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국어능력시험과의 비교를 통한 한국어능력시험 듣기 문항 분석 연구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7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그동안 한국어능력시험에 관한 논의는 많이 이루어져 왔지만, 다른 외국어 능력 평가와 구체적으로 비교한 논의는 없었다. 본 연구한국어능력시험과 견줄 수 있는 숙달도 평가인 TOEFL iBT...

그동안 한국어능력시험에 관한 논의는 많이 이루어져 왔지만, 다른 외국어 능력 평가와 구체적으로 비교한 논의는 없었다. 본 연구는 한국어능력시험과 견줄 수 있는 숙달도 평가인 TOEFL iBT, 신 HSK, 신 JLPT와 듣기 문항문항타당도를 비교 분석하여 개선안을 모색하는 것에 의의가 있다.
듣기는 의사소통 능력의 네 가지 기술 가운데 일상생활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기능이며 효과적인 의사소통을 위해서는 가장 먼저 발달되어야 할 기능이라고 할 수 있다. 듣기 학습을 효과적으로 하기 위해서는 평가 도구의 질을 높여야 한다. 그렇게 되기 위해서는 듣기 시험이 측정하고자 하는 것을 충실하게 측정하여야 한다. 즉, 평가 시험의 타당도를 확보하여야 한다.
본 논문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1장에서는 본 연구의 내용과 목적, 방법에 대해 제시하고, 한국어능력시험(TOPIK)의 선행 연구를 고찰하였다.
2장에서는 Brown(2001), Bachman & Palmer(2004), Weir(2005)의 논의를 중심으로 숙달도 평가와 듣기 능력의 이론적 배경을 살펴보았다.
3장에서는 한국어능력시험과 현행되고 있는 3가지 외국어능력시험 -TOEFL iBT, 신 HSK, 신 JLPT-의 전반적인 체제를 알아보았다.
4장에서는 3개의 외국어능력시험의 중`고급 듣기 문항 타당도를 비교 분석한 결과, 한국어능력시험의 문제점 및 개선안이 몇 가지 도출되었다. 먼저 문항 유형을 분석한 결과 중, 고급의 유형 차이가 많이 나지 않기 때문에 난이도 변별이 필요했다. 그리고 ‘문법적, 기능적, 담화적, 사회언어학적 지식’으로 분류하여 구인 타당도를 분석하였는데, 한국어능력시험에 사회언어학적 지식을 측정하는 문제가 현저히 적게 출제되어 구인타당도가 떨어졌다. ‘기능, 맥락, 내용, 텍스트 종류’로 기준을 설정하여 듣기 문항의 내용 타당도를 분석한 결과 학문 목적과 업무 수행 목적 둘 다 충족하기에는 내용 타당도가 떨어진다고 판단되었다. 시험 목표의 평가 범위가 지나치게 광대하여 한 시험으로는 측정이 불가능하므로 평가의 목표를 좁혀야 할 것이다.
앞으로 한국어능력시험이 학습자들의 한국어 능력을 평가하는데 있어서 보다 타당한 시험이 될 수 있도록 개선되기를 기대한다.

There were many discussions of TOPIK before, but it is difficult to see study comparing with other foreign language test. This is valuable to propose an alternative plan analyzed with TOEFL iBT, HSK, JLPT in listening part for validity. Among...

There were many discussions of TOPIK before, but it is difficult to see study comparing with other foreign language test. This is valuable to propose an alternative plan analyzed with TOEFL iBT, HSK, JLPT in listening part for validity.
Among the four sensory aspects of communication, listening is the most widely used in daily life ; people first learn a language through hearing it spoken. Thus, an evaluation tool for listening comprehension needs to be improved for more efficient learning. To evaluate listening comprehension the most effectively, it is important to evaluate what needs to be measured in a test ; that is, to determine the validity of a test.
The is organized as follows.
Chapter 1 illustrates the research objectives and need, describes the 's scope and methodology and examined the results of previous studies.
Chapter 2 provides the theoretical background. It adopted Brown(2001), Bachman & Palmer(2004), Weir(2005)'s concepts of the Validity of a test, as the theoretical basis.
Chapter 3 examines the current condition of other Foreign language tests, including TOPIK, TOEFL, HSK, JLPT.
Chapter 4 analyzes the validity of each test in items of its theoretical background and context, but also discusses alternative plan.
First, It analyzed listening questions based on Bachman & Palmer's Communicative Language Ability model. As a result, there are overwhelmingly many questions about organizational knowledge than pragmatic knowledge among subcomponents of communicative competence. And there are little questions about Sociolinguistic knowledge. So I could know that configuration of question is not valid. And I picked up 4 categories- function, context, contents, and text type- for analyzing the contents validity, based on the assessment criteria presented at syllabus for ACTFL. In result, it was shown that the assessment criteria was not reflected by TOPIK Listening Test.
I hope TOPIK become a test, which appraises validity by improving these problems.

韩语论文题目韩语论文题目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