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들어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에서도 한국어 교육에서 다루어져야 하는 문화 교육의 내용과 방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그에 관한 연구도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
최근 들어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에서도 한국어 교육에서 다루어져야 하는 문화 교육의 내용과 방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그에 관한 연구도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연구가 문화 교육의 목표와 내용, 방법 등에 대한 선언적인 수준에 머물고 있을 뿐 방법 면에서 구체화되지 않은 것이 현실이다. 다시 말해 최근의 문화 교육에서 구체적 교육 사례나 문화 교육을 통해 실제 맥락에서 의사소통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구체적인 과제를 제시하는 한국 문화 교육 방안에 대한 연구는 그 실천력이 미약한 상황이다.
또한 현재 한국어 교육 현장에서 한국 문화의 이해에 대한 체계적인 교육이 이루어지면 좋겠으나 여러 교육적 여건으로 인하여 문화에 대한 자세한 교육은 지도하기가 힘든 실정이다. 또한, 문화 교육의 중요성과 필요성을 대부분의 교사들이 인식하고 있으면서도 교육 현장에서는 여러 가지 요인들로 인해 문화 교육이 대체로 피상적이거나 그나마도 산발적으로 행해지고 있으며, 문화교육의 형태가 주로 문화 내용을 정보와 지식 위주로 주입하는 데 그치고 있다.
이 연구는 문화 이해를 도와줄 수 있는 문화 소재와 언어의 4기능을 함께 통합하여 교수·학습할 수 있도록 하는 문화소재를 활용한 멀티미디어 교수·학습 자료를 개발하여 한국 문화 교수에 활용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현 교육 현장에서의 문화 교육의 한계를 보완하기 위한 교수·학습 방안으로서, 멀티미디어 저작도구를 이용하여 학습자의 수준과 흥미를 고려한 다양한 문화 소재를 활용한 멀티미디어 기반 교수·학습 자료개발을 시도하고자 하는 것이다. 동시에 학습자에게 실제적인 자료를 제공하면서, 학습자의 흥미를 유발함과 동시에 적극적이고 자발적인 참여를 이끌어 낼 수 있는 문화 교수·학습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는 요즘 가장 관심을 갖고 쉽게 접하는 멀티미디어라는 도구를 활용하여 언어적인 요소와 문화소재를 결합하여 한국어 교육에서의 문화 교육을 활성화하는 한 방안이 될 것이다.
이 글은 이상과 같은 목적을 이루기 위해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있다. Ⅱ장에서는 한국 문화 교육의 이론적 배경이 되는 문화 교육의 목표와 의사소통 능력을 키우기 위한 문화 교육의 방향을 검토하고, 한국 문화 교육에서 다루어져야할 문화 요소에 대해 정리한다. 그리고 수업 현장에 도입되고 있는 문화 교육 내용을 기준으로 효율적인 문화 교육으로 재구성 할 수 있는 문화 학습 자료 및 활동 등에 대해 살펴서 Ⅳ장과 Ⅴ장에서 제시할 실제 교수·학습 자료 제작의 구성 원리로 삼는다. Ⅲ장에서는 한국어교육에서 멀티미디어의 활용 효과와 멀티미디어 자료 수집 경로와 선정 시 고려해야 할 사항들을 검토하고, 선정 수집된 자료를 멀티미디어 기반 교수·학습 과정에 도입하기 위해서 실질적으로 자료 제작에 응용되는 멀티미디어 저작도구 적용 방안을 살핀다. Ⅳ장과 Ⅴ장에서는 Ⅱ장과 Ⅲ장에서 검토한 제안들을 바탕으로 실제 교수·학습 과정을 설계해 보고 멀티미디어 저작도구를 활용한 한국어 교수·학습 자료의 실제를 화면과 함께 모형을 제시한다.
이는 현장에서의 활용성을 최우선적인 고려사항으로 하여 멀티미디어 활용 한국 문화 교수·학습 자료 개발을 시도하려는 것으로서, 실천적 성향을 가진 연구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It is well known that language and culture are inseparable and that when teaching a foreign language, teachers should teach the culture of the country in order to help learners acquire communicative competence in the target language. The recent mainst...
It is well known that language and culture are inseparable and that when teaching a foreign language, teachers should teach the culture of the country in order to help learners acquire communicative competence in the target language. The recent mainstream of language education emphasizes culture education along with language knowledge. This study is motivated to design and develop multimedia materials, to assist the teaching and learning of Korean culture for Korean class.
While the need for teaching culture in Korean class has been well recognized, actual implementation of it has not been successful in Korean class. Korean class has maintained its existing traditional class method and the materials provided to its learners have been limited in reality.
What is needed to solve this limitation of Korean class is the development of teaching materials that can provide learners with useful information on Korean culture in Korean class. Such materials also need to be closely related to the textbooks used in class in terms of content to be helpful and meaningful for learners.
Since culture can be understood most effectively when presented with visual aids rather than through verbal explanation alone, teaching materials for teaching culture should make use of multimedia materials along with needed cultural information. In most foreign language education such as English education, multimedia application turned out to be effective in terms of motivation and fun factors. This indicates that the use of multimedia need to be further encouraged. With the fast-developing Internet and computer-related technology available nowadays, there is no doubt that the most desirable form of teaching materials is multimedia including web.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urrent use of multimedia materials assisting language learning and to propose an effective teaching-learning approach to the use of multimedia authoring tools for Korean culture education. The use of multimedia materials in language learning has become common and with the help of multimedia authoring tools teachers can develop teaching materials customized for learners' needs and can easily apply them into classroom activities.
This study suggests a teaching-learning approach with plenty of authentic cultural materials by using an authoring tool in classroom. The authoring tool is easy to execute and is useful in design and embodiment of teaching aids by interlocking various types of media in teaching Korean language. Accordingly, it is recommended that the use of the multimedia authoring tool be used with the teaching models as presented in this thesis, and teachers should study and find their own way to use effective multimedia assisted language teaching with the authoring tool and apply this approach to teaching Korean culture.
This study attempted to suggest that it would be possible to attract learners' interest and active and spontaneous participation as well as to provide them with realistic materials by applying multimedia. However, it has not been reflected and verified in actual class yet. There should be further development of concrete and various class models with the customized materials by multimedia authoring tools.
However, this study has a point that the procedures, suggested in this study, can be used for teachers to develop their own instructional materials. This study also suggests multimedia authoring tools better be applied when developing teacher-developed materials for more effective Korean culture class. Therefore the study can serve as a practical way to teach Korean culture in Korean class. Furthermore, however good program it is, it requires teachers' proper use at the right time with effort and good instructional skills.
Cultural materials should be developed in a more systematic way to enhance the understanding of culture and language competence. Culture teaching and learning should be focused on empowering learners' cultural understanding to be used appropriately in cross-cultural communication.
,韩语毕业论文,韩语论文题目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