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중급 단계의 한국어 학습자들이 복합형 [양보] 문법항목 ‘-는데도’, ‘-고도’, ‘-으면서도’의 의미를 이해하는 데에 이들을 구성하고 있는 문법요소인 ‘-는데’, ‘-고’, ‘... 본 연구는 중급 단계의 한국어 학습자들이 복합형 [양보] 문법항목 ‘-는데도’, ‘-고도’, ‘-으면서도’의 의미를 이해하는 데에 이들을 구성하고 있는 문법요소인 ‘-는데’, ‘-고’, ‘-으면서’의 기본 의미기능 이해도가 관련이 있음을 밝히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효과적인 수업모형을 개발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먼저, 국어학과 한국어 교육학 분야의 [양보] 연결어미 관련 선행 연구들을 살피고, [양보]의 개념과 양보문의 논리구조, 양보문의 의미기능과 문법요소들의 기본 의미기능, 복합형 문법항목의 의미구조에 대한 이론적인 검토를 하였다. 본 연구는 연구 문제 해결을 위해 두 단계로 나누어 진행되었다. 두 단계의 연구가 내용상 연계성은 있으나, 연구 대상이 다르고 연구 방법이 달라 서로 다른 국면의 두 단계 연구로 진행하였다. 첫 번째 단계의 ‘복합형 [양보] 문법항목 이해 양상’ 연구는 중급 Ⅱ단계(4급) 학습자를 대상으로 수집한 196명의 검사지를 기술 통계량, 일원분산분석(One-Way ANOVA), 두 독립표본 t 검정의 통계적 방법으로 분석하고 논의하였다. 그 결과, ‘-고도’ 이해도와 ‘-고’의 기본 의미기능인 [순차나열] 의미 이해도, ‘-으면서도’ 이해도와 ‘-으면서’의 기본 의미기능인 [동시성] 의미 이해도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관련성이 있었고, 복합형 [양보] 문법항목 ‘-는데도’, ‘-고도’, ‘-으면서도’의 이해도와 ‘-어도’의 [양보] 개념 이해도 사이에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는데도’, ‘-고도’, ‘-으면서도’ 이해도와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난 문법요소 ‘-고’, ‘-으면서’, ‘-어도’를 두 번째 단계에서 실행되는 실험연구에서 ‘수업모형’의 처치변수로 채택할 수 있었다. ‘-는데’의 기본 의미기능 [상황·배경] 경우에는 통계적인 유의성은 얻지 못했으나 실제적인 유의성을 고려하여 처치변수에 포함시켰다. 두 번째 단계의 ‘복합형 [양보] 문법항목의 효과적인 수업모형 개발’ 연구는 중급 Ⅰ단계(3급) 학습자 64명을 대상으로 한 실험 수업의 사전·사후 검사지를 기술 통계량, 일원분산분석(One-Way ANOVA), 두 종속표본(대응표본) t 검정의 통계적 방법으로 분석하고 논의하였다. ‘통사적 제약 제시 중심 수업모형’과 ‘의미기능 이해 중심 수업모형’에 의한 실험 수업 결과, ‘통사적 제약 제시 중심 수업모형’으로 수업을 했을 때 ‘-고도’의 이해도에 대해서만 사전·사후검사 성취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변화가 있었고, ‘-는데도’, ‘-으면서도’의 이해도에 대한 사전·사후 성취도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 ‘의미기능 이해 중심 수업모형’으로 실험 수업을 했을 때는 복합형 [양보] 문법항목 ‘-는데도’, ‘-고도’, ‘-으면서도’ 세 문법항목 모두의 이해도에 대한 사전·사후검사 성취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변화가 보였다. 이로써, ‘의미기능 이해 중심 수업모형’이 학습자의 복합형 [양보] 문법항목 ‘-는데도’, ‘-고도’, ‘-으면서도’의 이해도를 높이는 데 효과가 있음이 밝혀졌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의미기능 이해 중심 수업모형’에 의한 복합형 [양보] 문법항목 ‘-는데도’, ‘-고도’, ‘-으면서도’의 교수 활용 방안으로 이들 문법항목의 제시 원리와 수업 구성의 예를 함께 제안하였다. 그리고 전체 내용을 요약·정리하고, 결론을 내린 후 한계점을 지적하여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덧붙였다. ,韩语论文,韩语毕业论文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