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정 7차 교육과정의 고등영어 교과서 및 학습활동책 문화영역 분석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8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Abstract Analysis on Culture Columns of High School English Textbooks and its Activity Books of the Modified Version of the 7th National Curriculum In actuality, English acts as a global common language in the era of globalization. In order to enha...

Abstract Analysis on Culture Columns of High School English Textbooks and its Activity Books of the Modified Version of the 7th National Curriculum In actuality, English acts as a global common language in the era of globalization. In order to enhance authentic communication competence of English, it is imperative to teach culture education. With this trend of era the importance of culture education is being emphasized in the modified 7th national curriculum of English. This thesis was solely dedicated to investigating and analyzing textbooks and activity books of the first grade of high school English focusing upon culture education in a specific manner. In addition, a survey on the necessity of culture education and the extent to which how much culture education has been provided was conducted among teachers and students. An investigation on the entire textbooks and activity books of the modified textbooks proves that 12 textbooks and another 12 activity books out of a total of 34 (including activity books) have fixed culture columns. In view of the results on the themes of those fixed culture columns using Estaire and Zanon's (1994) 'Theme Generator Model', the fourth level, society and the world, comprised the most. As the survey results revealed, the theme relevance to the themes of culture columns turned out to be fairly high, whereas the positions of those were at the end of the lessons, and the cultural contents were merely introduced in Korean, which makes them appear an appendix to the textbook. Six representative textbooks which are in most use were chosen to take a more specified survey. First, an analysis on the activities suggested in the textbooks proves that most of the activities belong to behavioral culture according to Bierstedt's (1970) criteria including physical, behavioral, and mental culture. Second, an analysis on the language skills of the culture education proves that they emerge in order of reading, listening, speaking, writing, and integrative skill. Finally, a distribution of background nations of culture education was analyzed. As a result, the culture contents were suggested in order of universal, other, British-American, Korean, comparison of Korean and British-American culture. In the meantime, survey results on teachers and students were as follows. First of all, although teachers they were all aware of the importance of culture education, they admitted that they spent little or no time to apply culture to their class. At the same time, they pointed out that there was not much improvement found in the field of culture education of the modified textbooks and the textbooks failed to elicit students' interest and motivation. Students found that they didn't find great improvement in the modified textbooks compared to their middle school textbooks pointing out that though they were aware of the importance of culture education, the high school textbooks failed to draw upon their interest or motivation in English. Students added that the majority of the modified textbooks were deficient in terms of the contents of culture education and they wanted things they were interested in such as sports to be reflected upon the culture columns. Based upon research findings above, the following suggestions for culture education using textbooks can be made. First, the culture contents should be useful for class activities and more authentic culture columns should be suggested without indicating the feature of appendix. Second, not only reading and listening but also other language skills should be included in the culture contents dealt with in textbooks. Third, most of the culture contents in the modified textbooks handled level 4, society and the world, in the 'Theme Generator Model' and most of them fell into universal culture. The analysis result above signifies that a variety of themes of background nations and diverse levels should be dealt with. Fourth, it is significant to develop an effective culture education teaching-learning model using computers by marking URLs of some web-sites or home-pages relevant to the lessons of the textbooks on the textbook so that students can utilize Internet as a supplementary tool. Fifth, it is necessary to consider ways to handle culture education in regular class through performance assessment. Sixth, it is important to suggest culture contents like the textbooks of the target culture by expanding the amount of fixed culture columns and using more diverse vocabulary.

세계화 시대에 지구 공용어로 활용되고 있는 영어의 진정한 의사소통 능력 향상을 위해서는 문화적인 내용의 교육이 필수적이다. 이러한 시대적 흐름 속에 2007년 도입된 개정 7차 교육과정...

