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중 어휘 대조를 통한 한국문화교육 방안 : 색채어를 중심으로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7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This study aims to find the various Korean culture teaching methods for Chinese who learn Korean language by comparing the color words of Korean and Chinese. For this, the literature review and the research material analysis were selected as primary r...

This study aims to find the various Korean culture teaching methods for Chinese who learn Korean language by comparing the color words of Korean and Chinese. For this, the literature review and the research material analysis were selected as primary research methods. Also, many literatures about color words of Korean and Chinese were utilized, and the previous studies on culture education method in terms of foreign language were looked through Korean language education materials were analyzed therewith. In this article, the five basic colors were selected for discussion among various color words of Korean and Chinese. In other word, the meaning of Korean color words, ‘푸르다, 붉다, 누르다, 검다, 희다’and Chinese color words, ‘青, 红, 黄, 黑, 白’ were reviewed and the cultural backgrounds of these color words were inspected. Also, cultural symbolic meanings of both countries' color words were reviewed and compares to find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Furthermore, the five most-used textbooks from Korean language educational institutions in Korea were selected to analyze the color words. After analyzing, four issues were revealed. Frist, the amount of current-used color words is little and their forms are simple. Second, most of colors words are showed only in the beginning level. Third, the criterion of presentation is not clear. Fourth, textbooks are limited for describing only the basic meaning of color words. Considering of these issues, the three different levels of color words were arranged as beginning(1, 2 level), intermediate(3, 4 level) and advanced(5, 6 level) referring to the summative objective of the Korean standard curriculum and evaluation criteria of Test of Proficiency in Korean(TOPIK). In addition, the example of cultural education method by utilizing color words is suggested to Chinese who learn Korean language. On the aspect of the learning contents and materials, the teaching methods by using real objects, photos and pictures, applying proverbs and idioms, quoting in the contexts, understanding and utilizing the literatures, reviewing broadcast news contents were introduced. On the aspect of learning activities, quiz, having a research on cultural symbols and giving a presentation, speaking(writing) about color words compared with own culture were suggested.
This study is focused on settling the system of adapting color words into Korean language education to implement the Korean cultural education. It does not imply that all of color words dealt with in this article have to be adapted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However, it is expected to be utilized as the basic material for applying the color words systematically.

이 논문에서는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여 한국어와 중국어의 색채어의 대조 분석을 통하여 한국문화 교육을 실시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을 살펴보는 데에 연구의 목적을 둔다. ...

이 논문에서는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여 한국어와 중국어의 색채어의 대조 분석을 통하여 한국문화 교육을 실시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을 살펴보는 데에 연구의 목적을 둔다. 이를 위해 문헌 연구와 자료 분석의 방법을 1차적인 연구 방법으로 설정한다. 한국어 색채어에 관한 문헌, 중국어 색채어에 관한 문헌 등을 활용하고 외국어 교육에서의 문화 교육 방법론에 관한 선행 연구도 살펴보았다. 이와 함께 한국어교육 자료도 분석해 보았다.
이 논문에서는 한·중 색채어 중 기본이 되는 오색을 중심으로 논의했다. 즉, 한국어 색채어 ‘푸르다, 붉다, 누르다, 검다, 희다’와 중국어 색채어 ‘青,紅,黃,韩语论文,黑,白’을 중심으로 어원, 형태, 의미를 살펴보고 그 의미가 나오게 된 문화적 배경을 살펴보았다. 또 예문을 통해서 양국의 색채어가 각각 가지고 있는 문화적 상징의미를 살펴보고 그들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대조해보았다.
또는 현재 한국에 소재한 한국어교육기관에서 많이 쓰이는 기관 교재 5가지를 선택하여 수록된 색채어를 분석했다. 분석한 결과 네 가지 문제점을 갖고 있다. 첫째, 현재 교재에 수록된 색채어는 양이 적으며 형식이 단일하다. 둘째, 집중적으로 초급 단계에서 나타난다. 셋째, 제시 기준이 명확하지 않다. 넷째, 색채어의 기본 의미를 제시하는 데에 그친다. 이런 문제점을 고려하여 한국어 표준 교육과정의 총괄 목표와 한국어능력시험(TOPIK)의 평가 기준을 참고하여 교육 대상 색채어를 초급(1, 2급), 중급(3, 4급), 고급(5, 6급) 세 단계로 나누어서 배정해보았다. 그리고 중국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색채어를 활용한 문화교육 방안의 예를 제시했다. 교육 내용 및 자료의 측면에서는 실물·사진·그림으로 제시, 속담·관용표현의 교육, 문맥 속에서 제시, 문학 작품의 이해와 활용, 뉴스 텍스트를 활용 등 방법을 제시하였다. 학습자 활동 측면에서는 퀴즈, 문화상징 조사하여 발표하기, 자국 문화와 비교하여 말하기(쓰기), 설문 조사 등의 방법을 제시하였다.
본 논문은 색채어를 한국어 교육 현장에 도입하여 한국 문화 교육을 실시함에 있어 요구되는 체계성 확보에 치중하였다. 논문 내에서 다루고 있는 색채어 목록 모두가 한국어 교육에서 다루어야 함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단지 체계적인 색채어 도입을 위해 근거 자료로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韩语论文题目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