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서적 단절을 경험하는 중년기 부부에 대한 정서중심부부상담 성과연구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7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급속하게 변화하는 사회에서 중년기 부부들은 갈등과 위기를 맞고 있다. 50대의 이혼율은 5년간 지속적으로 상승하고 있고 40대의 이혼율은 전체 이혼율의 22.5%를 차지하고 있어 중년기 부부...

급속하게 변화하는 사회에서 중년기 부부들은 갈등과 위기를 맞고 있다. 50대의 이혼율은 5년간 지속적으로 상승하고 있고 40대의 이혼율은 전체 이혼율의 22.5%를 차지하고 있어 중년기 부부가 부부관계 만족과 원만한 결혼생활 유지에 심각한 고충을 겪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중년기 부부는 신혼기 부부보다 결혼만족도가 떨어져 있는 상태이고, 노년기 부부보다 애정이 더 적으며 부정정서와 위협적 정서의 표출이 더 많다. 특히 부부가 정서적으로 단절 되어 있는 경우에는 변화를 위한 계기를 가지기가 어렵게 된다.
연구의 목적은 정서적 단절을 경험하는 중년기 부부에게 정서중심부부상담(Emotion Focused Couple Therapy)을 실시한 후 상담의 성과로서 부부애착, 긍정정서 및 부정정서, 결혼만족도의 변화를 규명하는 것이다.
2012년 12월부터 2013년 5월까지 중년기 부부 4쌍을 대상으로 경기도 소재 00건강가정지원센터와 00사회복지 기관에서 상담을 진행하였다. 상담은 총 10회기에서 14회기까지 약 90분에서 100분 동안 진행되었다. 상담전후의 성과를 비교하기 위하여 구조화된 질문지를 활용하여 사전-사후 측정을 시행하였다. 부부애착은 Brennan, Clark과 Shaver의 Experiences in Close Relationship, 긍정정서 및 부정정서는 Diener, Smith와 Fujita의 The Intensity Time Affect Scale, 결혼만족도는 Schumm의 Kansas Marital Satisfaction Scale을 한국어로 번안되고 신뢰도와 타당도가 규명된 도구를 활용하였다. 또한, 양적분석에서 드러나지 않는 내용을 질적으로 분석하기 위하여 상담이 진행되는 동안 내담자의 서면동의하에 모든 상담진행내용을 녹음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 버전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변인들의 사전-사후 비교를 위하여 Wilcoxon Signed Ranks Test를 활용하였고 p-value .05를 유의수준으로 설정하였다. 녹음한 자료는 전체적으로 필사하여 Colazzi의 분석방법을 활용하여 질적분석 하였다.
연구 결과 부부애착(Z=-2.380, p=.017)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수준으로 변화하였다. 또한, 하위 요인으로 회피애착(Z=-2.524, p=.012)과 불안애착(Z=-2.100, p=.036)에도 유의미한 변화가 있었다. 긍정정서(Z=-2.533, p=.011) 및 부정정서(Z=-2.521, p=.012)도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수준으로 변화하였고, 결혼만족도( Z=-2.549, p=.011)또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수준으로 향상되었다. 부부에게 나타난 변화를 질적으로 분석한 결과 부부애착의 변화는 33개의 도출된 의미, 13개의 주제, 7개의 범주로 도출되었고, 범주는 <배우자에게 의지가 안 됨> <연결이 끊어짐> <단절된 모습을 봄> <힘들어하는 배우자에 대한 연민> <애착욕구를 인정하고 표현하게 변화됨> <배우자의 변화에 따른 변화> <애착욕구 충족으로 말미암은 안전기지 형성>이었다. 정서경험의 변화는 33개의 도출된 의미, 10개의 주제, 6개의 범주로 도출되었고, 범주는 <부정정서의 경험> <조절되지 않는 정서> <분노를 조절하게 됨> <경험되고 표현되어지는 정서> <새로운 정서의 경험> <관계의 편안함>이었다. 결혼만족도의 변화는 33개의 도출된 의미, 10개의 주제, 5개의 범주로 도출되었고, 범주는 <결혼생활에 대한 회의> <성찰을 통한 노력> <되찾은 자신감> <아이들의 안식처가 됨> <함께함이 좋음>이었다.
본 연구는 정서중심부부상담이 정서적 단절을 경험하고 있는 중년기 부부를 대상으로 효율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기틀을 마련하여 부부상담의 지평을 확장하였다. 또한, 상담에서 정서에 초점을 두고 내담자에게 경험되어지는 정서를 연구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The middle-aged couples are facing strife and conflict in the rapidly changing society. The divorce rate of couples in their 50s has been continuously increasing over the 5 years. The divorce rate of couples in their 40s takes up about 22.5% of the ...

