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an effective education plan concerning the most useful ways of teaching Korean language and culture by means of using language proverbs for Korean language learners.
Language and culture are connected in an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an effective education plan concerning the most useful ways of teaching Korean language and culture by means of using language proverbs for Korean language learners.
Language and culture are connected in an inseparable relationship, so if you understand only language or culture apart, you cannot communicate appropriately. Therefore language acquisition should accompany understanding on culture. To teach Korean language, Korean teachers should teach Korean culture at once.
Proverbs are used naturally at the various situations in everyday life. They are an implicative and effective communication method and reflect Korean history and publics perception, so they could be a great teaching material. Especially I choose the language proverbs as the subject of research, because they reflect Korean language life, perception about language, language etiquette directly.
In the first chapter, I identify the purpose of this study, confirming the necessity of proverbs education and identifying the research methods for this study. Also, I explain the current situation in Korean education based on preceding studies of proverbs. This section is divided into two parts: proverbs study in idioms education and proverbs study in Korean cultural education.
In the second chapter, I consider the integrated teaching of culture and language and proverb education. The direction of integrated teaching are divided into Language-Based Culture Teaching(LBCT) and Culture-Based Language Teaching(CBLT), and this present teaching principles and teaching methods LBCT that is used as a part for the language teaching. Also, I considered the definition of proverbs, its characteristics, and its educational effects.
In the third chapter, I analyze five different university textbooks (from Kyung Hee University, Korea University, Sogang University, Sungkyunkwan University, and Yonsei University) in order to grasp the current situation. Also, three kinds of publications on proverbs are analyzed as well. To create a list of language proverbs with high frequency, I first surveyed Korean subjects concerning how often they use proverbs in everyday life. After that, it was necessary to identify proverbs that would be suitable to teach learners of Korean at different levels of difficulty. To accomplish that goal, I conducted a survey of
Korean language teachers in order to establish, based on their intuition, which levels the various animal proverbs belong to.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urvey, I suggest specific proverbs for each level of learners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9 for intermediate, and 6 for advanced.
In the fourth chapter, I examine the perception on language culture of Korean. Also, I surveyed Korean learners who are in a master's degree or doctoral degree program at Kyung Hee University in order to identify the best education plan for Korean language and culture. The survey asked the learners how they feel about Korean language in the language proverbs by answering ‘positive', ‘neutral', negative', or 'do not know'. Through this process, I found that many students have difficulty, in fact, with regard to understanding proverbs, but, at the same time, are very interested in learning about proverbs about language.
In the fifth chapter, I provide education plans with models of instruction based on the graded language proverbs, especially with respect to the ones whose meaning was misunderstood or not known by the Korean learners who were surveyed. For the intermediate level, I suggest as teaching methods the use of old stories like the origins of language proverbs, fables. For the advanced level, I suggest teaching language proverbs by comparing cultural differences and by assigning project work to the students.
In summary, this study was conducted for the purpose of defining a useful role for using proverbs in Korean education, providing an objective list of language proverbs suitable for teaching at certain levels, determining the perception on language in the proverbs, and suggesting effective plans for proverbs education. All these methods are offered as practical and effective ways of motivating Korean learners and inspiring them to study Korean as well as enhancing their understanding of Korean language and culture.
Key words: Proverbs on language, graded list of proverbs on language, Korean language and culture, Korean studies
본 연구는 외국인 한국어학습자들에게 ‘말’에 관한 속담을 이용하여 한국어문화를 교육하기 위한 방안을 마련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언어와 문화는 유기적인 관계로 어느 한 쪽만...
본 연구는 외국인 한국어학습자들에게 ‘말’에 관한 속담을 이용하여 한국어문화를 교육하기 위한 방안을 마련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언어와 문화는 유기적인 관계로 어느 한 쪽만을 이해하고서는 제대로 된 언어생활을 할 수 없다. 그러므로 언어 습득과 문화에 관한 이해가 함께 수반되어야 한다. 결국, 한국어를 가르치기 위해서는 한국문화를 가르칠 필요가 있는 것이다.
