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소그룹 토의 담화를 통해 한국어 학습자와 모어 화자의 학습자 간 상호작용 양상을 알아보고자 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와 모어 화자의 토의 ... 본 연구의 목적은 소그룹 토의 담화를 통해 한국어 학습자와 모어 화자의 학습자 간 상호작용 양상을 알아보고자 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와 모어 화자의 토의 담화 내용을 전사하여 학습자 간 언어적 상호작용 양상에 대해 살펴보았다. 토의 담화에서 나타나는 학습자 간 언어적 상호작용을 살펴보기 위해 Stenstrom(1994)의 담화 분석 단위를 기준으로 대화 이동(move) 층위, 순서(turn) 층위, 의견 교환(exchange) 층위에서 나타나는 상호작용 양상을 분석하였다. 대화 이동 층위에서는 맞장구 표현과 시작표지, 머뭇거림에 대해 살펴보았고 순서 층위에서는 순서 가로채기와 대화 중복 현상에 대해 살펴보았다. 또한 의견 교환 층위에서는 각 그룹에서 나타나는 대응쌍(adjacency pair)을 살펴보고 학습자 간 상호작용 양상을 분석해 보았다. 이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대화 층위에서는 학습자 간 맞장구 표현이 빈번하게 일어났는데 이는 화자의 대화를 듣고 있다는 표시를 하거나 발화 내용에 대한 동의의 의미로 사용되었다. 이러한 맞장구 표현에는 간투사와 반복 및 대용 표현, 그 밖의 표현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는데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경우 모어 화자와 비슷한 빈도의 맞장구 표현을 사용하였으나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하는 맞장구 표현을 쓰는 경우가 대부분이며 다양한 맞장구의 표현이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시작 표지와 머뭇거림의 표지에 대해서도 분석하였는데 한국어 학습자의 경우 모어 화자에 비해 머뭇거림의 빈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순서 층위에서는 순서 교대(turn-taking) 양상을 살펴보았다. 순서 교대는 우연적인 중복에 의해서 일어나기도 하고 순서 가로채기의 형식으로 나타나기도 하는데 순서 가로채기의 경우 대화 상대자가 발화 내용에 대한 협력적인 완결을 해줌으로써 대화를 유지하기도 하고 대화 진행을 바꾸어 자신이 발화하는 경우도 있다. 두 그룹 모두 협력적 완결의 형태가 많이 나타났으나 한국어 학습자는 모어 화자에 비해 우연적 중복이 더 높은 빈도로 나타났다. 셋째, 의견 교환 층위에서는 대응쌍(adjacency pair)에 대해 살펴보았는데 두 그룹 모두 가장 빈번하게 일어나는 대응쌍은 질문-대답의 형식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모어 화자는 설명형, 판정형 질문의 빈도가 높은 반면 한국어 학습자의 경우 설명형, 판정형, 확인형 질문이 모두 비슷한 빈도로 나타나고 있다. 이는 한국어 학습자들이 상호 수정․협력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현상이며 한국어 학습자들은 이러한 상호작용 과정을 통해 좀 더 효과적인 제2 언어 학습이 이루어지게 된다. 본 연구는 한국어 교실에서 과제로서의 토의를 통해 좀 더 효과적인 한국어 학습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일상생활에 있어서도 원활한 의사소통과 유창한 말하기를 위한 방안 마련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그러나 언어권에 따른 다양한 상호작용 양상, 언어적 측면이 아닌 비언어적인 상호작용 등에 대한 후속 연구도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This study is purposed to find out the interaction patterns between Korean learners as foreigners and native Korean speakers through the conversations at small groups' discussion time. For this purpos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lingual interaction ... This study is purposed to find out the interaction patterns between Korean learners as foreigners and native Korean speakers through the conversations at small groups' discussion time. For this purpos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lingual interaction patterns between Chinese Korean learners and native Korean speakers by transferring their conversations at the discussion time. To look into the learners' linguistic interactions shown in discussion conversations, this study analyzed the interaction patterns in terms of the conversation move horizon, the turn horizon, the opinion exchange horizon based on Stenstrom(1994)'s conversation analysis units. In the aspect of conversation move horizon,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xpressions chiming in, the expressions breaking into a conversation, and hesitations. For the aspect of turn horizon, this study investigated the turn stealing and the conversation duplicating. Besides, in the aspect of opinion exchange horizon, this study investigated adjacency pairs seen in each group, and analyzed the learners' interaction patterns. The summarized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n the aspect of conversation horizon, there often happened in the expressions chiming in between learners. These expressions were used in suggesting the listener's careful listening to the speaker or the listener's agreement. This study divided these chiming expressions into interjections, repetitions, and replacing expressions and others, and studied them. Chinese Korean learners used the chiming expressions as similar often as the native Korean speakers. They generally use the chiming expressions used so often, not showing the variety of chiming expressions. Also this study analyzed the expressions breaking into a conversation and the hesitating expressions. Chinese Korean learners showed higher frequency in the hesitating expressions than Korean native speakers. Second, this study investigated the turn taking patterns in the aspect of turn horizon. Turn-Taking was happened by accidental duplications, or was shown in the form of turn stealing. In case of turn stealing, the former talker kept the dialogue by completing cooperatively his/her own speech, or insisted on speaking by changing the direction of talk. In the both groups (Chinese Korean learners group and native Korean learners group), there were many patterns of cooperative completion. Compared to the native Korean speaker group, the Chinese Korean learners group showed higher frequency in accidental duplication patterns. Third, this study investigated the adjacency pairs in the aspect of opinion exchange horizon. In the both groups, the most often adjacency pair was the question-answer pattern. While the native Korean speaker group had higher frequency in the questions of explanation-type and judgement-type, the Chinese Korean learners showed similar frequencies in the question patterns of explanation-type, judgement-type, and confirmation-type. This is the phenomenon appeared in Chinese Korean learners' mutually correcting, cooperating process. Such interaction process leads them to learner their second language(Korean) more effectively. This study can be utilized as basic data for learning Korean language more effectively through the discussion, a task in Korean language class, and is expected to contribute in setting ways for fluent communication and speaking in daily life. But there will need following researches about various interactions according to different language areas, and non-verbal interactions, not verbal interactions in the future. ,免费韩语论文,韩语论文题目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