교육의 내용, 토론 교육의 방법으로 나누어 이루어졌다.
Abstract
A Study on Debate education for Thai learners of Korean language
Kanokkorn Tanyarak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acilitate debate education for Thai Learners of Korean as a means of improving speaking proficiency, by analyzing ...
Abstract
A Study on Debate education for Thai learners of Korean language
Kanokkorn Tanyarak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acilitate debate education for Thai Learners of Korean as a means of improving speaking proficiency, by analyzing speech patterns that they show when taking part in debate from an interlanguage perspective.
To communicate freely with native Korean speakers, good listening and speaking skills are necessary. Unfortunately however, most Thai learners of Korean have difficulties in speaking in practical situations. That is because there are linguistic and social differences between two countries and less opportunity for Thai learners to practice Korean apart from their lesson hours. In addition, Korean speaking classes in Thailand adopt teacher-focused and grammar-oriented education. Therefore, Thai learners are accustomed to repeating and imitating independent short sentences without context and situations reflected in conversations, which cause a lot of difficulties in actual communications.
This study aims to explore ways to foster Korean speaking skills through debate, which is practical communication because it includes a variety of speech patterns and debaters must consider how to make others understand their thoughts with utilizing these speech patterns. Moreover, debate is a type of collective discourse and allows participants to interact with each others. It must be recognized, however, that debate education does not always link to improvement in learners’ speaking skill. When Thai learners debate in Korean, they make a wide range of errors which are learners’ Interlanguage. If teachers investigate reasons for these mistakes and correct learners with their analysis, speaking abilities of their students will be further developed.
In Chapter 2, the concept of debate is clarified, as the debate, taught to learners willing to speak Korean as a second language, is different from discussion which has been often utilized as exercise and method of group training for language fluency in Korean education. Next, I studied formats and procedures of Thailand’s debate education methods, examined the meaning of Korean speaking education using them, and also explored Interlanguage, the connection between debate and speaking education, and the current status of Korean debate education in Thailand.
In Chapter 3, by taking a look at the features that Thai learners of Korean present when they debate in Thai and Korean respectively, I investigated problems revealed during the debate speech in Korean. Thirty-five intermediate Thai learners of Korean were divided into two teams and participated in debate. Their speech patterns were analyzed according the following criteria: content (richness, appropriateness and validity), form (logicality), expression (fluency and accuracy) and attitude (rule observance and manner toward others).
Finally, in Chapter 4 I suggest education program for Thai learners’ speaking abilities improvement based on the findings in Chapter 3.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comprehend inter-linguistic aspects in Korean debate as errors and to design practical education program for constituting debate speech in Korean according to the cause of errors. The debate education program is comprised of its goals, contents and methods.
,免费韩语论文,韩语毕业论文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