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육교사의 다문화교육에 대한 인식과 실태 및 개선방안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7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본 연구는 보육교사다문화교육에 대한 인식실태개선방안을 알아보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 참여자는 천안시 소재 국공립 및 민간보육기관에 근무하는 교사 150명 이었으며, 이...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다문화교육에 대한 인식실태개선방안을 알아보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 참여자는 천안시 소재 국공립 및 민간보육기관에 근무하는 교사 150명 이었으며, 이들을 대상으로 설문을 통하여 다문화교육에 대한 인식과 실태 및 개선방안을 알아보았다. 보육교사의 다문화교육에 대한 인식과 실태는 먼저 전반적인 인식과 실태를 알아본 다음 관련변인 즉, 소속기관, 학력, 연령, 교직경력, 다문화유아지도경험, 연수경험 등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았다. 또한, 설문결과를 토대로 제기된 문제점과 이에 대한 개선방안을 알아보았다.
먼저, 보육교사의 다문화교육에 대한 인식을 알아본 결과 첫째, 보육교사의 다문화교육에 대한 이해 정도는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즉, 보육교사들의 경우 다문화가정 출신 영유아들에 대한 교육에 대하여 전반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다문화교육의 필요성 및 목표에 대하여 보육교사들은 모든 사람이 평등하다는 점을 알려주는 것을 가장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기관이나 학력 연수경험 그리고 지도경험 등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셋째, 다문화교육방식에 대해서는 유아들이 다름을 인정하고 서로 존중할 수 있도록 지도함과 동시에 다문화가정 유아들이 어린이집에 잘 적응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하였다. 넷째, 부모교육에 있어서는 다문화 가정 학부모의 유아지도와 적응을 돕기 위한 부모교육과 다문화 가정 학부모와 일반가정 학부모의 상호 이해를 돕기 위한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다음으로, 보육교사의 실태를 알아본 결과 첫째, 보육교사의 다문화교의 경험에 있어서는 지도경험이 있는 경우와 없는 경우가 비슷하게 나타났다. 즉 전체 응답자의 54%는 지도경험이 있었으며 46%는 지도경험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다문화가정 출신의 영유아들은 한국어 능력부족으로 학습부진의 정도가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지도원칙에 있어서는 고정관념이나 편견을 버려야 한다고 하였으나 기관유형이나 학력 그리고 다른 문화에 대한 경험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셋째, 다문화교육지도 내용에 있어서는 다른 나라의 상징이나 문화의 실태가 주로 나타났으나 이것 또한 기관이나 학력, 연수 경험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넷째, 다문화교육 실시시기와 관련하여 연중 실시하는 비율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다문화교육환경구성과 관련하여 가장 많이 활용하는 자료는 시청각 자료로 나타났다. 여섯째, 다문화 교육 시 참고자료와 관련하여 인터넷이나 시청각자료를 가장 많이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기관, 대학교육 중 경험여부, 다른 나라 체험이나 연수 등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끝으로 영유아 다문화교육 현장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으로는 다문화교육관련 자료부족과 교사자신의 이해부족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다문화교육에 필요한 다양한 교재교구의 개발 및 보급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awareness and practice of multicultural education in child-care providers and to suggest future directions in improvement multicultural education. 150 child-care providers working for public and private child-care c...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awareness and practice of multicultural education in child-care providers and to suggest future directions in improvement multicultural education. 150 child-care providers working for public and private child-care centers located in Cheonan City participated in the survey. The results showed as follows: 1. Child-care providers showed a relatively higher level of understanding on multicultural education, suggesting that child-care providers in general are deemed to have a good understanding on the multicultural education for multicultural children. 2. Providers showed an awareness that helping children understand the equality of all the children, regardless of what ethnic group or cultural background they belong to, is the most important subject and the level of awareness of the providers have showed a difference by the type of child-care centers the providers work for, years of education, training on multicultural education, work experience of providing multicultural education. 3. Providers ed a need to help children accept differences among themselves, and show respect for each other so that multicultural children can better adapt in their environment, child-care centers. 4. Providers showed an awareness of a need to help parents from all other different cultures with a mutual understanding, which in turn will help multicultural children adapt to child-care centers. 5. There was no difference found in the practice of multicultural education regardless of whether or not the providers have work experience on multicultural children. 6. Multicultural children showed a profound retardation in learning ability due to inappropriate Korean language skills although the level of retardation in learning varied based on the type of child-care centers the providers work for, years of education and experience of other cultures. This may serve a role in developing a stereotyped opinion on multicultural children. 7. The content of multicultural education consisted of the symbols or cultures of other countries and it turned to have differences by the type of child-care centers the providers work for, years of education and training the providers have received. 8. In terms of the time period of providing multicultural education to children, it is found the year round education is most preferred and conducted. 9. In terms of education materials, audio-visual materials are mostly utilized to help create a multicultural environment. 10. Online sources or audio-visual materials were most preferred when providing multicultural education, which yet varied based on the type of child-care centers the providers work for, exposure to multicultural education while in college, or experience of other cultures, and training. 11. The most profound issue found with appropriate multicultural education turned out to be lack of understanding of multicultural education among providers. One of the approaches to solve this issue deemed highly is development and distribution of education materials on multicultural education.

韩语论文题目韩语论文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