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의 목적은 여성결혼이민자의 효과적인 의성어·의태어의 교육 방안을 모색하는 데 있다.
여성결혼이민자를 대상으로 하는 한국어 교육에 관한 선행연구를 검토해 본 결과, 여성결혼...
이 연구의 목적은 여성결혼이민자의 효과적인 의성어·의태어의 교육 방안을 모색하는 데 있다.
여성결혼이민자를 대상으로 하는 한국어 교육에 관한 선행연구를 검토해 본 결과, 여성결혼이민자를 대상으로 하는 의성어·의태어 교육 방안에 관한 연구가 없었음을 알 수 있었다.
의성어·의태어는 감각적인 언어로, 단순하고 일정한 음소나 음절이 반복되기 때문에 여성결혼이민자가 지루하지 않고 흥미롭게 학습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의성어·의태어는 아이를 양육할 때 필요한데, 아이가 말을 못할 때, 한국인 어머니의 경우에는 ‘까꿍, 도리도리, 짝짜꿍’ 등 많은 의성어·의태어로 아이와 대화를 시작하는데 반해, 여성결혼이민자의 경우에는 의성어·의태어를 모르기 때문에 아이와의 첫 대화조차 시도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여성결혼이민자를 대상으로 하는 의성어·의태어 교육 방안 연구의 필요성이 크다고 하겠다.
여성결혼이민자를 대상으로 하는 의성어·의태어 교육 방안을 제시하기에 앞서, 여성결혼이민자 대상 의성어·의태어 교육목록을 작성하였다. 먼저 기존에 연구된 일반목적 학습자의 의성어·의태어 교육 목록에서 반복적으로 나타나는 의성어·의태어에 여성결혼이민자를 대상으로 하는 교육이므로 유아도서와 동요 및 초등학교 교과서(1,2학년)에 나타나는 의성어·의태어, 육아에 필요한 의성어·의태어를 목록에 추가하였다.
그런 다음, 소리를 나타내는 의성어는 실제의 소리를 들려주고 모양과 상태를 나타내는 의태어는 시각적인 자료를 사용하여 의성어·의태어 교육을 실시하였다.
그런 다음, 앞서 제시한 수업 구성 방안으로 실제로 여성결혼이민자에게 의성어·의태어 수업을 하고 난 후 수업 평가를 실시하였다.
이 연구의 의의는 여성결혼이민자를 대상 의성어·의태어 교육목록을 작성하였다는 점과 여성결혼이민자의 경우 일반목적 학습자와 달리 학업에만 전념할 수 있는 상황이 아니라는 점을 고려하여 생활하면서 흥미롭게 배울 수 있도록 했다는 점이다.
앞으로 여성결혼이민자를 대상으로 하는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서 여성결혼이민자의 필요와 요구에 더 부합하는 교육이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find effective methods of teaching onomatopoeic and mimetic words to married immigrant women.
Reviewing previous research on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married immigrant women, we found that there had been no stu...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find effective methods of teaching onomatopoeic and mimetic words to married immigrant women.
Reviewing previous research on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married immigrant women, we found that there had been no study on how to teach onomatopoeic and mimetic words to married immigrant women.
Because onomatopoeic and mimetic words are sensory words repeating certain simple phonemes or syllables, married immigrant women may be able to learn them with interest. In addition, the women need to use onomatopoeic and mimetic words in their childrearing. When their babies are too young to speak, Korean mothers begin to converse with the babies using various onomatopoeic and mimetic words like ‘ggaggung,’ ‘doridori,’ and ‘jjakjjaggung,’ but many of married immigrant women cannot even try the first conversation because they do not know onomatopoeic and mimetic words. For this reason, it is highly required to make research on the education of onomatopoeic and mimetic words for married immigrant women. Before suggesting the methods of teaching onomatopoeic and mimetic words to married immigrant women, we made a list of onomatopoeic and mimetic words to be taught to married immigrant women. We first selected onomatopoeic and mimetic words appearing repeatedly in the list of onomatopoeic and mimetic words for ordinary learners, and added onomatopoeic and mimetic words found in children’s books, nursery rhymes, and elementary school textbooks (1st and 2nd grades) and those necessary in childrearing. Then, we taught the onomatopoeic and mimetic words by letting the learners hear the real sounds of onomatopoeic words, which represent sounds, and showing visual materials for mimetic words, which represent forms and states. Based on the teaching plan presented above, we gave married immigrant women a class of onomatopoeic and mimetic words, and performed class evaluation after the clas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made a list of onomatopoeic and mimetic words for married immigrant women and that it proposed methods for married immigrant women to learn onomatopoeic and mimetic words with interest in their daily life considering that, different from ordinary learners, they cannot commit themselves to learning.
We expect further research on education for married immigrant women, and more education that meets married immigrant women’s needs and demands.
,免费韩语论文,韩语论文题目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