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용어는 같은 문화, 같은 언어를 사용하는 사람들에 의해 자주 사용되고 있다. 관용어는 사회와 문화를 반영하여 오랜 기간에 걸쳐 형성되었기 때문에 한국어 전체 어휘 중, 관용표현이 차...
관용어는 같은 문화, 같은 언어를 사용하는 사람들에 의해 자주 사용되고 있다. 관용어는 사회와 문화를 반영하여 오랜 기간에 걸쳐 형성되었기 때문에 한국어 전체 어휘 중, 관용표현이 차지하는 비중은 매우 크다(구효진, 2011). 따라서 관용어를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고 있는 사람은 다른 사람들과 원활하게 대화하는 것에 어려움이 따르게 될 것이다. 이러한 측면에서 관용어는 반드시 습득해야 할 중요한 부분이라고 할 수 있다(성소연, 2008). 또한 관용어의 유창성은 언어 사용 능력을 가늠하는 기준이 되기도 하고, 국어 관용어의 적절한 이해와 사용은 의사소통 시 아주 효과적인 방법이 될 수 있으므로 언어 사용 능력 측면에서 매우 중요하다고 하였다(신선미, 2006).
지적장애를 동반한 대상자들은 비유적 언어에 대한 이해가 부족할 것이고, 비유적 언어가 상위 언어기술이기 때문에 학습할 기회가 적거나 주어지지 않았을 것이라고 생각이 된다. 지적장애인들은 구직 및 취업 활동이 다른 장애군보다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어 일반 사람과 접촉할 기회가 많다. 특히 경도 지적장애인들은 일반 사람들과 근무할 경우가 많은데 그렇다 보면 그들과 대화할 기회가 많을 것이다. 그러나 일상생활에서 사용빈도가 높은 관용어를 이해하지 못한다면 상대방과의 대화가 단절되게 되고, 의사소통에 대한 자신감을 잃을 수 있다. 관용어에 대한 이해는 질적인 의사소통 능력을 향상시키는데 매우 중요하다. 지적장애인들의 관용어 이해 능력은 보다 나은 의사소통을 할 수 있게 도와줄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성인 경도 지적장애인의 관용어 이해에 대해 연구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서울ㆍ경기 또는 대전 지역에 거주하는 성인 경도 지적장애인과 동일 언어연령의 일반아동을 대상으로 각 13명씩 총 26명이다. 실험 과제는 문맥이 제시된 상황에서 관용어의 친숙도와 투명도에 따라 친숙하고 투명한 관용어(familiar-transparent), 친숙하고 불투명한 관용어(familiar-opaque), 친숙하지 않고 투명한 관용어(unfamiliar-transparent), 친숙하지 않고 불투명한 관용어(unfamiliar-opaque)의 네 유형으로 분류하였다. 관용어 이해를 알아보기 위해서 선다형 선택 과제를 제시하였다. 선다형 선택 과제는 관용적 해석(idiomatic interpretation), 문맥과 관련된 해석(contextual plausible interpretation), 문맥과 관련 없는 해석(contextual implausible interpretation), 문자적 해석(literal interpretation)을 포함 시켰다. 관용어 이해 과제는 20점 만점으로 평가하였다. 두 집단간 친숙도와 투명도에 따라 관용어 이해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two-way ANOVA 검정을 실시하였다. 오류 유형은 항목별로 빈도분석을 실시한 후 기술통계에 의해 처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두 집단 간의 관용어 친숙도에 따른 관용어 이해점수는 일반 아동이 성인 경도 지적장애인보다 유의미하게 높았다. 집단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나 친숙도에 따라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두 집단 간의 관용어 투명도에 따른 관용어 이해점수는 일반 아동이 성인 경도 지적장애인보다 유의미하게 높았다. 집단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나 투명도에 따라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두 집단의 관용어 이해과제에서 오류 유형을 비교한 결과 51개와 11개로 성인 경도 지적장애인과 일반 아동 모두 문맥과 관련된 오류가 가장 많이 나타났다. 그 다음으로 성인 경도 지적장애인은 33개로 문자적 오류, 21개로 문맥과 관련 없는 오류 순으로 나타났다. 일반 아동은 문자적 오류와 문맥과 관련 없는 오류가 각각 2개로 성인 경도 지적장애인과는 다른 양상으로 나타났다.
The subject of this study was adults hardness intellectual disabilities and the same language age of normal children living in Seoul, Gyeonggi, Daejeon of total 26 people with each 13. Experimental challenges were classified in familiar-transparent id...
The subject of this study was adults hardness intellectual disabilities and the same language age of normal children living in Seoul, Gyeonggi, Daejeon of total 26 people with each 13. Experimental challenges were classified in familiar-transparent idiom, familiar-opaque idiom, unfamiliar-transparent idiom and unfamiliar-opaque idiom according to the familiarity and transparency of idiom in the situation of context presenting. The multiple choice selection task were presented for idiom understanding. Each example contained idiomatic interpretation, contextual plausible interpretation, contextual implausible interpretation and literal interpretation. Idiomatic understanding task were evaluated out of 20 points. It carried out the two-way ANOVA test to understand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depending on the familiarity and transparency. Types of errors after performing a frequency analysis by items were processed by descriptive statistics.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s: At first, the understanding score of general children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adults hardness intellectual disabilities according to the familiarity of idiom. There'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group, but not in the familiarity.
Secondly, the understanding score of general children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adults hardness intellectual disabilities according to the transparency of idiom. There'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group, but not in the transparency. At third, in the result of comparing the types of errors in idiom understanding task of two groups, errors of the general context were the most in both groups as 51 for intellectual disabilities and 11 for general children. After that, idiomatic errors was 33 and errors not related in context was 21 in case of intellectual disabilities. General children's errors were 2 each at the both task and showed different aspect.
,韩语毕业论文,韩语论文范文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