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농인이 일상생활을 수화라는 언어를 통해 경험한 삶과 경험과정을 알아보고 그 속에서 수화사용경험에 어떤 의미를 부여하고 있는 지를 총체적으로 탐색하였다.
수화...
본 연구의 목적은 농인이 일상생활을 수화라는 언어를 통해 경험한 삶과 경험과정을 알아보고 그 속에서 수화사용경험에 어떤 의미를 부여하고 있는 지를 총체적으로 탐색하였다.
수화라는 언어의 의사소통방법은 농인사회와 청인사회라는 이중문화속에서 상호인정을 동시에 구출할 수 있는 수단이다. 농인의 개인사, 서사적 설명, 은유, 민속적 지식 등을 통해 의미가 담긴 이야기를 구체화하고, 사회문화적 경험을 내러티브(narratives) 방법으로 가족, 수화통역센터, 학교, 직장 등 지역사회 안에서 상호작용하는 농인의 수화 경험을 살펴보았다. 농인이 청인과 함께 더불어 살아가는 사회체계들 가운데에서 문화적 갈등, 타협적인 과정을 어떻게 교류하며 상호 변화하는 가에 대한 경험을 이해하기 위해 ‘농인의 수화이용 경험은 어떠한가?’, ‘농인의 수화이용경험의 의미는 무엇인가?’하는 연구문제를 고찰하여 봄으로써 문제 해결을 위한 구체적인 대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자는 연구의 목적을 충족시켜줄 연구논리로 사회체계이론을 제시하고 적합한 연구방법으로 내러티브 탐구방법을 채택하였다. 내러티브 연구방법은 참여자의 개인적인 경험을 이해하고 표현하는 데 가장 좋은 방법으로 무엇이 사실인지 발견하고자 하는 탐색적인 방법이다.
본 연구의 목적을 충족시켜 줄 참여자 선정은 연구의 충분성과 적합성의 조건을 갖춘 4명의 농인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 수집 기간은 2008년 9월부터 2009년 11월까지 진행하였으며 문헌고찰, 심층 면담, 관찰, 현장노트, 연구일지, 연구자와 주고받은 메일, 참여자의 저술, 인터넷자료, 관련 영화나 수화 단어 그림, 시, 영상물 등을 포함하였다.
면담은 연구자가 직접 수화로 인터뷰하였으며 참여자에게 미리 동의서를 얻었다. 면담 과정을 캠코더로 촬영한 다음 필름을 다시 CD로 제작하여 수화를 한국어로 번역한 후 바로 녹취작업을 하였다. 분석과정은 연구 참여자 각 이야기를 연구문제에 초점을 두고 의미를 찾기 위해 분석과 해석이 반복되는 과정을 거쳤다. 농인의 수화사용경험에 관한 이야기는 수화사용 전 경험, 수화사용 후 경험, 수화통역서비스 경험으로 구분하여 수화의 의미와 수화사용 경험의 의미를 살펴보았다.
수화사용 전 <가>씨는 <말(구화)을 강요받음>, <놀림받음>, <청인만남의 거부감과 두려움>을 경험했고, 수화사용 후 <가>씨의 경험은 <시원한 대화를 표현하게 됨>, <엄마를 변화시킴>, <생활이 재미있어짐>으로 나타났다. <가>씨에게 수화통역서비스는 <서로를 더 잘 이해할 수 있게 된 구심점>, <청인사회 속에서 자신감이 생김>, <통역사의 능력에 따라 세상이 바뀜>으로 경험되었다. 그래서 <가>씨는 수화의 의미를 <사회와의 연결고리>라고 정의하였다.
수화사용 전 <나>씨의 경험은 <가족에게서 외로움을 느낌>, <구화 강요받음>, <자신의 무기력함을 느낌>이었고, 수화사용 후 <나>씨의 경험은 <시원하고 후련한 대화를 함>, <수화로 청인 자녀 키우기>, <청각장애통역사가 됨>이었다. <나>씨에게 수화통역 서비스 경험은 <자녀통역 과중함>, <능력에 따른 수화통역서비스>, <농인에게 맞춰주는 수화통역서비스>로 경험되어졌다. 그래서 <나>씨는 수화의 의미를 <유일한 의사소통 통로>라고 정의하였다.
<다>는 농 가족으로 구성된 선천성 농 아동으로 출생하여 수화사용전의 경험이 없었다. 수화사용 후 <다>씨는 수화가 학습이 아닌 <습득되어진 언어임>, <수화 안에서의 가족의 화목함>을 경험하였으며, <다>씨에게 수화는 <농인의 자존심으로 다가옴>이었다. <다>씨에게 수화통역서비스는 통역사의 수화실력이 부족한 관계로 <의미전달 어려움>, <한계로 와 닿음>이었다. 하지만 수화통역서비스는 <생활을 여는 키(key)와 같음>이기도 하였다. <다>씨는 수화의 의미를 <농인의 언어적 권리>라고 정의하였다.
수화사용 전 <라>씨는 가족과 수화로 대화하지 못하고<Home Sign 대화>하였고, 다른 사람의 귀와 같은 모양이었으나 <들리지 않는 귀 발견>하였다. 소리를 들을 수 없어 주변상황을 늘 늦게 파악할 수 밖에 없었던 <라>씨는 <아무 생각 없이 따라다님>으로 경험하였다. 수화사용 후 <라>씨는 대화의 내용과 수업의 내용을 읽게 되어 <할 수 있다는 의미로 다가옴>이었고, 부인하고 싶었던 장애를 긍정적으로 <장애인임을 받아들임>으로, 꿈을 이룰 뿐만 아니라 사람<사는 맛을 느낌>을 경험하게 되었다. <라>씨는 수화통역서비스를 통해 <강의가 이해 됨>, <변화되어진 느낌>을 경험하였다. 또한 <라>씨는 <진실하고 겸손한 수화통역사>를 원하였다. <라>씨에게 수화의 의미는 <꼴등에서 일등으로 정체감을 찾음>으로 정의하였다.
참여자의 수화사용 경험의 이야기는 마치 참나무와 소나무가 서로 달리 자라다가 어느 날 가지가 맞닿아 한 나무로 변화한 ‘연리지’같은 은유적 의미로 도출할 수 있었다. 참여자들은 청인과의 문화적 차이로 경험하는 심리적으로, 사회적으로 당면하는 갈등과 도전에 대해 능동적으로 타협하며 수화를 통해 새롭게 변화를 만들어갔다. 농인과 청인이 수화로 상호 교류함으로 이중문화정체성을 만들어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