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기음운습득의 아동들은 단어를 분화시키지 못하고 통단어로 습득하기 때문에 어휘들간에 음운적인 관련성을 알지는 못한다. 또한 단어의 모든 음절을 말하기보다는 자신의 역량에 맞추...
초기음운습득의 아동들은 단어를 분화시키지 못하고 통단어로 습득하기 때문에 어휘들간에 음운적인 관련성을 알지는 못한다. 또한 단어의 모든 음절을 말하기보다는 자신의 역량에 맞추어 줄이거나 통단어 전략을 더 많이 사용하게 된다. 기존의 조음음운검사는 대부분 분절적 평가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단어를 전체 단어로 묶어 습득하고 산출하는 영유아나 초기음운습득에 어려움을 갖거나 말소리 목록이 제한적인 장애아동을 평가하는데 어려움을 갖는다.
또한 다운증후군아동의 조음음운 중재의 대상은 주로 학령기 아동이었으며, 음운변동 분석에 의한 중재 프로그램이 대부분이었다. 학령기 이전의 다운증후군아동들은 조음음운의 초점을 둔 중재보다 언어발달에 초점을 두어 연구하였다. 따라서 다운증후군아동들의 조음음운능력을 평가하기 위한 평가 방법 및 이에 따른 중재가 필요한 실정이며 이에 적합한 도구로는 단어단위 접근법을 들 수 있다. 본 연구는 전체 낱말 산출에 기초한 측정 방법인 단어단위 접근법을 이용한 조음음운중재 프로그램이 다운증후군아동들의 조음음운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의 대상은 다운증후군아동 3명이며, 본 연구가 다운증후군아동의 조음음운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사전·사후 설계를 하였다. 치료프로그램의 구성은 도입단계, 전개단계, 정리단계로 이루어졌다. 결과 분석에서 단어단위 분석 측정치는 한국어 표준 그림 조음음운 검사(The Korea Standard Picture Articulation and Phonological Test; KS-PAPT, 석동일 등, 2008)의 정밀검사 단어 목록으로 평가하였고, 자음 및 모음정확도와 구어명료도는 아동의 자발화 분석을 통해 평가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단어단위 접근법을 이용한 조음음운 중재 프로그램을 다운증후군아동에게 실시한 후 단어단위 분석의 측정치를 사전 평가, 사후 평가를 하여 향상의 정도를 비교해 보았다. 그 결과, 연구대상 아동 모두 사전 평가와 비교해서 사후 평가에 단어단위 분석의 측정치인 단어단위 정확률, 단어단위 복잡률, 단어단위 근접률, 단어단위 변화율 모두 증가하였다.
둘째, 단어단위 접근법을 이용한 조음음운 중재 프로그램을 다운증후군아동에게 실시한 후 자발화 산출시의 자음 및 모음정확도를 사전 평가, 사후 평가를 하여 향상의 정도를 비교해 보았다. 그 결과, 연구대상 아동 모두 사전 평가와 비교해서 사후 평가에 자발화 산출시 자음 및 모음정확도 모두 증가하였다.
셋째, 단어단위 접근법을 이용한 조음음운 중재 프로그램을 다운증후군아동에게 실시한 후 자발화 산출시 구어명료도를 사전 평가, 사후 평가를 하여 향상의 정도를 비교해 보았다. 그 결과, 연구대상 아동 모두 사전 평가와 비교해서 사후 평가에 자발화 산출에서의 구어명료도가 증가하였다.
,韩语论文范文,韩语论文范文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