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is study aims to show the vocabulary acquisition effects of groups which performed vocabulary tasks with different involvement in order to know how the types of writing tasks have effects on acquisition of Korean Language idioms. The types of tasks ...
This study aims to show the vocabulary acquisition effects of groups which performed vocabulary tasks with different involvement in order to know how the types of writing tasks have effects on acquisition of Korean Language idioms. The types of tasks for test were one blank task, two blanks task and writing phrase task and there were three groups which performed each task. The two blanks task and writing phrase task were for verifying whether there were differences according to involvement and one blank task and two blank task were performed for verifying it there were same results with controlling time element. In order to verify them, I set up the following research topics.
1. Is there difference of vocabulary acquisition and maintenance between one blank task group and two blanks task group?
2. Is there difference of vocabulary accusation and maintenance between two blank task group and writing phrase task group?
The test which 3rd and 4th classes learners of Korean Language institute of a university in Seoul were performed twice. After task performed to each groups in order to know effects of acquisition of Korean Language idioms, the primary post-test grades were collected. The secondary post-test grades were also collected to evaluate if they remember acquired Korean idioms after a week and compare it with the primary vocabulary post-test.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descriptive and One-way ANOVA. The test results are following:
First, performance time of task had no significant effects on acquisition of Korean idiom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averages of one blank group and two blanks group. The descriptive result also indicated that average of one blank group was higher than that of two blank group as unexpected.
Second, involvement of tasks had no significant effects on acquisition of Korean idioms. As a result, writing phrase group, whose involvement was higher, had no significantly higher grades than other groups. However, when compared simply differences of averages, writing phrase group had higher average grades than other groups. Even though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volvement of task seems to have some positive effects on acquisition of Korean idioms.
Third, Time and involvement of task had no significant effects on acquisition of Korean idioms.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average grades of three groups. However, after one week, writing phrase group kept more words and two blank group and one blank group followed. Even though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volvement is higher, and performance time is longer, they seemed to have positive effects on maintenance of Korean idioms acquisition by some extent.
Through this study, I tried to apply effectiveness of vocabulary acquisition according to involvement to Korean idiom study. As a result, like previous studies which used one-syllable vocabularies, there had no signifiant differences among groups. However, it is meaningful to try to show vocabulary acquisition effect by applying Korean idiom studies to task used in Korean Language class room in practice.
본 연구는 어휘 과제의 유형이 한국어 관용어 습득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관여도가 다른 어휘 과제를 수행한 각 집단의 어휘 습득 효과를 밝히고자 하였다. 실험에 사용한 과제...
본 연구는 어휘 과제의 유형이 한국어 관용어 습득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관여도가 다른 어휘 과제를 수행한 각 집단의 어휘 습득 효과를 밝히고자 하였다. 실험에 사용한 과제는 한 개의 빈 칸 채우기 과제, 두 개의 빈 칸 채우기 과제, 문장 쓰기 과제로서, 각각의 과제를 수행한 총 3개의 집단으로 나누어서 실험을 진행하였다. 두 개의 빈 칸 채우기 과제와 문장 쓰기 과제는 관여도에 따라 한국어 관용어 습득에 차이를 보이는지를 검증하기 위한 것이며, 한 개의 빈 칸 채우기 과제와 두 개의 빈 칸 채우기 과제는 시간이라는 요인을 통제하였을 때에도 같은 결과가 나타나는지를 검증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검증하기 위해 다음과 같이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연구 문제 1. 하나의 빈 칸 채우기 과제를 제공 받은 집단은 두 개의 빈 칸 채우기 과제를 제공 받은 집단과 어휘 습득과 유지에 차이를 보이는가?
연구 문제 2. 두 개의 빈 칸 채우기 과제를 제공 받은 집단은 문장 쓰기 과제를 제공 받은 집단과 어휘 습득과 유지에 차이를 보이는가?
서울 소재 대학 부설 한국어 교육 기관의 3급과 4급 학습자가 참여한 본 실험은 총 2회에 걸쳐 진행이 되었다. 한국어 관용어 습득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집단 별로 과제를 수행한 직후, 1차 사후 어휘 평가 점수를 수집하였다. 또 습득한 한국어 관용어를 1주일 후에도 기억하고 있는가를 평가하고, 1차 사후 어휘 평가와의 차이를 비교하기 위해 2차 사후 어휘 평가 점수가 수집되었다. 이와 같은 절차로 수집한 자료는 기술 통계, 일원분산분석을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실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과제의 수행 시간은 한국어 관용어 습득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 개의 빈 칸 채우기 집단과 두 개의 빈 칸 채우기 집단의 평균 간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기술 통계 결과 또한 예상과 다르게 한 개의 빈 칸 채우기 집단의 평균이 두 개의 빈 칸 채우기 집단 보다 높은 평균을 얻었다.
둘째, 과제의 관여도는 한국어 관용어 습득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관여도가 높은 문장 쓰기 집단은 한 개의 빈 칸 채우기 집단과 두 개의 빈 칸 채우기 집단 보다 유의미하게 높은 점수를 얻지 못하였다. 하지만, 평균의 차이만을 비교하였을 때에는 문장 쓰기 집단이 다른 두 집단에 비해 평균 점수가 높게 나타났다. 이에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지만 관여도가 한국어 관용어 습득에 어느 정도는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보았다.
셋째, 과제의 수행 시간과 과제의 관여도는 한국어 관용어 유지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세 집단의 평균 점수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다. 하지만 1주일 후에 문장 쓰기 집단, 두 개의 빈 칸 채우기 집단, 한 개의 빈 칸 채우기 집단의 순으로 더 많은 어휘를 유지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이로써 유의미한 차이까지는 나타나지 않았지만 과제의 관여도가 높을수록, 과제의 수행 시간이 길수록 한국어 관용어 유지에 어느 정도는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았다.
본 연구를 통해 관여도에 따른 어휘 습득의 효과를 한국어 관용어에 적용해보고자 하였다. 이에 1어절의 어휘를 목표어로 사용한 기존의 연구에서와 같이 집단 간의 유의미한 차이를 발견하지는 못하였다. 하지만 관용어 목록 선정이나 교육 방안 제시가 중심이 되었던 한국어 관용어 연구를 실제 한국어 교실에서 사용하는 과제에 적용하여 어휘 습득 효과를 밝히고자 했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韩语论文范文,韩语论文网站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