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국제화, 세계화 등의 용어로 불리는 현대 사회에서 한국은 비약적인 경제 발전과 월드컵, 올림픽 등의 행사로 세계의 주목을 받고 있다. 한국의 위상이 상승됨에 따라 한국어와 한국학...
최근 국제화, 세계화 등의 용어로 불리는 현대 사회에서 한국은 비약적인 경제 발전과 월드컵, 올림픽 등의 행사로 세계의 주목을 받고 있다. 한국의 위상이 상승됨에 따라 한국어와 한국학을 배우려는 학습자 수 또한 증가하고 있으며 학습자의 요구도 점차 다양화, 전문화되고 있다. 따라서 이처럼 고급화된 학습자의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언어 교육의 필요성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특히 다문화 시대를 맞은 한국어 교육 현장에서의 문화 교육은 목표 문화의 수용과 동화에 그치지 않고 학습자로 하여금 문화 간의 소통을 경험하며 다양한 문화로 이루어진 세계 안에 존재하고 있는 자신을 발견하게 해야 하는데, 이런 경우에 문학 작품을 활용한 교육은 매우 유용하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다양한 문학 작품의 종류 중에서 단편 소설 텍스트가 언어 학습 활동에 있어서 좋은 교수의 제재가 될 수 있다는 것과 한국어 교육에 적합한 단편 소설의 기준은 어떤 것인지 알아보고 그 기준에 적합한 단편 소설을 실제 교안으로 제시하여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에서 단편 소설 활용의 필요성을 확인하였다.
제 2장에서는 언어가 사용되는 사회 및 문화와 어떤 연관성을 가지고 있는지에 대하여 알아보고 외국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한국어 교육에서 문학 교육의 필요성을 주장한 제이론을 살펴보았다.
제 3장에서는 한국어 문학 교육의 현황과 문제점을 파악하기 위해 현재 한국의 여러 대학교에서 사용하고 있는 한국어 교재에 수록된 문학 작품의 현황에 대해서 알아보고 발견된 문제점을 기초로 앞으로 한국어 문학 교육이 나아가야할 방향에 대해 진단한다.
제 4장에서는 한국어 문학 교육에 필요한 문학 작품의 선정 기준과 소설 교육 대상, 문학 교육의 자료로서 현대 단편 소설이 유용한 이유에 대해 알아보고, 제시된 자료에 근거하여 전광용의 단편 소설 <꺼삐딴 리>를 교육 자료로 선정하고 작품분석을 하였다.
제 5장에서는 제 4장에서 선정한 단편 소설<꺼삐딴 리>를 활용하여 실제 수업에 사용할 교안을 6차시로 나누어 제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얻은 결론은 단편 소설을 활용한 한국어 교육을 통해 학습자들이 작품에 대한 이해뿐만 아니라 그 안에 내재된 한국 문화 및 역사를 이해할 수 있으며 어휘 및 관용어의 습득과 소설을 통한 내면적 성장과 가치관의 비교도 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특히 문화 수업의 측면에서 볼 때, 지금까지 소설을 활용한 한국어 문화에 대한 수업은 한국 문화에 대한 단편적 소개나 체험이 대부분이었는데 본 연구에서는 소설의 내용에 기인해 학습자들이 한국 문화의 특정 부분에 대해 왜 그런 문화가 형성되었는지에 대한 역사적 이해와 토론을 할 수 있는 수업 안을 제시한 것에 그 의미가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 학습자들을 위한 문학 작품의 목록 및 선정기준이나 교재 개발, 또는 교수 방법의 확보 등 연구해야 할 과제가 많이 남아있다. 이러한 이유에 근거하여 외국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한국어 소설을 활용한 교육과 연구가 활용될 수 있도록 노력하는 작업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These days Korea is gaining attention and interest from other countries because of its marvelous economic development and hosting of international events like the World Cup and the Olympic Games. As Korean is developing its reputation, the number of p...
These days Korea is gaining attention and interest from other countries because of its marvelous economic development and hosting of international events like the World Cup and the Olympic Games. As Korean is developing its reputation, the number of people who want to learn Korean language and culture is greatly increasing, along with requests for more various specialized forms of programs and tools. Therefore, the development and use of language education tool that satisfy those demands are vital. The goal of cultural education is not only to teach students to accept and experience the culture, but also to communicate and connect with it. It seeks to awaken a realization of various cultural elements and factors in situations in which an individual finds himself. For this goal, the education method using literature is very effective. In this study, I have suggested that short novels can be a good source of language education, providing the proper standards in selecting short novels are used, and providing a practical specific example of an effective short novel can be used as a textbook. This study voices the need for short novel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Chapter 2 contains the studie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language and culture/society along with investigations of various theories that suggest and support the use of literature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foreign students.
Chapter 3 contains research of the present state and weaknesses in some currently used methods of Korean literature education in Korean universities, along with my suggestions for the direction of Korean literature education.
Chapter 4 includes the standards for selecting literary works for Korean literature education, studies on the effectiveness of such works with intended audiences, and reasons why modern short novels are useful sources of language and cultural education. To elaborate these points, I have selected and analyzed the novel Kapitan Lee (Captain Lee) by Chon, Kwang-Yong as a novel that can be quite efficient as a literature education textbook.
In chapter 5, I have suggested a six-step program that can be used in teaching Korean using Kapitan Lee by Chon, Kwang-Yong.
In conclusion, through the use of short novels and the Korean literature education method, students can easily learn to understand not only the literary works but also the beauty of Korean culture and history. Through Korean literature education, students can efficiently learn the vocabulary and idioms of the Korean language, experience internal growth, and gain the ability to compare Korean values with his own. Presently, especially in Korean cultural education, students are simply introduced to and invited to lightly experience Korean culture. The aim and meaning of this study is to suggest a class that will not merely superficially introduce culture, but that will provide understanding of why Korean culture is the way it is today, and that will encourage discussion and interaction about the said subject during meetings.
There is still much to be done in gathering and creating a catalog of good literary titles, developing set standards for choosing books, seeing the production and publication of specialized textbooks, and developing standardized teaching methods and plans for the subject. There is a lot of ground to be made in this strategic method of teaching Korean using literature, and efforts in the study of implementation of using Korean short novels in language education must advance and continu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