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어권 한국어 학습자의 화제전환 담화표지 사용 양상 연구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7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본고의 목적은 중·고급 중국어권 한국학습자의 화제전환 담화표지 사용 양상을 고찰하는 것이다. 일상대화에서 화제전환은 빈번하게 나타나지만 화제전환을 대상으로 한 한국어 교육 ...

본고의 목적은 중·고급 중국어권 한국어 학습자의 화제전환 담화표지 사용 양상을 고찰하는 것이다. 일상대화에서 화제전환은 빈번하게 나타나지만 화제전환을 대상으로 한 한국어 교육 연구가 많지 않았다. 또한 화제전환에 대한 교수가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아서 학습자들은 화제전환을 인식하고, 다양한 화제전환 담화표지를 사용하는 것에 어려움을 겪는다. 이에 본고는 중·고급 중국어권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화제전환 담화표지를 어떻게 사용하고 있는지 그 양상을 살펴보았다.
Ⅰ장에서는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을 밝히고, 선행 연구의 고찰을 통하여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본고의 연구 문제는 첫째, 중·고급 중국어권 한국어 학습자와 한국어 모어 화자 간의 화제전환 담화표지 사용 양상에 차이가 있는가이다. 둘째, 중·고급 중국어권 한국어 학습자의 숙달도에 따라서 화제전환 담화표지 사용 양상에 차이가 있는가이다.
Ⅱ장에서는 본고에 필요한 이론적 배경을 고찰하였다. 화제와 화제전환, 담화표지 정의 및 특성에 대해 살펴보고, 화제전환 담화표지를 분류하였다.
Ⅲ장에서는 연구 대상, 연구 절차, 측정 도구, 분석 방법 등 연구 방법을 기술하였다. 화제전환 의도의 유무에 따라서 어떤 화제전환 담화표지를 사용하는지 살펴보기 위해 상황과 대화문을 제시한 측정 도구를 제작하였다. 검사는 한국어 교육 기관에서 학습하고 있는 중·고급 중국어권 한국어 학습자 70명과 한국어 모어 화자 70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Ⅳ장에서는 피험자들이 응답한 자료를 분석하여 결과를 기술하였다. 첫째, 중·고급 중국어권 한국어 학습자와 한국어 모어 화자 모두 전체적으로 '그런데'를 많이 사용하였지만, 화제전환 의도의 유무에 따라서 사용하는 담화표지에 차이가 있었다. 한국어 모어 화자는 화제를 마무리하고 화제전환을 하는 경우 ‘그런데’, 화제를 회피하기 위해 화제전환을 하는 경우 ‘아 그런데’, 돌발적으로 화제전환을 하는 경우 ‘아’를 사용하였다. 반면, 중·고급 중국어권 한국어 학습자의 경우 화제를 마무리하고 화제전환을 하는 경우와 화제를 회피하기 위해 화제전환을 하는 경우 모두 ‘그런데’를 사용하였고, 돌발적으로 화제전환을 하는 경우 ‘아’를 사용하였다. 또한 한국어 모어 화자는 ‘그런데, 아 그런데, 아’ 외에도 다양한 화제전환 담화표지를 사용하였지만, 중·고급 중국어권 한국어 학습자는 다양한 화제전환 담화표지를 사용하지 못하였다. 둘째, 중·고급 중국어권 한국어 학습자의 숙달도에 따라서 하위권 학습자와 상위권 학습자로 나누었는데, 하위권 학습자와 상위권 학습자 모두 화제를 마무리하고 화제전환을 하는 경우와 화제를 회피하기 위해 화제전환을 하는 경우 ‘그런데’를 사용하였고, 돌발적으로 화제전환을 하는 경우 ‘아’를 사용하여 학습자의 숙달도에 따른 차이는 없었다.
Ⅴ장에서는 연구의 의의 및 한계를 기술하였다. 본고는 화제전환 의도의 유무에 따라서 사용할 수 있는 화제전환 담화표지를 분류하고, 실제 학습자의 화제전환 담화표지 사용 양상을 밝힌 데 그 의의가 있다. 또한 한국어 모어 화자가 사용한 화제전환 담화표지를 바탕으로 학습자들에게 다양한 담화표지를 제시해야 함을 밝혔다. 본고에서는 실제 학습자의 발화 자료를 대상으로 분석하지는 못하였는데 학습자의 실제 발화 자료를 대상으로 분석하는 등 연구 방법의 다양화를 통한 후속 연구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use of topic change discourse markers of Chinese learners of Korean. And content of this study is as follows. In chapter Ⅰ, necessity and purpose of the study was figured out and through review of previ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use of topic change discourse markers of Chinese learners of Korean. And content of this study is as follows.
In chapter Ⅰ, necessity and purpose of the study was figured out and through review of previous studies, study questions were set. The questions are two: first, is there difference in use of topic change discourse markers between Chinese learners of Korean and Korean native speaker? Second, is there difference in use of topic change discourse markers according to fluency of Chinese learners of Korean?
In the chapter Ⅱ, theoretical background necessary for this study was investigated. The author investigated definition and characteristic of topic, topic change, and discourse markers. And topic change discourse markers was classified.
In the chapter Ⅲ, study method was described. Measurement tool which suggests situation and dialogue was made to identify what discourse marker was used according to whether intention of topic change exists or not. Test was made with Chinese learners of Korean studying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organization and Korean native speaker.
In the chapter Ⅳ, study results were described through analysis of data answered by participants.
First, Chinese learners of Korean and Korean native speakers all used 'geureonde', however, there was difference in discourse markers according whether intention of topic change exists or not. Korean native speakers used different discourse markers according to whether intention of topic change exists or not. For example, they used 'geureonde' when they ended topic and made topic change. When they made topic change to avoid topic, they used ‘a geureonde’. They used ‘a’ most when they suddenly changed topic.
On the other hand, Chinese learners of Korean used geureonde’, when they ended topic and changed topic, or they changed topic to avoid topic. And they used ‘a’ most, when they suddenly changed topic. This means that Chinese learners of Korean could not recognize the difference than Korean native speakers in case they changed topic to end topic or to avoid it. And Korean native speakers used various discourse markers in addition to 'geureonde, a, a geureonde’, but Chinese learners of Korean could not use various discourse markers than Korean native speakers.
Second, there was no difference in discourse markers used according to fluency of Chinese learners of Korean. Learners in low level and learners in high level showed no difference according to fluency. They all used ‘geureonde’ when they ended topic and changed topic, or changed topic to avoid topic. They also used ‘a' most when they suddenly changed topic.
In the chapter Ⅴ, meaning and limitation of study were described. This study has a meaning in classifying topic change discourse markers which can be used according to whether intention of topic change exists or not, and figuring out use status of discourse markers by Chinese learners of Korean. And the study figured out that various discourse markers should be suggested to learners based on discourse markers used by Korean native speakers.

免费韩语论文韩语论文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