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study aimed to compare between korean and chinese fortis phonetically and phonologically, and examine the aspects of chinese learners' pronunciation of korean fortis. It also aimed to investigate the environment and types of errors in tenseness an...
The study aimed to compare between korean and chinese fortis phonetically and phonologically, and examine the aspects of chinese learners' pronunciation of korean fortis. It also aimed to investigate the environment and types of errors in tenseness and its realization aspects for chinese learners.
Using PRAAT, we made an acoustic measurement of the initial and intervocalic values of the korean fortis /ㅃ, ㄸ, ㄲ, ㅉ, ㅆ/(Voice Onset Time, Closure Duration Time, Pitch value of the following vowel, Friction section) produced by korean native speakers, and the chinese fortis /b, p, d, t, g, k, z, c, zh, ch, j, q, s, sh, x/ produced by chinese speakers, and we compared and analyzed both of them. Then, we found out the acoustic phonetic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them.
Moreover, inorder to check whether Chinese speakers manage to learn korean fortis easily, if it has similarity with the Chinese pronunciation, we conducted a reading test including 150 chinese learners from all korean language levels(basic, intermediate, and advanced). Through this experiment we examined the aspects of their pronunciation of korean fortis. indeed, the results showed 30.5% of error rates. If we examine it according to proficiency level from basic to advanced, we notice that the number of errors definitely decreased as the proficiency improved. From basic to intermediate the number of errors decreased as well. However, from intermediate to advanced level, the number of errors decreased but not as much as the basic one and this is due to fossilization factor. The examination produced three types of errors: the error of pronouncing the fortis as a lenis(type 1), the error of pronouncing the fortis as an aspirated(type 2), and the error of pronouncing the fortis as an affricate aspirated(type 3). The Error(Type 1), compared to(Type 3) appeared to be 25 times more occurring, which means that this error is very serious. The Chinese participants were divided to conduct the experiment. The result showed that the error from basic to advanced level definitely decreased as their language proficiency improved. From basic to intermediate level the number of error decreased while from intermediate to advanced there was not much decrease because of fossilization factor.
Furthermore, in order to examine the aspects of Korean tenseness pronunciation of Chinese learners, a reading test of Korean tenseness was conducted. It included 30 chinese learners(basic, intermediate, and advanced levels). Through the aspects of tenseness pronunciation, tenseness could be identified by the difficult environment and error type. Error rate was examined based on 6 types of tenseness environment indicated in the Korean standard pronunciation. Errors are classified into 4 type: the first one is error in pronouncing it as it's written. The second one is error in eliminating final consonant in preceding syllable and pronouncing lenis as lax consonant. The third one is error in pronouncing consonant connected behind as aspirated. The fourth one is error in unability to pronounce tenseness in low environment.
Results examination generally showed that Chinese learners in basic level have highest error rates. Chinese learners in intermediate and advanced levels appeared to have similar error rates which are somehow low though the number of errors was not small. Furthermore, the environment that learners in all levels found it hard was the tenseness that comes behind final consonant. Error rates in all environment showed highest rates in basic level, and as it goes up to intermediate level error rates appeared with horizontal line, which could be understood by that existence of fossilization in intermediate level.
본 연구는 한국어의 경음을 중국어 발음 음운 구조와 음성학적 대조를 하여 중국인 학습자들의 한국어의 경음 발음 양상을 규명하고자 한다. 그리고 경음화 오류 환경과 그 유형을 조사하여...
본 연구는 한국어의 경음을 중국어 발음 음운 구조와 음성학적 대조를 하여 중국인 학습자들의 한국어의 경음 발음 양상을 규명하고자 한다. 그리고 경음화 오류 환경과 그 유형을 조사하여 중국인 학습자들의 경음화 실현 양상을 조사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한국인 화자와 중국인 화자가 어두와 어중 위치에서 발화한 한국어 경음 /ㅃ, ㄸ, ㄲ, ㅉ, ㅆ/을 중국어 /b, p, d, t, g, k, z, c, zh, ch, j, q, s, sh, x/ 발음의 VOT, 폐쇄지속시간, 후행 모음 피치, 마찰구간을 PRAAT로 측정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두 언어 발음의 음향음성적인 유사점과 차이점을 발견했다. 또 중국어의 발음과 비슷할 경우 중국인 학습자들이 경음을 쉽게 배울 수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서 초급, 중급, 고급 총 150명의 중국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경음 읽기 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을 통해서 중국인 학습자의 한국어 경음 발음 양상을 살펴보았다. 실험 결과, 30.5%의 오류율을 보였다. 숙달도별로 살펴보면 초급에서 고급으로 언어에 대한 숙달도가 향상된 만큼 경음 발음의 오류수가 확연히 줄어들었다. 그러나 초급에서 중급으로 향상된 경우 오류수가 크게 감소하였으나, 중급에서 고급으로 향상된 경우는 화석화 현상으로 인해 오류수의 크게 감소하지 않았다. 그리고 오류 유형으로는 ‘경음을 같은 조음방법의 평음으로 발음하는 것’(유형1), ‘경음을 같은 조음 방법의 격음으로 발음하는 것’(유형2), 그리고 ‘마찰음의 경음을 파찰음의 격음으로 발음하는 것’(유형3)으로 세 가지가 나타났다. 그리고 유형1, 즉 경음이 평음으로 발음되는 것이 유형3에 비해 약 25배나 더 많이 나타난 것으로 보아 그 심각성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중국인 학습자의 한국어 경음화 발음 양상을 살펴보기 위해서 초급, 중급, 고급 각 30명의 중국인 학습자에게 경음화 읽기 실험을 하였다. 학습자들의 경음화 발음 양상을 통해 경음화가 어려운 환경과 오류 유형을 알아보았다. 실험 결과는 경음화를 <표준발음법>에서 제시한 6가지 환경으로 나누어 환경별 오류율을 살펴보았다. 오류 유형은 4가지로 분류되었다.
첫째는 적혀 있는 대로 발음하는 오류이다.
둘째는 선행음절의 받침을 탈락하거나 후행음절과 연음해서 평음으로 발음하는 오류이다.
셋째는 뒤에 연결되는 자음을 ‘격음’으로 발음하는 오류이다.
마지막으로 맞은 환경에서 경음화를 일어나지 못하는 오류이다.
이를 통해 살펴본 결과 전체적으로 초급 중국인 학습자들의 오류율이 가장 높았고 중급 ․ 고급의 중국인 학습자들은 오류율은 비슷하게 나타났다. 중급 ․ 고급 학습자들의 오류율은 다소 낮게 나타났지만 오류의 수가 적은 것이 아님을 확인하였다. 또한 모든 수준의 학습자가 가장 어려워하는 환경은 어간 받침 'ㄼ, ㄾ' 뒤에 일어나는 경음화 현상이었다. 경음 발음 실험과 같이, 모든 환경의 오류율은 초급에서 가장 높고 중급에서 고급으로 갈수록 수평선으로 보이면서 중국인 학습자들의 경음화 발음이 중급에서 화석화 현상이 일어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韩语论文,韩语毕业论文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