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역적 문법 교수와 귀납적 문법 교수의 효과 비교 연구 : 일본인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8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본 연구는 한국문법 수업에서 연역적 문법 교수와 귀납적 문법 교수효과와 교수법에 따른 지연 효과를 일본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밝히는 데 그 목적이 있고, 본 연구에서는 수업의 목...

본 연구는 한국어 문법 수업에서 연역적 문법 교수와 귀납적 문법 교수의 효과와 교수법에 따른 지연 효과를 일본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밝히는 데 그 목적이 있고, 본 연구에서는 수업의 목표 문법 항목을 어떠한 형태의 결합으로 그 의미를 쉽게 알 수 있는 투명한(transparent) 항목과 그 의미가 명확하지 않은 불투명한(opaque) 항목으로 나누어 알아보았다. 그것을 다시 형태기능면과 의미기능면의 점수와 형태기능면과 의미기능면을 합친 점수에 따라 각각 어떻게 다르게 나타나는지 비교 실험하였다. 투명한 문법 항목은 과거의 경험을 나타내는 ‘-(으)ㄴ 적이 있다/없다’로 설정하였으며, 불투명한 문법 항목으로는 과거의 경험을 통한 지각을 나타내는 ‘-더라고요’로 설정하였다.
I장에서는 본 연구가 한국어 교육에서 왜 필요한지에 관한 목적 및 필요성에 대해 기술하였으며, 그 연구 대상과 범위를 기술하였다. 그리고 그에 관한 선행연구를 살펴보았다. 선행연구는 연역적 문법 교수와 귀납적 문법 교수 방법으로 나누어 수업을 하였을 때 어느 것이 더 효과적이었는지 그 결과에 따라 기술하였고,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연구 문제 및 가설을 세웠다. 본 연구에서는 두 가지의 연구문제에 대해 살펴보았는데, 첫 번째는 연역적 문법 교수 방법과 귀납적 문법 교수 방법은 문법 항목의 의미적 투명성에 따라 일본인 한국어 학습자의 습득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가이다. 그리고 두 번째 연구문제는 연역적 문법 교수 방법과 귀납적 문법 교수 방법은 문법 항목의 의미적 투명성에 따라 일본인 한국어 학습자의 학습 지속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가이다.
II장에서는 본 연구의 이론적 배경에 대해 기술하였고, 연역적 문법 교수와 귀납적 문법 교수가 어떻게 다른지와 각각의 장단점 등에 대하여 기술하였다. 그리고 본 연구에서 설정한 문법 항목 ‘-(으)ㄴ 적이 있다’와 ‘-더라’의 설정 이유는 무엇이고, 어떠한 형태적 의미적 기능을 가지고 있는지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III장에서는 연구 방법에 대해 논하였는데, 본 실험에 들어가기에 앞서 여러 확인 작업을 거친 예비실험의 내용과 연구 대상, 연구 절차, 실험 설계, 측정 도구, 분석 방법 등에 대해 상세히 기술하였다.
IV장에서는 실험에 따른 연구 결과를 기술하였고, 연역적 문법 교수와 귀납적 문법 교수 중, 어느 방법이 더 효과적이었고, 2주 후의 사후 평가를 통한 지연효과에 있어서는 어느 교수법이 더 효과적이었는지에 대해 기술하였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V장에서는 결론 단계로서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였고, 본 연구가 한국어 교육에 있어서의 의의와 제안하고자 하는 것, 한계에 대하여 논하였다.
지금까지 한국어 교육에서는 문법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문법의 제시 방법인 연역적 문법 교수와 귀납적 문법 교수에 대한 연구가 거의 없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연역적 문법 교수와 귀납적 문법 교수를 연구하였다는 점과 나아가 연역적 문법 교수와 귀납적 문법 교수의 지연효과까지 함께 연구하였다는 점에서 큰 의의가 있는 연구라고 생각하는 바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deductive and inductive grammar teaching in Korean language grammar class and the delay effects according to such teaching methods focusing on Japanese learners. This study divided the class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deductive and inductive grammar teaching in Korean language grammar class and the delay effects according to such teaching methods focusing on Japanese learners. This study divided the class target grammar items into the transparent items whose meaning was identifiable with some combined forms and the opaque items whose meaning was not clear. The study examined how they were different from each other by comparing the combined scores of morphological and semantic functions between the two groups. As for the transparent grammar items,‘-(으)ㄴ 적이 있다/없다 [-(eu)n jeogi itta/eoptta]’representing past experience were designated, whereas as for the opaque grammar items,‘-더라고요 [-deoragoyo]’representing the perception through past experience were designated.
In Chapter I, the study described the subjects and scope of Korean education as well as its purpose and necessity. It also examined prior research on this topic. Prior research described the results of which one was more effective when conducting classes using deductive and inductive grammar teaching. Based on them, the study established research questions and hypotheses.
In Chapter II, the study described its theoretical background, the differences between deductive and inductive grammar teaching and the strengths and weaknesses of each. Besides, it explained the reasons for employing the grammar items, such as ‘-(으)ㄴ 적이 있다 [-(eu)n jeogi itta]’ and ‘-더라 [-deora]’ and what morphological and semantic functions these two items had.
In Chapter III, the study discussed its research methods and described in detail the content, subjects, procedures, design of the experiment, measurement tools and analysis methods of preliminary experiments that have undergone various confirmation works before actually conducting its main experiment.
In Chapter IV, in terms of the results of the experiment, the study described which one was more effective between deductive and inductive grammar teaching, and which one was more effective in delay effects through the post-evaluation in two weeks.
Lastly, in Chapter V, the study summarized its results and discussed the meaning, suggestions and limitation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韩语论文网站韩语毕业论文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