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is focuses on proposal of the effective education on the derivative words of ‘-jeok’ appeared in vocabulary for learning Korean.
Advanced stage Korean learner ‘-jeok’ derivations hear much use on the environment is exposed which the...
This focuses on proposal of the effective education on the derivative words of ‘-jeok’ appeared in vocabulary for learning Korean.
Advanced stage Korean learner ‘-jeok’ derivations hear much use on the environment is exposed which they ‘-jeok’ the exact meaning of the misunderstood or ‘-jeok’ ought be the same attache the wrong things if you are not experienced.
Sentence repetition and memorization of audiolingual method was until now dominated by Korean education. So learners as you know the ‘-jeok’ derivatives used in the actual language, life was not, they use ‘-jeok’ derivatives even though failing to grasp the exact meaning of prayers which made for an awkward expression. Most of the learners of the Korean textbook dialogues or reading materials while learning ‘-jeok’ incidental derivations many cases encouraging them to learning ‘-jeok’ to figure out the exact meaning of derivatives did not provide the opportunity, Korean Language Teachers depending on the configuration of the teaching ‘-jeok’ derivative of the exact meaning or significance of the difference between similar expressions to education has been neglected.
Therefore, this study of Korean learners correctly understand the meaning of ‘-jeok’ derivatives and use to enrich the educational needs of the Korean learners a list of ‘-jeok’ derivatives were prepared.
The order of discussion follows. Chapter 2 characteristic of ‘-jeok’ derivatives, the formation rules, constraints and concepts of corpus linguistics looked for a comparison of Korean, Chinese and Japanese. Chapter 3 was to create a list of ‘-jeok’ derivatives for Korean Education. Section 4 analyzes the results of a survey. In Chapter 5 ‘-jeok’, derivatives of the training plan were prepared.
Vocabulary lists and analyzing the results of the survey allows us to make learning method.
First, the first ‘-jeok’ derivative of the basic vocabulary list is required. This list is based on the type a ‘what the’ or "’what’s on’" and type 2, ‘What’s with the properties of the rich’ is necessary to distinguish.
Second, The ‘-jeok’ the fact that is not the possibility of knowing with the fact that is the possibility of knowing meaning divide.
Third, the beginner or intermediate steps educate its own ‘-jeok’ derivative, derivative formation in advanced stages is to infer rules.
Fourth, the Korean learners when they using ‘-jeok’ excess infer the rules if a combination of derivatives and other expression ‘-jeok’ If using less derivative and ‘-jeok’ do not use derivatives at all.
Fifth, to expand vocabulary words are presented in class relations.
Sixth, the ‘possible’, ‘significant’, or the ‘N/jeok’ is difficult to explain when using collocation of ‘-jeok’ derivatives is to learn through examples.
Seventh, meaning that a similar ‘-jeok’ tells the exact meaning of derivatives.
8th, ‘-jeok’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 noun derivative and trailing interference due to language Chinese-speaking learners difficult to grasp the meaning corresponding to Type 2 of ‘N1/jeok N2’ is necessary to create a list.
’-jeok’ derivatives with an incidental learning context, learners can be selected in a particular context and the use of ‘-jeok’ derivatives which means that the teacher can teach. Korean teachers teaching Korean language education both in the field using the appropriate sentence in the meantime, due to the repeated practice and rote problem must be solved. Appropriate in the context of the student, teachers who use ‘-jeok’ derivatives individual ‘-jeok’ know the exact meaning the derivatives can give.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어에서 생산성이 높은 파생어인 접미사 ‘-적’ 결합 파생어(‘-적’ 파생어)의 효과적인 교육 방안을 마련하는 것이다.
한국어 학습자들이 ‘-적’ 파생어를 많이 ...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어에서 생산성이 높은 파생어인 접미사 ‘-적’ 결합 파생어(‘-적’ 파생어)의 효과적인 교육 방안을 마련하는 것이다.
한국어 학습자들이 ‘-적’ 파생어를 많이 듣고 사용하는 환경에 노출됨에 따라 ‘-적’의 정확한 의미를 잘못 이해하거나 ‘-적’을 붙여야 될 것과 붙이지 말아야 될 것을 모르는 경우가 발생하고 있다.
