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 능력 중심 교육과정 개발 및 교수요목 연구 : 외국인 노동자들을 중심으로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8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This thesis aimed at examining a standardized curriculum and syllabus design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foreign workers and applying the principle of competency-based language teaching to its curriculum and syllabus design. Competency-based educ...

This thesis aimed at examining a standardized curriculum and syllabus design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foreign workers and applying the principle of competency-based language teaching to its curriculum and syllabus design. Competency-based education is performance-based education, and feedback of its result, that proves not the process but the outcome of the education—that is, it proves the achievement of the actual performance by the proof of competency. Competency refers not only to the observable, concrete behavioral techniques, but also to all of those which are required for the successful performance of actual tasks, including language knowledge, background knowledge, attitude, and strategies, and such competency-based language teaching is often applied to vocational and survival programs. Competency-based language teaching implements a situational approach to the syllabus design of its curriculum, which consists of competency-based syllabus and text-based syllabus. Whereas the competency-based syllabus focuses on the development of essential behavioral and technical competency, the text-based syllabus offers the content categories in the syllabus design and the context and linguistic characteristics by which the program can determine the students’competency within the content categories in that it deals with the order of language events, which construct a situational context, the quality and type—genre—of the text, which is the structural aspect of the language. To apply such an approach to the Korean language curriculum design for foreign workers, this thesis conducted the situation analysis, needs analysis, and task analysis. The result of the thesis is as follows. First, the result of the situation analysis showed that feedback-based performance education was appropriate to foreign workers and that a blended learning that would complement the feedback-based performance education was possible. Also, the analysis showed that the offline-based model in which the online prior learning and the post-learning were provided as supplementary programs to the curriculum was an appropriate blended learning model. Second, based on the needs analysis. situations and subjects of the survival language appropriate to the competency-based language teaching were selected, and accordingly, the thesis examined the foreign workers’needs in relation to the inconvenience of living in Korea and their communicative needs based on the concepts of employment and support stay in the Employment Permit System. Third, with the task analysis, the thesis examined how the Korean language curriculum determined concrete linguistic events and tasks that consisted the situational context of survival language topics, as well as the text type, task competency and other elements in each linguistic event. Finally, the thesis integrated the results of the above analyses to propose a educational model, a syllabus, and standardized assessment tasks in the competency-based Korean language program. The proposed model consisted of the preliminary learning phase, the performance phase, and the post application and in-depth learning phase based on the offline, blended model, and the syllabus design proposed to construct a module by text typebased on the typical text types of the core topics in the survival language. Finally, the standardized assessment tasks presented the assessment elements, performance criteria, and assessment methods to which the competency-based language teaching could be concretely applied.

이 논문은 외국노동자들을 위한 한국어 교육의 표준화된 교육과정 및 교수요목 설계에 연구로서 능력 중심 교육의 원리를 교육과정 및 교수요목 설계에 적용하였다. 능력 중심 교육은 ...

이 논문은 외국노동자들을 위한 한국어 교육의 표준화된 교육과정 및 교수요목 설계에 연구로서 능력 중심 교육의 원리를 교육과정 및 교수요목 설계에 적용하였다. 능력 중심 교육은 학습 과정보다는 학습의 결과, 즉 능력의 증명을 통해 실세계 과제 수행의 성취를 증명하는 수행 중심 교육과 이에 대한 피드백 교육이다. 능력은 관찰 가능한 구체적인 행동 기술뿐만 아니라 언어 지식, 배경지식, 태도, 전략 등 실세계 과제의 성공적 수행을 위한 모든 것을 지칭하며, 이러한 능력 중심 교육은 직업 목적과 생존을 위한 프로그램에서 주로 적용되고 있다. 능력 중심 교육에서는 교육과정의 교수요목 설계에 상황적 접근법이 적용되고 있는데 이러한 교수요목 설계의 상황적 접근법은 능력 중심 교수요목과 텍스트 중심 교수요목으로 구성된다. 능력 중심 교수요목이 본질적인 행동 기술적인 능력의 개발에 초점을 둔 반면 텍스트 중심 교수요목은 상황적 맥락을 구성하는 언어사건의 순서와 언어의 구조적 측면인 텍스트 자질 및 유형, 즉 일종의 장르를 다룬다는 면에서 교수요목의 설계의 내용 범주 및 범주 안에 능력을 결정할 수 있는 맥락과 언어적인 특징을 제공한다. 이러한 접근법을 활용하여 외국인 노동자들을 위한 한국어 교육과정 설계에 적용하고자 상황 분석, 학습자 요구분석, 과제분석을 실시하였다. 첫째, 상황분석을 통해 외국인 노동자들에게 피드백 중심의 수행 교육이 적절하다는 것과 이를 보조하기 혼합형 학습이 가능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적절한 혼합형 학습 모형으로는 온라인을 통한 자기 주도의 사전학습과 사후학습이 교실 교과의 보조로서 진행되는 오프라인 중심 모형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학습자 요구분석을 통해 능력 중심 교육에 적합한 생존언어의 상황 및 주제들을 선정하였는데 이를 위해 고용허가제의 고용 및 체류지원의 개념을 중심으로 한국생활의 불편함의 요구, 학습자의 의사소통적 요구를 살펴보았다. 셋째, 과제분석을 통해 생존언어 주제의 상황적 맥락을 구성하는 구체적인 언어사건 파악 및 과제 선정, 각 언어사건의 텍스트 유형과 과제의 능력의 요소들을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이를 종합하여 한국어 능력 중심 교육과정의 교육 모형 및 교수요목, 표준 평가과제표를 제시하였다. 제시된 교육 모형은 오프라인 중심의 혼합형 모형을 바탕으로 사전학습 단계, 수행 교육, 사후 응용․심화 학습 단계로 구성하였고, 교수요목 설계는 생존언어 핵심 과제의 전형적인 텍스트 유형을 기준으로 텍스트 유형별 모듈 구성을 제안하였으며, 표준 평가과제표에서는 능력중심 교육을 구체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평가요소, 수행기준 및 평가 방법들을 예시하였다.

韩语毕业论文韩语论文范文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