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용어는 성어, 속담, 헐후어 등과 함께 숙어의 일종으로써 생활에서 많이 쓰인다. 관용어의 존재 때문에 언어는 굉장히 생생하게 표현할 수 있으나 언어를 공부하는 학습자에게 남점이 되...
관용어는 성어, 속담, 헐후어 등과 함께 숙어의 일종으로써 생활에서 많이 쓰인다. 관용어의 존재 때문에 언어는 굉장히 생생하게 표현할 수 있으나 언어를 공부하는 학습자에게 남점이 되기도 한다. 본 연구에서는 한·중 신체어휘 관련 관용어를 대상으로 대비연구를 통하여 의미적인 공통점과 차이점을 찾아내고 그들을 초래한 문화적인 원인을 발견하기를 중심으로 검토하였다.
지금까지 다룬 내용을 요약하여 결론을 내려 보겠다.
제2장에서는 관용어의 정의, 유래, 그리고 특징에 대하여 자세하게 알아보고 하였다. 관용어는 숙어의 일종으로서 언어의 중요한 유기적 구성성분이고 단어와 단어의 결합으로 이루어진 정형한 형식이며, 전체가 독특한 뜻을 나타내고 구어에서 널리 사용되는 언어형식이다. 관용어의 유래를 보면 언어적, 역사적, 사회적, 심리적 등의 측면에서 검토해 왔는데 관용어의 생성 요인을 알아보게 되었다. 관용어의 특징을 살펴보면 다른 언어형식과 대비 분석을 통하여 집약한 결과는 한·중 관용어의 특징은 여섯 가지 측면에서 공통점과 차이점을 찾아냈다. 문체상의 특징을 보면 한·중 관용어는 다 구어체이고 형식상의 특징을 보면 한국어 관용어는 일정한 형식과 글자수(數)가 없는 것과 달리 중국어 관용어는 삼자(三字)이상의 관용어가 있지만 대부분 삼자 관용어인 것을 알게 되었다. 그리고 관용어의 내용의 측면을 보면 한국어 관용어의 내용은 매우 풍부하지만 중국어 관용어는 일반적으로 일이나 과정을 비유하는 것으로 한·중 관용어의 특징의 차이점은 보일 수 있다. 또 한편, 구성요소로써의 특징을 살펴보니까 한·중 관용어는 다 문장구성요소로 쓸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그 다음에 활용상의 특징의 차이점은 한국어 관용어는 삽입, 도치 등 불가능 하지만 중국어 관용어는 의미에 변화를 주지 않는 범위 내에서 삽입, 도치 가능한 것이다. 마지막으로 감정색채의 특징의 측면에 한국어 관용어의 감정색채가 풍부하지만 중국어 관용어는 대부분 부정적인 의미인 것을 알게 되었다.
제3장에서는 한·중 신체어휘 관련 관용어의 의미적 대비를 통하여 한·중 신체어휘 관련 관용어의 의미적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기술하였다. 한·중 양국의 신체어휘 관용어를 동형동이, 동형이의, 한국어에만 관용의미가 있는 관용어, 한국어에만 있는 관용어 넷 가지 형식으로 나누어 한·중 일상생활 중에서 많이 사용하는 신체어휘 ‘머리, 눈, 입, 손, 발’과 관련 관용어를 대비 분석한 결과는 한·중 신체어휘 관용어의 의미적인 공통점과 차이점을 찾아내게 되었다.
제4장에서는 3장을 이어서 한·중 신체어휘 관련 관용어의 의미적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초래한 문화적인 원인을 고찰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신체어휘 관련 관용어의 대해 양국간의 공통점과 차이점의 심층적인 내포 문화 원인 요소를 발견되었다. 제3장의 형식 분류와 비슷하여 제4장은 주로 한·중 양국의 신체어휘 관련 관용어를 동형동이, 동형이의, 한국어에만 관용의미가 있는 관용어, 한국어에만 있는 관용어, 중국어에만 있는 관용어 다섯 가지 형식으로 분류하여 대비 연구를 하였다. 연구한 결과는 동형동의 관용어의 발생원인은 한·중 양국인이 우연히 서로 같은 가치관을 가지게 되어, 즉, 한·중 양국인이 비슷한 사상이나 심리를 지니고 있어서 형태와 의미가 같은 관용어가 나타났다고 볼 수 있다. 또 하나의 원인은 같은 문화권에 속한 두 나라는 지리적으로 가깝기 때문에 수천 년 간 잦은 교류를 통해 문화에 서로 영향을 주고받아 관용어에서 반응한 것으로 보인다. 동형이의 관용어의 발생원인은 아무리 같은 문화권에 속해도 한국과 중국 지간은 나름대로 자기의 특성 문화가 있기 때문에 양 민족이 동일한 사물을 보는 견해가 다름 때문이다. 또 하나의 원인은 뜻이 다른 양국의 관용어가 우연히 같은 형태를 갖춰 동형이의 관용어가 생긴 것으로 보인다. 또 한국어에만 관용의미 있는 관용어와 한국어에만 있는 관용어는 한국의 특유한 문화, 풍습, 그리고 사회배경의 영향 때문이다. 그리고 마찬가지로 중국어에만 있는 관용어도 중국의 특유의 문화·사회 배경을 볼 수 있다.
결국은 한·중 양국의 관용어는 나름대로 자기의 특징은 있지만 의미적인 공감대가 크다는 결론에 도달하게 되었다. 특히 인간 생활과 제일 가까운 신체어휘 관련 관용어는 더욱더 이렇게 된다. 그런데 관용어는 언어 어휘공부 과정 중에 제일 어려운 부분으로써 양국의 문화·사회배경을 잘 알아야 이해될 수 있는 요점도 소홀히 하면 안 되는 결과를 나타낸다.
|