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논문은 한중 양국 속담에서는 수사법을 어떻게 사용하는지, 구체적인 공통점과 차이점을 비교 분석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이 논문의 구성과 내용은 다음과 같다.
제1장에서는 연구...
이 논문은 한중 양국 속담에서는 수사법을 어떻게 사용하는지, 구체적인 공통점과 차이점을 비교 분석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이 논문의 구성과 내용은 다음과 같다.
제1장에서는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을 구체적으로 제시하고 연구 대상과 연구 방법을 제사하겠다. 또한 이 연구와 관련이 있는 한국에서와 중국에서의 한·중 속담 비교에 대한 선행 연구를 각각 검토하고자 한다. 선행연구를 통하여 한중 양국 속담에 대한 비교 연구들이 많이 이루어졌지만 특히 속담의 수사법에 관한 논의가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이 논문에서 수사법으로 중심으로 한중 양국의 속담을 비교 연구하고자 한다.
제2장에서는 연구 과정 중에 필요한 이론적 지식 배경인 한중 양국 수사법의 정의 및 수사법의 분류 방법을 소개하고자 한다. 그중에 수사법의 정의에 대하여 한국 학자 김욱동과 문회선의 주장을 살펴보며 중국에서는 陳望道, 張弓, 唐松波 등 학자의 논의를 알아보고자 한다. 나아가 이상의 양국 학자들이 수사법에 대하여 분류 방법을 정리하고자 한다.
제3장에서는 한국어 속담과 중국어 속담의 개념을 사전적 정의와 학자에 의한 정의, 속담과 관련된 용어와 개념을 통해서 살펴보고 비교하고자 한다. 이 논문에서는 중국의 ‘俗语(속어)’와 ‘谚语(연어)’를 한국 속담과 비교 분석하는 대상으로 삼았다. 또한 양국 속담의 통공적인 특징을 형식, 표현 및 내용 3측면에서 구체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그 다음으로 제4장에서는 수사법에 대하여 언어학 초점에서 크게 음운 층위, 통사 층위, 의미 층위 그리고 화용 층위로 나누어서 한중 양국의 속담을 비교 분석을 살펴보고자 한다. 양국 속담에서 수사법을 어떻게 사용하는 지에 초점을 둘 뿐만 아니라 방대한 수사법 종류에 대하여 용법이 비슷한 것을 정리하여 제시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나머지 통사 층위, 의미층위 및 화용 층위에서는 마찬가지로 양국 속담에서 쓰인 용법이 비슷한 수사법을 최대한으로 묶을 수 있도록 같이 제시하며 대량의 예문을 통해서 비교 분석을 진행하고자 한다.
제5장에서는 한국어 속담과 중국어 속담에 대하여 수사법을 중심으로 비교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학습자나 중국어 학습자 모두에게 한중 속담 그리고 특히 양국 속담에서 수사법의 사용에 대하여 정확한 이해와 사용하는 데에 도움이 될 수 있는 핵심적인 자료로서 제시하고자 한다.
이 논문은 한국어 속담과 중국어 속담에서는 수사법을 어떻게 사용하는지 그리고 공통점과 차이점을 제시하였다. 그 결과는 많은 한국어 학습자나 중국어 학습자 모두에게 양국 속담을 학습 과정에서 오류를 줄이고 더 정확하게 이해하고 사용하는 데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또한 양국 사람들의 사고방식과 사회 문화 등에 대하여 적절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and analyze the uses of rhetoric in Korean and Chinese proverbs based on specific common and different features.
The composition and content of the includes the following:
Chapter 1 provided the need a...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and analyze the uses of rhetoric in Korean and Chinese proverbs based on specific common and different features.
The composition and content of the includes the following:
Chapter 1 provided the need and objective of the study specifically and introduced the subjects and methodologies. It also reviewed previous studies on comparison between Korean and Chinese proverbs published in South Korea and China. The review results show that there had been no discussion about rhetoric in proverbs despite many comparative studies on Korean and Chinese proverbs. The study thus set out to compare Korean proverbs with Chinese ones by focusing on rhetoric.
Chapter 2 covered the definitions and classification methods of rhetoric in South Korea and China as a theoretical knowledge background needed in the investigation process. As for the definitions of rhetoric, the investigator examined the arguments of Korean scholars including Kim Wook-dong and Mun Hoi-seon and those of Chinese scholars including Chen Wangdao, Zhang Gong, and Tang Songbo. The chapter also sorted out their classification methods for rhetoric.
Chapter 3 examined and compared the concepts of Korean and Chinese proverbs based on dictionary definitions, definitions by scholars, and terms and notions about proverbs. In the study, the investigator compared and analyzed Korean proverbs with Chinese "slang" and "collocation" and specifically examined their common characteristics in the three aspects of form, expression, and content.
Chapter 4 compared and analyzed Korean and Chinese proverbs based on the phoneme, syntax, semantics, and pragmatics of rhetoric by focusing on linguistics. The investigator not only focused on how rhetoric was used in Korean and Chinese proverbs, but also sorted out the vast kinds of rhetoric and grouped them according to similar uses. As for syntax, semantics, and pragmatics, the investigator presented proverbs with similar uses of rhetoric and grouped them as many as possible, conducting comparison and analysis with a large number of examples.
Chapter 5 provided essential data to help Korean and Chinese learners as a foreign language accurately understand and use Korean and Chinese proverbs and the uses of rhetoric in them based on the comparison results between Korean and Chinese proverbs with a focus on rhetoric.
The study presented common and different features as to how rhetoric was used in Korean and Chinese proverbs. The study results are expected to help many Korean and Chinese learners reduce their errors when learning Korean and Chinese proverbs and achieve greater accuracy with understanding and using them and further provide proper information about the thinking ways, society, and culture of Korean and Chinese peopl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