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고등학생들의 영어 음절 말 폐쇄음 발음에 대한 인지훈련의 효과 : 모음삽입을 중심으로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8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Most English loanwords adopted in Korean have been assimilated in pronunciation to the Korean syllable structure. One of such assimilation phenomena frequently observed is ɨ-insertion after a syllable-final stop. As Korean high school students le...

Most English loanwords adopted in Korean have been assimilated in pronunciation to the Korean syllable structure. One of such assimilation phenomena frequently observed is ɨ-insertion after a syllable-final stop. As Korean high school students learning English are not yet fully accustomed to the English pronunciation system, most of them are directly or indirectly affected by the Korean pronunciation system. ɨ-insertion is a typical example and it is frequently found to maintain a syllable-final stop in English words by inserting ɨ after the stop.
The present research is focusing on the ɨ-insertion phenomenon when Korean high school students pronounce English words which are not adopted as loanwords in Korean. The experiment in the research formed three different groups of subjects. The first group was forced to repeat the prompted English words on the computer screen without listening to native talkers' pronunciation (Simple Repetition). The second group had conducted a perception training with feedback 10 times and then conducted the same simple repetition as the first group did. The third group did nothing for the same period except taking the same pre-training test and post-training test which the other two groups took. The results of the tests were compared to see whether the training protocols would show any training effect and which protocol would turn out to be better than the other. And then the two groups took a maintenance test (2mo-test) 2 months after the posttest, though no training was conducted after the posttest. This was done to find out whether the training effect, if any, would be maintained 2 months later.
As for the experiment, factors affecting ɨ-insertion were sorted out to be 1) the place of articulation and 2) (un)voicedness of the syllable-final stop, 3) tenseness of the preceding vowel, and 4) the following environment. Then 144 English words containing one of the stops /p, b, t, d, k, g/ in syllable-final position were picked up and were divided into 72 training and 72 testing stimuli. Thirty 1st-year high school girls were evenly divided into three group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pretest. The first group (Train A) conducted perception training with feedback 10 times and then simple repetition production training 10 times. The second group (Train B) conducted simple repetition production training only. The third group, the control group, did nothing but taking the same pretest and posttest which the other two groups took. In addition, the training groups took the maintenance test 2 months after the posttest.
The recorded samples from the pretest and the posttest were evaluated by native talkers of English as to whether ɨ was inserted or not. The results were analyzed across different factors and groups to see whether difference in training effects would be found through ANOVA.
The results: Simple repetition training was found to be not effective in the factors of velar stops, voiced stops, word-final position, and sonorant stops. However, ɨ-insertion improved in the factors like alveolar and bilabial stops, voiceless stops, lax/tense vowels, and obstruent stops through simple words repetition training.
On the other hand, simple words repetition training preceded by perception training with feedback have drastically reduced ɨ-insertion across all the factors. This means that the perception training with feedback followed by simple repetition training seemed to be more effective than simple repetition training only. This is because perception training helped subjects pay more attention to ɨ-insertion and as a result, they made less ɨ-insertion errors in simple repetition training afterward. This result suggests that perception directly affects production as far as L2 training is concerned.
The analysis of the maintenance test 2 months after the posttest have revealed that the group with perception training followed by simple repetition training has still maintained the drastically improved training effect or has even shown improvement despite the lack of training between posttest and 2mo-test. This suggests that the training effect in the short-term memory has transferred to the long-term memory, which might mean that the learned training effect might be being maintained for a longer period of time than two months.

한국어에 차용된 영어단어는 한국어의 음절구조로 발음되어 음절 말 폐쇄음 뒤에서 ‘으’ 모음삽입하는 경향이 있다. 영어를 배우고 있는 한국 고등학생들은 아직 영어의 발음체계에 ...