세계화 시대에 지구 공용어로 활용되고 있는 영어의 진정한 의사소통 능력 향상을 위해서는 문화적인 내용의 교육이 필수적이다. 이러한 시대적 흐름 속에 2007년 도입된 개정 7차 교육과정에서는 문화 교육의 중요성이 더욱 강조되고 있는 가운데 처음으로 적용된 고등학교 1학년 영어 개정 교과서와 학습활동책의 문화교육은 어떠한 양상으로 나타나고 있는지 구체적으로 분석해 보았다. 또한, 개정교과서를 활용하고 있는 교사와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문화교육의 필요성 및 현재 활용 정도에 대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교과서 전반적 분석 결과 개정 7차 교육과정의 교과서와 학습활동책은 총 17종 중 12종이 고정 문화란을 제시하고 있었다. 또한, 고정 문화란의 주제를 Estaire와 Zanon(1994)의 theme generator model을 활용하여 분석해 본 결과 제 4수준인 사회와 세계에 관한 내용이 대다수를 이루었다. 문화란의 주제는 해당 단원과의 주제 연관성이 과거 교육 과정에 비해 매우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으나 그 위치가 대부분 단원의 가장 뒤에 있고 한국어로 단순 설명하는 방식으로 되어 있어 단원의 부록 같이 보이는 것으로 설문 조사 결과 나타났다. 가장 많이 활용되는 6종의 대표적 교과서를 선별하여 문화 교육 내용을 좀 더 구체적으로 분석해 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Bierstedt(1970)의 기준에 따라 문화를 물질, 행동, 정신문화로 나눠 분석해 본 결과 대부분 교과서에서 제시되는 활동들은 행동문화에 해당되었다. 두 번째, 문화 교육 내용이 언어 기능에 따라 어떻게 분포하는지 분석해 본 결과 읽기, 듣기, 말하기, 쓰기, 통합적 기능의 순서로 문화 내용이 교육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문화교육 내용이 배경 국가에 따라 어떤 분포로 나타나는지 분석해 보았다. 그 결과 보편문화, 기타문화, 영미문화, 한국문화, 한국문화와 영미문화를 비교하는 내용의 순서로 교과서 내용이 제시되고 있었다. 다음으로 교사와 학생들의 설문 조사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교사들은 문화 교육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있으나 현장 적용에 있어 문화수업을 특별히 하지 않고, 개정교과서의 문화교육 영역의 발전되지 않았으며, 교과서가 학생들의 흥미를 유발하는데 큰 도움이 안 되는 등의 문제점을 제기하였다. 학생들의 경우 문화 교육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있지만 문화 교육이 영어학습의 흥미도나 동기 부여에 도움은 특별히 되지 않고 중학교 교과서에 비해 개정 교과서가 크게 발전된 점이 없다고 느꼈다. 학생들은 전반적으로 교과서의 문화 교육 내용이 부실하고 스포츠와 같이 자신들의 관심 분야가 좀 더 구체적으로 반영되어 문화란에 제시되었으면 좋겠다는 의견을 보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기초로 교과서를 활용한 문화교육에 있어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해 볼 수 있다. 첫째, 수업 활용에 유용하고 실질적인 문화란이 부록과 같은 특성을 제거하고 제시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교과서에서 다루고 있는 문화 내용이 듣기와 읽기에 치중해 있지 않고 다른 기능도 포함하여야 할 것이다. 셋째, 영어 교과서에서 문화 내용이 대부분 사회/세계 이상 수준의 주제를 다루고 있으며 보편문화에 너무 치중해 있다는 점을 보완해야 한다. 넷째, 보조 자료로서 인터넷을 활용할 수 있도록 교과서에 관련 웹사이트나 홈페이지 주소를 기재해 주는 등 컴퓨터를 활용한 효율적 문화교육 교수-학습 모형의 개발이 필요할 것이다. 다섯째, 문화 교육 내용이 정규 과정에서 수행 평가의 방법을 통하여 다뤄질 수 있도록 고려해 보아야 한다. 여섯째, 고정 문화란의 분량이 지금보다 늘어나고 보다 다양한 어휘를 활용하여 문화 영역을 목표 문화권의 교과서처럼 제시할 수 있어야 한다.

韩语论文网站韩语论文网站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