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중국인 학습자의 한국어 비음화 및 유음화 발음 오류를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중국인 학습자를 한국어 학습기간을 기준으로 학습기간이 1년 미만인 초심자 집단(Begi...
본 연구는 중국인 학습자의 한국어 비음화 및 유음화 발음 오류를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중국인 학습자를 한국어 학습기간을 기준으로 학습기간이 1년 미만인 초심자 집단(Beginner Group)과 4년 이상인 숙련자 집단(Advanced Learner Group)으로 나누어 비음화 및 유음화 발음을 실험하고, 이를 발음전사방법과 SPSS(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더불어 각 환경별로 나누어 오류율과 오류 양상, 오류 원인도 살펴보았다.
비음화 발음은 초심자 집단 83.5%, 숙련자 집단 77.6%의 평균 오류율을 보여 숙련자 집단이 초심자 집단에 비해 오류율이 조금 낮았다. 학습자들이 보인 비음화 오류 양상을 살펴보면, 장애음의 비음화 환경에서는 탈락, 음운규칙의 불완전한 적용 등의 오류를 보였으며, 유음의 비음화 환경에서는 철자법식 발음 오류가 많았다. 초심자 집단과 숙련자 집단 모두 가장 높은 오류율을 보인 장애음과 유음의 비음화 환경에서는 탈락, 음운규칙의 불완전한 적용, 철자법식 발음 오류 등 다양한 오류가 나타났다. 또한, 단순 비음 발음 실험을 통해 중국인 학습자들의 비음화 발음 오류가 비음 발음 자체의 문제가 아닌 비음화 현상에 대한 이해 부족에서 기인한 것임을 알 수 있었다.
다음으로 유음화 발음에서는 초심자 집단 72.1%, 숙련자 집단 51.0%의 평균 오류율을 보여 숙련자 집단의 발음 정확도가 초심자 집단보다 높게 나타났다. /ㄹ-ㄴ/ 연쇄에서는 철자법식 발음과 탈락, /ㄴ-ㄹ/ 연쇄에서는 철자법식 발음과 함께 유음화 대신 유음의 비음화를 적용하는 오류를 보였으며, /ㄹ-ㄴ/ 연쇄보다 /ㄴ-ㄹ/ 연쇄에서 더 낮은 오류를 보였다. 또한, 단순 유음 발음 실험 결과, 중국인 학습자들의 유음 발음 부정확성이 유음화 발음의 부정확성에 어느 정도 관여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인 학습자의 비음화 및 유음화 발음에 대한 개별 연구가 거의 없는 현시점에서 비음화 및 유음화 발음 실태를 조사하고, 그 오류 양상과 원인을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의의가 있을 것이다. 아울러 기존의 연구에서 나아가 비음화 및 유음화 발음이 중국인 학습자의 한국어 발음 습득상의 고질적인 문제가 아니라 학습기간에 비례하여 개선 가능하다는 점을 밝혔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errors in nasalized and lateralized pronunciations made by Chinese learners of Korean. For this purpose, the subjects were divided into Beginner Group with Chinese learners who learned Korean for less than 1 year and Advance...
This study aims to examine errors in nasalized and lateralized pronunciations made by Chinese learners of Korean. For this purpose, the subjects were divided into Beginner Group with Chinese learners who learned Korean for less than 1 year and Advanced Learner Group with those who learned Korean for more than 4 years and their nasalized and lateralized pronunciations were experimented, which were analyzed using phonetic transcription and SPSS (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 Along with this, dividing them into each environment, their error rates, phases and causes were examined.
Beginner Group showed an average error rate of 83.5% in nasalized pronunciations while Advanced Learner Group, 77.6%, where the latter’s error rate was slightly lower than that of the former. As for the phase of the learners’ errors in nasalized pronunciations, they made errors such as omissions in ‘an environment of the nasalization of obstruents’; incomplete applications of phonological rules; and non-applications of nasalization at word boundaries while they made many errors in pronunciations as spellings in ‘an environment of the nasalization of liquid consonants.’ In ‘an environment of the nasalization of obstruents and liquid consonants’ where both groups showed the highest error rates, there were various errors such as omissions, incomplete applications of phonological rules, and errors in pronunciations as spelling. Also, through a simple nasal sound pronunciation experiment, the Chinese learners’ errors in nasalized pronunciations were not a problem of the nasal sound pronunciation itself but caused by the lack of their understanding of the nasalization phenomenon.
Next, in lateralized pronunciations, Beginner Group showed an average error rate of 72.1% while Advanced Learner Group, 51.0%, where the latter’s accuracy in pronunciations turned out to be higher than that of the former. In ‘/ㄹ-ㄴ/ sequences’, they made errors of omissions along with pronunciations as spellings while in ‘/ㄴ-ㄹ/ sequences’, they made errors of applying nasalization of liquid consonants instead of lateralization along with pronunciations as spellings, and showed a lower error rate in ‘/ㄴ-ㄹ/ sequences’ than in ‘/ㄹ-ㄴ/ sequences’. In addition, as a result of a simple liquid sound pronunciation experiment, it turned out that the Chinese learners’ inaccuracy in pronouncing liquid sounds was involved in their inaccuracy in lateralized pronunciations to some extent.
At this point in time when there is hardly individual research on Chinese learners’ nasalized and lateralized pronunciations, this study would have a significance in that it investigated the actual condition of their nasalized and lateralized pronunciations and examined phases of and causes for the errors. Along with this, this study has a significance in that beyond existing studies, it showed that the problem of nasalized and lateralized pronunciations is not one that is chronic for Chinese learners in learning Korean pronunciations but one that can be improved in proportion to the period of learning.
,免费韩语论文,韩语论文网站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