한국어에 차용된 영어단어는 한국어의 음절구조로 발음되어 음절 말 폐쇄음 뒤에서 ‘으’ 모음삽입하는 경향이 있다. 영어를 배우고 있는 한국 고등학생들은 아직 영어의 발음체계에 적응하지 못 한 상태이기 때문에 차용어가 아닌 일반 영어단어를 발음할 때 한국어의 발음체계에 직접적인 영향을 받게 된다. 폐쇄음 다음에 ‘으’ 삽입은 영어의 음절 말 위치에서 나타나는 자음을 유지하려는 방편으로 한국인 학생의 발음에 나타나게 된다.
본 연구는 차용어가 아닌 영어단어에서 음절 말 자음을 한국인 고등학생들이 발음했을 때 나타나는 ‘으’ 모음삽입 현상을 다루고 있다. 피험자들이 원어민의 발음을 듣지 않고 단순히 영어단어를 반복하여 발음하는 방식을 사용한, 단기간 동안의 단순 반복훈련을 했을 경우와 인지훈련을 하고 난 뒤에 동일한 단순 반복 발음훈련을 했을 경우를 비교하여 각각의 경우가 피험자의 영어발음에서 모음삽입을 효과으로 줄일 수 있는지를 알아본다. 또한 단기간의 훈련이 효과가 있을 경우 그 효과가 2개월 뒤에도 유지되는지도 알아본다.
발화(production)시 모음삽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음절 말 폐쇄음의 조음위치, 유‧무성성, 선행모음의 긴장도 그리고 후행환경으로 나눈 뒤에 음절 말에 폐쇄음 /p/, /b/, /t/, /d/, /k/, /g/을 가지는 영어단어 144개를 테스트용 어휘 72개와 훈련용 어휘 72개로 나누어 자극으로 사용하였다. 한국의 고등학교 1학년 여학생 30명을 사전테스트를 거쳐 3개의 집단으로 나누었다. 훈련집단A는 단기간의 인지훈련을 실시한 뒤에 영어단어 단순 반복 훈련을 10회 실시하였고, 훈련집단B는 단순 반복 훈련만 10회 수행하였다. 통제집단은 어떤 훈련도 받지 않았다. 이러한 단기 훈련과정을 마친 후 훈련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사전테스트와 동일한 사후테스트를 실시하였고 또한 2개월 후에도 훈련효과가 유지되는지를 알기 위하여 사전/사후테스트와 동일한 테스트를 실시하였다. 비교를 위하여 통제집단을 대상으로 훈련을 실시하지 않은 채 사전과 사후테스트를 실시하였다.
사전과 사후테스트에서 녹음된 샘플들을 원어민들이 듣고 ‘으’ 삽입유무를 평가한 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요인에 따른 집단별 ‘으’ 삽입의 정도가 세 집단 중 어느 집단에서 가장 많이 감소되었는지를 파악하여 훈련의 효과가 있는지를 판단하였다.
사전/사후테스트의 결과를 ANOVA를 사용하여 훈련집단들과 통제집단간 ‘으’ 삽입의 감소 정도를 비교하였다. 그 결과, 단순 반복 발음훈련만으로는 연구개음, 유성음, 어말, 공명음 요인은 모음삽입 현상이 전혀 개선되지 않았다. 치경음, 양순음, 무성음, 이완음, 긴장음, 저해음은 발음훈련만으로도 모음삽입이 감소되는 경향이 있었다. 반면에 단기간의 인지훈련 뒤에 실시한 단순 반복 발음훈련을 수행한 피험자의 발음에서는 모음삽입이 급격히 줄어들었다. 모든 요인에 있어서 모음삽입 오류현상이 상대적으로 더 큰 폭으로 감소하였다. 즉, 모음삽입 현상은 단순히 발음훈련만 반복하여 학습하는 경우보다, 정확한 발음을 구별해 낼 수 있는 능력을 기르는 인지훈련이 선행되었을 때 급격히 발음이 더 향상되었다. 이로써 발음의 인지능력 향상이 발음능력의 향상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 입증되었다.
훈련 후 2개월 뒤에 실시한 테스트를 분석한 결과 인지훈련을 받았던 훈련집단A의 경우 모든 요인에서는 2개월 동안 추가적인 훈련이 없었음에도 불구하고 사후테스트에 비해 훈련효과가 그대로 유지되거나 심지어는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단기기억에 기억된 발음훈련의 효과가 장기기억으로 전이되었음을 강력히 시사한다.

免费韩语论文韩语论文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