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조사 습득 순서 연구 : '은/는, 이/가, 을/를'을 중심으로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8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연구외국한국학습자의 내재화된 조사 습득 순서를 파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일본어권 학습자와 중국어권 학습자를 대상으로 듣기와 말하기 과제를 통한 이해와 산...

연구외국한국어 학습자의 내재화된 조사 습득 순서를 파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일본어권 학습자와 중국어권 학습자를 대상으로 듣기와 말하기 과제를 통한 이해와 산출 실험을 실시하여 조사 습득 순서를 알아보았다. 또한 이 실험의 결과를 한국어 모어 화자인 아동의 습득 순서와 비교하여 한국어 교육에의 적용을 시도하고자 하였다.
조사 이해 연구는 연구자가 그림카드 두 장을 제시하면서 하나의 검사 문장을 말하고, 학습자에게 맞는 카드를 변별해 내도록 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으며 이 검사로 정반응 여부와 정반응에 걸린 시간을 측정하였다. 이 결과 학습자의 모국어나 한국어 숙달도에 따라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으나, 조사 항목별로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그 결과 조사 ‘을/를’의 이해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다음으로 ‘이/가’, ‘은/는(주제)’. ‘은/는(대조)’의 순서이었다.
조사 산출 연구는 반구조화된 방식의 일대일 면접법으로 수집한 학습자의 구어 자료를 정확도 평균 방법과 함축 도표를 이용하여 해석하였다. 이 결과 학습자의 모국어나 숙달도와 관계없이 동일한 습득 순서가 발견되었는데, 그 순서는 ‘은/는(주제)’, ‘을/를’, ‘이/가’, ‘은/는(대조)’로 나타났다.
두 연구를 통하여 발견한 외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조사 습득 순서를 한국 아동의 습득 순서와 비교해보았다. 두 집단은 격조사를 먼저 습득한 후에 보조사를 습득한다는 큰 틀 안에서 유사한 양상을 보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개별 조사의 습득에서는 ‘이/가’와 ‘을/를’의 순서의 차이가 있었지만 아동의 언어 습득에서 목적어 자리의 어휘를 먼저 습득하는 것으로 보아 아동도 외국인 학습자와 마찬가지로 목적어에 대한 인식을 먼저 하고 있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었다. 이에 앞으로 한국어 교육 현장에서 문법 항목의 제시 순서를 정할 때 모국어 요인 보다는 발달 과정 요인이 작용해야 하며, 제2언어 습득에 대한 보편적 장치가 우선적으로 고려되어야 한다는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현재 한국어 교육에서의 문법 제시 순서는 기존의 학교 문법이나 난이도, 또는 사용 빈도를 기반으로 한 한국어 교육용 문법의 요소 등이 반영되고는 있지만 그 순서가 제각각이다. 특히 조사의 경우 한국어 학습에서 가장 중요한 항목 중 하나임에도 불구하고 교재마다 제시 순서가 다르거나 심지어 그 내용에도 차이가 있다. 이에 난이도나 사용 빈도, 또는 교수자의 직관에 의존한 제시 순서보다는 학습자들의 자연스러운 발달 단계를 참고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발견한 조사 ‘은/는, 이/가, 을/를’의 자연적인 습득 순서가 한국어 교육에 적용된다면 보다 효율적인 교수-학습이 이루어지리라 본다.

The aim of this research is to clarify the natural acquisition orders for Korean particles, ‘은/는, 이/가, 을/를’ among non-native learners of Korean. To this end, this study examined a comprehension and production test through listening and...

The aim of this research is to clarify the natural acquisition orders for Korean particles, ‘은/는, 이/가, 을/를’ among non-native learners of Korean. To this end, this study examined a comprehension and production test through listening and speaking tasks to Japanese- and Chinese-speaking students of Korean. The further aim of this research is applying to educating Korean through comparing with acquisition order of native Korean-speaking children.
The comprehension test checked frequency and time of correct reaction when the researcher says one sentence by showing two pictures. After that the students chose one correct picture for that sentence. As a resul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statistically in according with students' native languages or their Korean abilities. The acquisition order that examined of this test was ‘을/를, 이/가, 은/는(topic), 은/는(contrast)’.
The production test collected data of students' spoken language in a semi- structured interview. Then the results were analyzed by the accuracy means method and implication scaling. I discovered same acquisition orders without regard to students' native languages or their Korean abilities, and the acquisition order that I found on this test was ‘은/는(topic), 을/를, 이/가, 은/는(contrast)’.
I compared the acquisition order of Korean particles between non-native Korean learners and native Korean-speaking children. The two groups showed similar aspects that the acquisition order of case particles is faster than auxiliary particles. In spite of a slight difference between the acquisition order of ‘이/가’ and ‘을/를’ in the two groups, I can conclude that the native Korean-speaking children are also recognizing an object the same as non-native Korean learners, seeing that the children acquired the word of object first. As a result, the universal device has to reflect preference and we should consider the factor of students' natural development processes rather than their native languages when we decide the teaching order of grammatical items.
The teaching order of grammatical items in teaching Korean is reflected in the factor of Korean teaching grammar based on traditional school grammar, difficulty or frequency but they are all inconsistent. Particles are especially important items when learning Korean. However the teaching order is not the same by textbooks even though the contents of each textbooks are all different. Therefore, if the acquisition order of Korean particles, ‘은/는, 이/가, 을/를’ examined in this research is applied to teaching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that would be more efficient teaching-learning.

韩语论文韩语论文范文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