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 목적은 외국어로서 한국어를 배우는 태국인 학습자들에게 한국어의 종성 발음을 효과적으로 교육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 데에 있다. 이는 태국인 한국어 학습자들로 하여금 복...
이 연구 목적은 외국어로서 한국어를 배우는 태국인 학습자들에게 한국어의 종성 발음을 효과적으로 교육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 데에 있다. 이는 태국인 한국어 학습자들로 하여금 복잡한 한국어의 종성 발음 규칙을 제대로 인식시켜 발음의 정확성을 재고할 수 있게 할 뿐만 아니라 한국어 발음에 대한 성취감과 자신감을 고취시켜 한국어로의 의사소통을 성공에 이르게 하기 위함이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어와 태국어의 음운 체계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살펴보고, 발화 실험을 통해서 태국인들의 종성 발음에 나타난 오류를 살펴보기 위하여 실제로 태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종성 발음을 녹음하여 분석해 보았다. 실험 내용은 크게 종성의 홑받침과 겹받침의 발음 실태라는 두 가지로 구성되었는데, 그 결과로 홑받침 경우에는 첫 번째로, 태국인 학습자는 대부분 한국어 종성 ‘ㄹ’을 발을 할 때 모국어 영향으로 ‘ㄴ’으로 발음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두 번째로 연음 현상에서는 태국인 학습자들이 연음시켜 발음하지 않고, 철자 그대로 발음하거나 동일 자음 첨가 오류를 범하는 경우를 볼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종성 발음에서는 태국인 학습자들이 비음화와 유음화가 일어나는 발음들을 굉장히 어려워 한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겹받침의 경우, 첫 번째로 모든 겹받침의 앞 자음과 뒤 자음 중, 어떤 자음을 우선적으로 선별하여 발음할지에 대한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경우로, 이는 모국어인 태국어의 영향으로 볼 수 있었다. 두 번째는 앞 자음이 발음되는 ‘ㄹ’계 겹받침 7종성 대표음이 ‘ㄹ’이지만 태국어 학습자들에게서는 모국어의 영향으로 [ㄴ]으로 발음되어 생기는 오류이다. 세 번째는 모음이 오는 환경에서는 겹받침의 두 자음은 탈락되는 것 없이, 둘째 자음을 다음 음절에 연음시켜 모두 발음해야 한다. 그러나 어말과 자음 앞의 겹받침의 자음 탈락 현상을 모음 앞에서도 확대 적용시키면서 오류가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태국인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효과적인 한국어 종성 발음 교육 방안을 모색하였다. 연구자는 종성 발음 교육을 홑받침 발음과 겹받침 발음으로 나누어 진행하였다. 이 논문을 통하여 태국인 한국어 학습자들이 적합한 교육을 받아서 정확하게 발음을 구사할 수 있기를 희망해 본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n effective teaching method to address the conversational defects due to the errors on the final consonants carried by Thai learners.
The first chapter introduces the purpose of this , subjects study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n effective teaching method to address the conversational defects due to the errors on the final consonants carried by Thai learners.
The first chapter introduces the purpose of this , subjects study method, and discusses the previously conducted research.
In the second chapter, phonological differences have been observed between the Korean and Thai languages. The particular syllabic differences between the two languages are contrasted as the final obstructs are unreleased. For this reason, it is predicted that Thai learners will have errors on their final consonant in the Korean language.
The third chapter, in order to investigate the errors on utterance of the final consonants involved designing an experiment and experiment materials, selecting a group of Korean words, and asking 30 Thai students to read them, recording their pronunciations, analyzing the recordings by asking a Korean teacher to listen to the pronunciation of the Thai students and identify any errors with their pronunciation of Korean consonants.
Based on the results, errors on the final consonants of the Thai students are revealed as the following. In the case of a simple final consonant the consonant ‘ㄹ’ is difficult for Thai learners. They always pronounce ‘ㄴ’ instead. Another error is with liaison rules, the main liaison error types are broken pronunciation and the same consonant addition. For consonant assimilations, they always have errors, especially with nasalization and lateralization. The reason for the errors can be summarized as a result of systematic phonological differences or inefficient pronunciation teaching.
When encountering a double final consonant in the end syllable position, learners can’t choose one of the two consonants, and when the double final consonants are followed by other phonological rules, it was easier for the students to make mistakes. Reasons can be summarized as systematic phonological differences; and understanding of double final consonants rules is not enough.
In the fourth chapter, on the base of the error types and their reasons, practical solutions as a teaching method for Thai learners are suggested. The teaching method is divided into two parts: simple final consonant and double final consonant.
Chapter five will be summarized as content summary and conclusion, which mentions the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makes some suggestions for further study
,韩语论文范文,韩语毕业论文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