The middle-aged couples are facing strife and conflict in the rapidly changing society. The divorce rate of couples in their 50s has been continuously increasing over the 5 years.
The divorce rate of couples in their 40s takes up about 22.5% of the entire divorce rate indicating that middle-aged couples are experiencing difficulties in maintaining harmonious marriage. Developing emotional support and intimacy between the husband and wife is necessary to maintain a healthy marital life. However, couples in their 50s show less marital satisfaction compared to the newlyweds. The couples show lack of affection and tend to display more negative and menacing emotions compared to elder couples. In particular, emotionally severed couples will not be able to have the opportunity to change their relationship.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dentify the changes in couple attachment, positive and negative emotions, and marital satisfaction in middle-aged couples who have experienced emotional divorce through Emotion Focused Couple Therapy (EFCT).
The research was conducted in 00 Health and Family Support Center and 00 Youth Counseling and Welfare Center in Gyeonggi-do from December 2012 to May 2013. Total of 10 to 14 counseling sessions were held for four middle-aged couples who were emotionally divorce. The counseling took 90 to 100 minutes per session.
In order to compare performance results of pre-post counseling, structured questionnaire were utilized to measure the pre-post counseling. For the couple attachment, I used Brennan, Clark and Shaver’s ‘Experiences in Close relationship.’ For the positive and negative emotion, I used Diener, Smith and Fujita’s ‘The intensity Time Effect Scale.’ For the marital satisfaction, I adapted Schumm’s ‘Kansas Marital Satisfaction’ to Korean and identified tools that were reliable and valid. Also, under the consent, the counseling sessions were recorded to identify the specific changes that do not appear through quantitative analysis in couple attachment.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through SPSS ver. 21.0. In order to compare the pre-post variables, I utilized the Wilcoxon’s Signed Ranks Test and set the significant level at p-value .05. All the sessions were recorded and transcribed, and Colazzi’s method of analysis was performed qualitative analysis.
The result showed that couple attachment (Z=-2.380, p=.017*)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changes in the level. The sub-factors showed significant changes in avoidance attachment (Z=-2.380, p=.017*) and anxiety attachment (Z=-2.100, p=.036*). The result also indicated that both positive emotion (Z=-2.533, p=.011*) and negative emotion (Z=-2.521, p=.012*)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changes in level. In addition, the marital satisfaction ( Z=-2.549, p=.011*)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s.
The results from qualitatively analyzing changes that appeared to couples exhibited thirty three significants derived meaning, thirteen themes and seven categories. The categories included: <unable to rely on spouse> <feeling divorce> <spotted severance> <compassion toward tired spouse> <acceptance of attachment desires and changes in expression> <changes due to spousal change of action> <formation of safe base due to satisfaction of attachment desires>
The changes in emotional experienced exhibited thirty three significant derived meanings, ten themes, and six categories. The categories included: <negative emotional experiences> <uncontrollable emotions> <able to control anger> <ability to express emotions through experience> <new experience to emotions> <feeling secure in relationship>
The changes in marital satisfaction exhibited thirty three significant derived meanings, ten themes, five categories. The categories included: <regrets toward marriage> <making efforts through self-reflection, recovering confidence> <becoming a haven for children> <like being together>
This research has expanded the horizons of couple counseling by providing foundation for effective use of EFCT in counseling middle-aged couples with emotional divorce. Also, it was significant to study the emotions experienced by participants with focus on emotion during the session.

韩语毕业论文韩语毕业论文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