문형의 반복과 암기를 통한 청각구두식 교수의 영향이 지금까지의 한국어 교육에서 지배적이었다. 그래서 한국어 학습자들은 ‘-적’ 파생어를 아는 만큼 실제 언어생활에 사용하지 못하였고, 그들이 ‘-적’ 파생어를 사용한다고 하더라도 정확한 의미를 파악하지 못해서 어색한 표현을 만들어내기도 하였다. 대부분의 한국어 교재는 학습자들이 대화문이나 읽기자료를 학습하면서 ‘-적’ 파생어를 부수적으로 습득하도록 유도하는 경우가 많아서 ‘-적’ 파생어의 정확한 의미를 파악하는 기회를 제공하지 않았고, 한국어 교사도 교재의 구성에 따라 교육하면서 ‘-적’ 파생어의 정확한 의미나 유사한 표현 사이의 의미 차이를 교육하는 것을 등한시해왔다.
따라서 이 연구는 한국어 학습자들이 ‘-적’ 파생어의 의미를 정확하게 이해하고 풍부하게 사용하도록 하기위해서 한국어 학습자에게 교육해야 할 ‘-적’ 파생어의 목록을 만들고 교육 방안을 마련하였다.
논의의 순서는 다음과 같다. 2장에서는 ‘-적’ 파생어의 특징, 형성 규칙, 제약, 말뭉치 언어학의 개념, 한·중·일 언어의 비교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3장에서는 한국어 교육용 ‘-적’ 파생어의 목록을 작성하였다. 4장에서는 설문지 조사의 결과를 분석하였다. 5장에서는 ‘-적’ 파생어의 교육 방안을 마련하였다.
어휘목록과 설문조사의 분석 결과로 다음과 같은 교육 방안을 도출하였다.
첫째, 우선적으로 ‘-적’ 파생어의 기본 어휘 목록이 필요하다. 이 목록을 기반으로 하여 1유형인 ‘무엇의’ 또는 ‘무엇에 관한 것’과 2유형인 ‘무엇의 속성을 풍부하게 지닌 것’을 구분할 필요가 있다.
둘째, ‘-적’ 파생어를 ‘어기의 속성’으로 파악이 가능한 것과 ‘어기의 속성’으로 바로 파악이 어려운 것으로 구분할 필요가 있다.
셋째, 학습자의 수준에 따라서는 초급이나 중급단계에는 ‘-적’ 파생어 그 자체로 교육하다가 고급단계에서는 파생어 형성 규칙을 유추하도록 한다.
넷째, 학습자의 유형에 따라 학습자가 ‘-적’ 파생어의 결합규칙을 과잉 유추하여 사용할 경우, 다른 표현을 사용하거나 ‘-적’ 파생어를 적게 사용하는 경우, 그리고 ‘-적’ 파생어를 아예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 대응하여 교육한다.
다섯째, 어휘 확장을 위해 반의관계에 있는 단어를 제시한다.
여섯째, ‘가급적’, ‘획기적’의 경우나 ‘N/적’으로 설명하기 어려운 경우는 ‘-적’ 파생어와 유의미한 공기 관계를 이용하여 예문을 통해 학습하도록 한다.
일곱째, 의미가 유사한 ‘-적’ 파생어는 정확한 의미를 알려 준다.
여덟째, ‘-적’ 파생어와 후행명사의 관계에서는 중국어권 학습자는 모국어간섭현상으로 인해서 의미 파악이 어려우므로 2유형에 해당하는 ‘N1적 N2’의 목록을 만들 필요가 있다.
‘-적’ 파생어는 문맥을 통해 부수적으로 학습할 수도 있고, 문맥에서 특정한 ‘-적’ 파생어를 선택하여 의미와 사용에 대해 가르칠 수도 있다. 한국어 교사는 한국어 교육현장에서 이 두 가지 교수법을 적절하게 사용하면서 그동안의 문형의 반복 연습과 암기로 인한 문제점을 해결할 필요가 있다. 학습자들이 문맥에 알맞은 ‘-적’ 파생어를 사용할 수 있도록 개별 ‘-적’ 파생어의 정확한 의미를 알려주는 것이다.
,韩语论文网站,韩语论文网站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