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반의어 교육에 대한 연구로서, 반의어 교육에 연어적 구성을 활용한 교수 모형을 제시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하여 1장에서는 본 연구의 필요성과...
본 연구는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반의어 교육에 대한 연구로서, 반의어 교육에 연어적 구성을 활용한 교수 모형을 제시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하여 1장에서는 본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을 기술하였다. 또한 선행연구 검토를 통해 한국어 교육에서 이루어진 반의어 연구들을 살펴보며 성과와 그 한계점을 검토하였다.
2장에서는 반의어 교육에서 연어가 어떻게 활용이 가능한지 살펴보았다. 하나의 단어가 다양한 반의어 쌍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하고 이러한 다양한 반의어 쌍을 교수하는 데 연어적 구성을 도입할 필요가 있음을 밝혔다. 실제 교재에서 형용사를 추출한 후 이에 해당하는 반의어 쌍을 반의어 사전을 이용하여 선정하여 교수 학습용 반의어 목록을 선정하였고, 이 가운데 10개의 빈도가 높은 형용사 반의어 쌍을 선정하여 어떻게 연어적 구성으로 교수 할 수 있는지 반의어 분석을 하였다.
3장에서는 한국어 교육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반의어 교육의 현 실태 파악을 위한 분석을 하였다. 분석은 크게 교재 분석과 학습자 대상 반의어 실태 조사 분석으로 나누어 이루어졌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교재 분석 결과 반의어 교육은 초급 단계에서 일부 형용사 반의어 쌍들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특히 반의어 쌍의 제시에 있어서는 개별 단어를 제시하는 수준에 머무르고 있는 한계점을 보였다. 평가의 형식으로 이루어진 학습자 대상 반의어 실태 조사는 2차례에 걸쳐 이루어졌다. 1차 조사에서 이루어진 개별 단어에 대한 반의어 쌍 이해 점수는 중급은 69.65점, 고급은 78.66점이었다. 문장 속에서 반대의 의미를 가진 단어를 찾는 평가에서는 중급은 32.06점, 고급은 58.66으로 중급 학습자와 고급 학습자 모두 1차 보다 저조한 모습을 보이고 있음이 발견되었다.
4장에서는 반의어 교수 모형 설계를 위한 연구들이 이루어졌다. 이를 위해 먼저 반의어 교수 모형 설계를 위한 반의어 교수에 필요한 원리들을 ‘단계성, 연계성, 명시성’으로 정리하였다. 그리고 정리한 반의어 교수 원리를 바탕으로 하는 교수 모형을 설계하였다. 교수 모형은 도입-발견-제시-연습 단계로 이루어지며, 특히 ‘발견’의 단계를 설정하여 학습자 중심의 학습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였다.
5장은 결론으로 연구의 내용을 정리하고 이를 토대로 연구의 의의와 한계점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반의어가 문맥에 민감하다는 사실에 주목하여 실제 교수 학습용 반의어 목록을 선정하였다는 점, 다양한 반의어 쌍들을 연어적 구성을 통해 교수할 수 있는 교수 모형을 설계하였다는 점에 그 의의가 있다.
핵심어: 반의어 교육, 연어, 반의어 목록, 반의어 분석, 교재 분석, 반의어 실태조사, 교수 모형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an antonyms teaching model for Korean learners by using a collocation. Until now, teaching antonyms was underemphasized in an area of teaching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Under these circumstances, there are l...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an antonyms teaching model for Korean learners by using a collocation. Until now, teaching antonyms was underemphasized in an area of teaching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Under these circumstances, there are limits on teaching antonyms, but this study proves that making use of antonyms as a teaching tool is one of the effective ways to teach vocabulary.
In order to do it, the first chapter presented the need and the purpose of this and reviewed the former researches.
In the second chapter, the study complies a list of adjective antonyms, which are applicable to classroom practice and suggest the strategics method of teaching antonyms. It also analysis ten pairs of adjective antonyms based on collocation.
In the third chapter, the study analysis antonyms that recently published textbook and conduct a survey which targeting intermediate learners and advanced learners to understand circumstance of antonyms education.
In the fourth chapter, I suggested a model of the antonyms teaching model based on the collocation.
Compiling a dictionary of antonyms for learners of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would be helpful to efficiently educate and learn vocabulary.
,免费韩语论文,韩语论文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