本論文的目的是比较略论汉语與韩语主题的语用的特征。汉语與韩语都是主题優先语言。还是中韩主题是交谈雙方(说话...
本論文的目的是比较略论汉语與韩语主题的语用的特征。汉语與韩语都是主题優先语言。还是中韩主题是交谈雙方(说话者和受话者)的话题,也是所陈述的人物或事物。为此可以知道主题是交谈,语用上的概念。所以主题有交谈,语用上的特征。本文在以往研究的基礎上,首先对主题的概念进行提示根据,並比較了兩者在語用上的特征,從而明確了兩者的異同點。
本論文比较略论汉语與韩语主题的语用的特征,得出了如下的異同點。
第一,韩语论文范文,中韩主题都是放在句首。为了强调或者显出说话者现在关心的话题,说话者把那个话题放到句首。可是汉语主题的句首性比韩语更强。韩语属于粘着語,语序比较自由,所以在交谈上韩语主题不但可以放在句首,也可以放在句中、句尾。汉语属于孤立语,语序是一个重要的语法手段。因此,汉语主题不能放在句中、句尾。
第二,汉语與韩语主题都可以前面加上“至于”和“~대하여 말한다면”。
这个从主题跟述题之间的关系可以看得出来,因为述题是对主题说明的成分。
第三,汉语與韩语主题都是有定(definite)的。“有定性”就是“假定的亲近性(assumed familiarity)”。换言之,说话者使用某個NP时,如何预料受话者能够知道NP所指对象的实体(entity),我们稱该NP为有定成分。相反,不能预料的话,韩语毕业论文,我们稱之为無定成分。这些部分两者差不多。可是两者之间有不同點。汉语句首的NP不都是主题。就是“周遍性主語”。在韩语裏这样的周遍性主語前面加上有定标记“-는”的话,可以做主题的功能。
第四,中韩主题都常是舊信息(old information)。一般说来,为了交谈的方便,说话者爱用“舊信息(已知信息)/新信息(未知信息)”的信息结構。可是,有时候新信息(new information)也会放到句首做主题的功能。
第五,汉语與韩语主题在一定的条件下可以當焦点。汉语主题有对比功能的话,可以做焦点。可是韩语主题有对比功能、强调功能,都可以做焦点。
這些略论不僅將有助於韓國學生和一般語言學者正確理解漢語語法的特徵, 而且在更深入的了解對方對方語言上也能有所受益。
주제는 중국과 한국의 언어학에서 많은 관심을 끌고 있는 문제로,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주제가 담화 화용 층위의 개념이라는 전제하에 그것의 근거를 제시하여 밝히는 것을 첫 번째 목적으...
주제는 중국과 한국의 언어학에서 많은 관심을 끌고 있는 문제로,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주제가 담화 화용 층위의 개념이라는 전제하에 그것의 근거를 제시하여 밝히는 것을 첫 번째 목적으로 하였고, 주제의 특징으로 여겨지는 문두성, 대하여성, 한정성, 정보성, 초점이 중국어와 한국어의 문장 안에서 적용되고 실현되는 것을 살피는 것을 두 번째 목적으로 하였으며, 중국어와 한국어 주제의 화용론적 특징을 비교하여 그 유사점과 차이점을 고찰하는 것을 세 번째 목적으로 하여 연구하였다. 또한 유사점과 차이점을 고찰한 것이 중국어 학습에 도움이 될 수 있는가를 연구하는 것이 네 번째 목적이었다. 이와 같은 목적에 대해 고찰하여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중국어와 한국어의 주제는 담화 화용 층위의 개념으로, 담화 쌍방이 이야깃거리로 삼고 있는 사람이나 사물로서 평언이 전달하고자 하는 정보가 적용되는 범위의 기능을 한다. 이러한 주제는 발화의 시작점으로서 문두에 위치하고, 화자가 평언을 통해 청자에게 진술하고자 하는 대상으로 정의되는 주제의 성격으로 인해 ‘~에 대하여 말한다면’으로 해석될 수 있는 대하여성을 가진다. 또한 주제는 지시대상이 무엇인지를 확인할 수 있는 한정성을 가지고, 화자와 청자가 이미 알고 있는 구정보로 이루어지기 쉬우며, 일정한 조건 하에 초점이 주제가 되기도 한다.
중국어와 한국어 주제의 화용론적 특징을 비교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문두성을 비교한 결과 중국어 주제의 문두성이 더 강함을 알 수 있었는데, 그 이유는 한국어의 주제는 담화 상에서 문두뿐만 아니라 문중, 문미에도 위치할 수 있는데 반해 중국어의 주제는 중국어가 어순이 한국어보다 중요한 언어이기 때문에 문중, 문미 주제가 나타나지 않기 때문이다. 또한 주제표지의 유무도 차이점으로 들 수 있다.
둘째, 평언의 측면에서 주제를 나타내는 의미적 특징을 지닌 대하여성은 동일한 특징을 지닌다. 대하여성 표지로 중국어에는 ‘至于’가 있고 한국어에는 ‘…에 대하여 말한다면’이 있는데 의미상 거의 동일하다. 또한 두 언어에서 모두 주제연쇄를 구성할 수 있다.
셋째, 효율적인 정보 전달을 위해 한정명사를 주제로 선정하는 경우가 많고 한정성을 친숙성, 가정된 친숙성으로 정의하는 부분에서는 중국어와 한국어 주제는 그 특징이 동일하다. 그러나 중국어에서 주제의 기능을 하지 못하는 주편성주어(周遍性主語)가 한국어에서는 한정조사 ‘-는’을 통해 주제의 기능을 할 수 있는데, 이것을 통해 한국어 주제의 한정성이 더 강함을 알 수 있다.
넷째, 효율적인 의사소통을 위해 화자가 전략적으로 구정보를 주제로 자주 선택한다는 주제의 정보성은 두 언어에서 동일하였고, 신정보가 주제로 나타날 수 있어 필수적인 특징이 될 수 없다는 것도 동일하였다.
다섯째, 초점을 비교하였을 때, 한국어 주제의 초점 특징이 더 강함을 알 수 있었다. 중국어 주제는 일부 대비초점과 화제초점에서 대부분 대비의 기능이 있을 경우 초점이 될 수 있는데 비해 한국어 주제는 제시한 초점과 초점사를 부가하였을 때 대비의 기능뿐만 아니라 강조의 기능이 있을 경우에도 초점이 될 수 있고, 또한 그 표현형식이나 의미를 나타내는 방식과 이동이 훨씬 자유롭다.
이러한 유사점과 차이점을 통해 한국어 학습자는 중국어의 문법체계를 이해하여 중국어를 학습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