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토리텔링을 활용한 수준별 말하기 교육의 유창성 및 이야기 구성력 향상 효과 연구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7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연구에서는 현재 언어 교육에서 많이 사용하고 있는 교육 방안의 하나인 스토리텔링을 한국어 교육에 도입할 것을 제안한다. 이에 본 연구는 학습자 중심의 능동적인 교육 방안을 제안하...

본 연구에서는 현재 언어 교육에서 많이 사용하고 있는 교육 방안의 하나인 스토리텔링을 한국어 교육에 도입할 것을 제안한다. 이에 본 연구는 학습자 중심의 능동적인 교육 방안을 제안하고자 하며, 수업을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수준별 말하기 교육이 학습자의 유창성 및 이야구성향상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먼저 사전 평가 후 서강 대학교의 초급 2에 해당하는 한국어 학습자 집단을 두 그룹으로 구성하여 실험집단은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수준별 말하기 교육을, 통제 집단은 일반적인 말하기 수업을 5주에 걸쳐 진행하였다. 그리고 수업 후에 사전 인터뷰와 똑같은 방식으로 사후 인터뷰를 진행하였고 그 결과를 비교하여 분석하였다.
참여자들이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구성한 이야기는 과제별로 각각 녹음, 전사한 후 ‘과제 수행, 주제 일관성, 사건 나열성, 명확성, 지시성, 결속성, 유창성’의 기준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실험집단이 통제집단에 비해 평균점수가 높게 나타났다.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수준별 말하기 교육을 받은 집단은 총점에서 유의미한 향상을 보였다. 특히 주제 일관성, 사건 나열성, 유창성 등에서 두드러진 향상을 보였으나 명확성에서는 두드러진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일반 말하기 교육을 받은 집단도 총점에서 유의미한 향상을 보였다. 특히 명확성의 부분이 향상되었다.
명확하게 말하는 능력은 단시간에 길러질 수 없기 때문에 명확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일반 말하기 교육에서 실시했던 문법 수업이나 통합수업이 병행되어야 하고, 비교적 긴 시간을 두고 시행해야 할 것으로 예상된다. 본 연구는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새로운 말하기 교육 방안을 모색하여 한국어 교육에 도입했으며 그 효과를 입증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is study suggests that storytelling, which is widely used in language education, should be introduced to Korean language education. Specificall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s of storytelling-based level-differentiated speaking...

This study suggests that storytelling, which is widely used in language education, should be introduced to Korean language education. Specificall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s of storytelling-based level-differentiated speaking education on learners’ improved fluency and story construction ability. First, after pre-evaluation, Korean language learners of beginning level 2 at Sogang University were divided into an experimental group and a control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was subjected to storytelling-based level-differentiated speaking classes for 5 weeks, while the control group to general speaking classes. And, after the classes, post- interviews were conducted in the same way as the pre-interviews, and the results were compared and analyzed. For the analysis, quantitative methods (SPSS 12.0 mean, standard deviation, t-tests) were employed.
Every story constructed by the participant to solve their tasks was recorded and analyzed based on ‘Task performance,’ ‘Topic maintenance,’ ‘Event sequencing,’ ‘Explicitness,’ ‘Referencing,’ ‘Conjunctive cohesion’ and ‘fluency.’ As a result,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ly higher means scores,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particularly, ‘event sequencing’ and ‘fluency’ improved greatly. On the other hand, the control group also showed an improvement in scores, particularly in ‘explicitness.’ The results indicate that alternative instruction could be conducted by cultivating the strengths of the two methods.

韩语论文范文韩语毕业论文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