속담은 일상생활의 다양한 상황에서 자연스럽게 사용된다. 함축적이고 효과적인 의사소통 수단인 동시에 한국인들의 역사와 인식이 반영되어 있기 때문에 한국어문화 교육의 훌륭한 재료로 이용될 수 있다. 그중에서도 한국인의 말에 관한 인식, 언어생활, 언어 예절 등이 직접 반영된 ‘말’에 관한 속담을 본 연구의 재료로 삼았다.
제1장에서는 이 연구의 목적과 속담 교육의 필요성을 확인하고 연구 방법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제시하였다. 그리고 속담에 관한 선행 연구를 ‘관용어 교육에서의 속담 연구’, ‘한국 문화 교육에서의 속담 연구’로 나누어 검토해보고 한국어교육 분야에서의 속담 연구 현황을 파악하였다.
제2장에서는 한국어와 한국문화의 통합 교육과 속담 교육에 관한 이론적 근거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한국어와 한국문화의 통합 교육은 ‘언어 중심의 문화 통합 교육’과 ‘문화 중심의 언어 통합 교육’으로 나뉘는데, 언어 수업의 목적으로 진행되는 문화 교육은 ‘언어 중심의 문화 통합 교육’이기 때문에 이를 중심으로 이론적 배경을 살펴보았다. 또한, 속담의 특징을 확인하고 이에 따른 속담의 교육적 효과에 관해 확인하였다.
제3장에서는 언어문화 관련 속담 교육 현황을 조사하기 위해, 5개의 대학 부설 기관에서 출간한 경희대학교, 고려대학교, 서강대학교, 성균관대학교, 연세대학교의 한국어 통합 교재, 속담만을 다룬 3개의 한국어 속담 전문 교재 「속담으로 배우는 한국어 1, 2」, 「살아있는 한국어 - 속담 편」, 「속담 100 관용어 100」, 한국어능력시험에 나온 속담의 내용을 분석하였다. 더욱 객관적인 방법을 사용하여 빈도가 높은 언어문화 속담 목록을 선정하기 위해 한국인을 대상으로 일상생활에서 자주 듣거나 사용하는 언어문화에 관한 속담에 관해 설문을 시행하였다. 그리고 한국어교육 현장에서 오랜 경험을 쌓은 한국어 교사의 직관을 조사하여 언어문화 관련 속담의 등급별 난이도를 고려하였다. 마지막으로 설문 결과를 반영하여 한국어문화 교육을 위한 언어문화 속담 목록을 중급 9개, 고급 6개를 제시하였다.
제4장에서는 한국인이 자주 사용하는 언어문화 속담에 나타나는 한국인의 언어에 관한 인식에 관해 알아보았다. 그리고 한국어문화 교육 방안 마련에 관한 구체적인 절차로, 경희대학교 일반대학원의 석사 또는 박사과정에 있는 학습자를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시행하였다. 언어문화 속담에 나타난 한국인의 언어 인식에 관해 학습자가 ‘긍정적’, ‘중립적’, ‘부정적’, 또는 ‘모르겠다.’로 응답하도록 하였고, 인식에 관한 이해 정도와 속담에 관한 반응을 통해 언어문화 속담 교육의 필요성을 다시 한 번 확인하였다.
제5장에서는 한국어 학습자들이 언어인식에 관해 잘못 알고 있거나 모른다고 응답한 상황의 속담을 예로 들고 활용하여 효과적인 언어문화 속담 교육의 방안을 등급별로 모색하고 효과적인 수업 모형을 제시하였다. 중급에서는 속담의 유래, 설화 등의 이야기를 통한 언어문화 속담 교육, 고급에서는 프로젝트 기반 학습법을 이용하여 학습자의 자발적인 참여를 유도할 수 있는 방식의 교육 방안을 마련하였다.
본 연구는 한국어교육에서 속담 교육의 가치를 재발견하고 '말'에 관한 속담을 중심으로 한 객관적인 속담 목록을 마련하고자 하였으며, '말'에 관한 속담에 나타난 한국인의 언어인식을 교육하기 위해 등급별로 수업 모형을 제시하는 의의를 가진다. 또한, 이러한 방법은 한국어 학습자의 흥미를 유발하고 학습 동기와 의욕을 높이며 한국어와 한국어문화의 이해를 돕는다는 데에 유의미할 것이다.
주제어 : ‘말’에 관한 속담, 등급별 속담 목록, 상징 의미, 한국어교육, 한국어문화
,韩语论文网站,韩语论文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